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스페셜
"
물체
"(으)로 총 37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화 투자받은 쎄트렉아이, 차량 종류 식별하는 초고해상도 위성 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최초의 위성개발 전문기업이다. 이번에 개발하기로 한 스페이스아이-T는 30cm 떨어진
물체
를 구별할 수 있는 초고해상도와 12km 관측폭을 가진 무게 700kg의 고성능 지구관측위성이다. 30cm급 해상도는 우주 상공에서 도로에 있는 차량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수준이다. 쎄트렉아이는 100% 자체 투자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액체 분자 하나까지 초고해상 촬영, 전기화학발광의 마술
동아사이언스
l
2021.08.14
고해상도로 액체에서 세포와 같은 작은 분자 하나를 촬영할 수 있음을 보였다. 발광은
물체
의 전자가 들뜬 상태에서 바닥 상태로 이동하면서 에너지 준위 차이만큼 에너지를 빛으로 내놓는 현상을 말한다. 화학발광은 산화 환원 같은 화학 반응을 이용해 발광하고, 전기발광은 유기발광다이오드 ... ...
[우주외교포럼]"위성 급증하고 달탐사 경쟁하는 시대, 우주법 세밀한 보완 필요"
2021.08.12
COVID-19·코로나19) 사태가 확산하는 가운데에서도 인공위성 발사에 속도가 붙으면서 우주
물체
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것이다. 우주자산에 대한 사회적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우주환경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법률 전문가들은 12일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외교부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비너스의 꽃바구니'로 불리는 해면 이야기
2021.08.03
표면에 와류(소용돌이)가 형성되면서 빠르게 지나가고 유속의 변동이 커지고 항력이
물체
를 끌고 가는 힘도 상당하다. 따라서 바닷물이 위강으로 들어가기보다는 표면을 따라 비껴 흐르거나 강한 항력에 해면 몸통이 쓰러지거나 바닥에서 떨어져 나갈 수도 있다. 유리해면은 이 문제를 해결했기에 ... ...
지난달 27일 그린란드 얼음 하루만에 85억t 녹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1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의 원인으로 '알베도' 현상을 꼽는다. 알베도는
물체
에 입사한 빛 대비 반사되는 빛의 비율을 말한다. 알베도 현상은 하얀 눈과 얼음이 흡수되는 태양빛의 양을 줄이고 빙하를 차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하얀 눈과 얼음이 녹아 없어져 어두운 얼음이 ... ...
과학자 UFO 찾아 나선다…미 하버드대 교수 ‘갈릴레오 프로젝트’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7.27
기대한다. 그는 ‘사이언스’에 “최신 센서가 장착된 구경 1m 망원경을 1km 떨어진
물체
에서 1mm 수준까지 자세히 관측할 수 있고, 이런 장비는 50만 달러(약 5억7000만 원)면 구비할 수 있다”며 “연구비만 허락한다면 전 세계 곳곳에 이런 장비 10대를 세우고 UAP를 찾기 위해 하늘을 훑을 것”이라고 ... ...
[우주산업 리포트]"더 정밀한 PNT 정보를 선점하라" GNSS에 도전하는 기업들
2021.07.23
잡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 회사는 인공위성을 비롯해 지구 주변을 돌고있는
물체
들 간에 정확한 거리정보를 판매하고자 한다. 퍼고의 위성사업 부문 매니저인 단 시어리 씨는 한 인터뷰에서 “지구 저궤도에 인공위성이 급격히 많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위성들끼리의 충돌을 예방하기 위해 ... ...
지구 밖 첫 지진파 연구로 화성 내부 구조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23일 공개했다. 지각 운동으로 발생한 지진파는 통과하는
물체
의 밀도에 따라 속도가 달라진다. 지질학자들은 이 원리를 이용해 지구 내부 구조와 이를 이루는 물질의 종류와 위치를 알아내고 있다. 과학자들에 따르면 화성에서는 지구처럼 지각 운동이 일어나거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우주의 '괴물' 블랙홀
2021.07.22
블랙홀의 중심으로 계속 낙하한다. 이 과정에서 블랙홀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진
물체
는 위치에 따른 중력의 차이 때문에 낙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서로 잡아당기는 힘인 기조력을 느끼게 된다. 그 힘은 블랙홀의 중심에 다가갈수록 강력해진다. 블랙홀의 한가운데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 ...
"첫 우주 교통사고가 연구의 꿈 되살렸죠"
동아사이언스
l
2021.07.09
우주개발에서 다른 선진국을 따라다녀 왔다”며 “우주감시는 우리만의 독창적인 우주
물체
관리와 처리 방안, 절차 등을 먼저 제시하기만 하면 선도해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