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전력
아웃풋
프린트
인쇄
뉴스
"
출력
"(으)로 총 968건 검색되었습니다.
하이브리드 소듐 전지 개발…"수 초 만에 급속 충전"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하이브리드 소듐이온 에너지 저장 소자는 상용화된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
출력
밀도 모두 뛰어났다. 수 초에서 수 분 만에 급속 충전이 가능했다. 강 교수는 "급속 충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소듐이온 에너지 저장 소자는 현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할 돌파구가 될 것 ... ...
태양광 이용 수소 생산 장치 정밀 평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정전류법 및 정전압법을 기반으로 해 내구성을 평가하며 실제 재생에너지의 복잡한
출력
변동성을 반영하기 어려웠던 한계를 극복했다는 의미가 있다. 연구팀은 "청정 수소 생산 기기의 실제 수명을 예측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궁극적으로 정부 및 기업의 청정 수소 생산 시스템 설비 ... ...
잠수함·발사체 용접 '전자빔 용접시스템' 국산화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20
연구팀과 한국전기연구원, 부경대, 한라이비텍 연구팀이 국내 최초로 60킬로와트(kW)급 고
출력
전자빔 용접시스템 국산화 기술과 고신뢰성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전자총 등 핵심 장비 개발에 많은 예산이 소요되고 기술적인 위험이 있어 대형 전자빔 용접 시스템은 국내 개발이 ... ...
소형원자로 유럽 수출 막힐 수도…예의주시하는 원전업계
2024.03.19
규정을 살필 필요는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SMR은 냉각재와 원자로 등을 일체화한
출력
량 300메가와트(MW)급 이하의 작은 원자로다. 1000메가와트급이 넘는 대형 원전보다 규모는 작지만 안전성이 높고 유연하게 운전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최근 대형 원전에 대한 안전 우려가 커지면서 전 ... ...
원자로조종면허 6년마다 갱신…신체검사와 처벌 기준도 강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3.14
시간에 따라 열화되는 압력관 상태를 고려해 원자로를 자동 정지시키는 보호기능 '국부과
출력
정지설정치' 기준 강화 등 3개 항목이 포함된 '원자력이용시설 건설·운영 변경허가(안)'도 이날 함께 의결됐다. ... ...
[르포] 中·日 방사성 물질, 국토 최끝단서 감시…인력 부족 고충 토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것"이라고 말했다. 마라도 방사선감시소 화면에 0.082uSv(마이크로시버트)라는 수치가
출력
됐다. KINS 제공 감시기 화면에는 시간당 0.082μSv(마이크로시버트)라는 수치가 표시돼 있었다. 감시기를 살펴보는 동안에도 수치는 실시간으로 조금씩 변했다. 최인희 KINS 환경방사선 감시평가실 실장은 "이 ... ...
[과기원NOW] 포스텍,자외선 제어하는 '대면적 메타렌즈 대량 생산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07
사용하면 가정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크기가 작은 GPU로도 수 테라바이트(Tb) 이상의
출력
데이터가 발생하는 고난이도 연산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연구팀은 INFINEL 기술의 성능을 다양한 실험 환경과 데이터 셋을 통해 검증했으며 기존의 최고 성능 동적 메모리 관리자 기술에 비해 약 55배, ... ...
AI 거대언어모델 0.4초만에 처리…삼성 28나노공정으로 초저전력 AI반도체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06
통합 코어 구조를 개발했다. SNN 처리에 소모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해선
출력
스파이크 추측 유닛을 개발했다. 거대 언어 모델의 파라미터를 효과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빅-리틀 네트워크 구조’와 암시적 가중치 생성기법 그리고 부호압축까지 총 3가지 기법을 사용했다.이를 통해 GPT-2 거대 ... ...
누리호 연소기 용접 심장 '전자총'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3.04
달성하는 데 성공했다. 높은 성능도 확인됐다. 세계 최고 수준인 60킬로와트(kW)의
출력
과 120킬로볼트(kV)의 가속전압을 가졌다. 전자빔 용접기는 전자총의 가속 에너지가 높을수록 소재 내부로 열원을 침투시킬 수 있는 정도가 크다. 웬만한 두꺼운 대형 소재·부품 가공에 거의 다 활용될 수 있는 ... ...
금속 3D프린팅 부품 기공·갈라짐 줄이는 합금분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빠져나가면서 부품 내부에 기공, 크랙 등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학계에선 주로 레이저
출력
을 조절해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연구 중이다. 박형기 수석연구원 연구팀은 방식보다 소재에 집중했다. 나노 입자를 티타늄 분말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방식으로 복합소재를 만들었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