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전력
아웃풋
프린트
인쇄
뉴스
"
출력
"(으)로 총 992건 검색되었습니다.
폭발·화재 없는 전고체전지 상용화 앞당길 '설계 도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06
양극 입자의 부피 비율은 74%, 고체 전해질은 26%다. 이를 기준으로 에너지밀도와
출력
밀도 사이의 설계 방향을 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양극 입자와 고체 전해질이 섞이며 입자끼리 맞닿는 밀도는 '투과 임계값'으로 정했다. 복합 입자 사이의 공간이 26%보다 크면 입자끼리 맞닿지 않아 이온이 ... ...
양궁 사상 첫 5종목 석권…비결은 스포츠 심리학 기반 '심리훈련'
동아사이언스
l
2024.08.05
이 카메라는 머리 위와 정면의 2개 각도에서 선수를 촬영한 영상을 모니터에 분할
출력
해 선수가 자신의 슈팅 자세를 여러 각도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또 실제 선수의 동작과 피드백 영상 간 시차를 0∼9초로 설정할 수 있으며 '천천히 보기 기능'을 지원해 정밀 분석도 가능하다. 훈련장 ... ...
차세대 세라믹전지 새 합성법 개발…"그린수소 생산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07.28
적용했을 때 우수한 프로톤 전달 특성이 발현돼 600도에서 기존 대비 약 2배 향상된
출력
밀도를 달성했다. 연구팀은 "공정 시간을 단축하고 열적 안정성 및 세라믹 전해질의 성능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후속 연구에선 프로톤 세라믹 전지 상용화를 위해 두 ... ...
AI가 만든 데이터로 학습한 AI, '붕괴'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AI가 만든 데이터를 다시 AI가 학습하면 관련 없는 내용이
출력
되는 등 오류가 생기는 붕괴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해 왔다. 연구팀은 AI 언어 모델이 붕괴를 겪는 과정을 재현했다. 예를 들어 OPT-125m이라는 AI 모델로 14세기 중세 건축에 대한 텍스트로 시작해 '자기 ... ...
스스로 전기 생산하고 손상 치유하는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4.07.23
초기 질량 대비 약 21%만 남는 것을 확인했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높은
출력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자가 치유 및 생분해 기능을 통합한 효율적인 소재를 개발했다”며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지속 가능한 전력원을 제공 가능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로 기술사업화 등 상용화를 ... ...
이탈리아, 탈원전 35년만에 재도입…"10년 내 소형모듈원자로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위해 투자를 허용하는 법안 발의를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SMR은 기존 대형 원전보다
출력
규모가 작지만 안전성이 높은 차세대 원자로다. 프라틴 장관은 인터뷰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2050년까지 원자력이 국가 전체 전력 소비량의 최소 11%를 차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신 원전 ... ...
中 100km 입자가속기 구축계획, 현실적으로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내에 CEPC를 만들 수 있다면 물리학자들 입장에서는 환영할 일”이라며 “은퇴 전에 100TeV
출력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으니 욕심이 날 수 있다. 중국은 한국과 거리가 가까워 접근성이 좋다는 점에서도 한국 물리학자들의 높은 참여도를 이끌 수 있다”고 말했다 ... ...
한국형 소형원자로 'SMART100' 표준설계인가 심사 결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00은 2012년 이미 표준설계인가를 받은 SMART에 안전계통을 새로 적용해 안전성을 향상하고
출력
을 약 10% 늘려 경제성을 높인 형태다. 보고에 따르면 원전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 등이 2019년 신청한 SMART100 표준설계인가에 대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이 심사를 마쳤다. 심사는 안전계통에 대한 ... ...
"우주 비밀, 모르는 게 더 많다"...힉스 이후 차세대가속기 개발 앞둔 CERN
2024.07.12
'가 건설된다. ● LHC에서 FCC로...표준모형 넘어서기 도전 “FCC 규모는 LHC의 3배, 최대
출력
은 7배에 달합니다. 물리학자들은 FCC가 표준모형을 넘어선 새로운 물리학의 지평을 열어줄 발견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11일 스위스 제네바 현지에서 만난 쟌 프란체스코 쥬디체 ... ...
태양광 모듈 패러다임 바꿨다…"해바라기처럼 태양 따라가며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혼합된 방식이 가능하게 했다. 직·병렬이 혼합된 구조는 모듈에 그늘이 생겨도
출력
을 유지하고 핫스팟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연구팀은 "수십 년 동안 고집된 태양광 모듈 제조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또 종이접기가 가능한 수준의 유연한 구조 덕분에 건물, 벤치, 차광막 등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