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스페셜
"
물체
"(으)로 총 378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누구나 레이더를 소유하는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4
이용 범위를 늘리는 연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강조한다. 사람이나
물체
의 다양한 정보를 얻어낼 수 있는 레이더 기술을 활용해 사람들의 생활을 윤택하게 만들 수 있다는 기대다. 향후에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지능화 레이더 연구를 통해 국방에도 기여할 뿐 아니라 스마트시티와 ... ...
[한 토막 과학상식] 초전도 현상 보이는 강상관계 물질 '훈트 금속'이란
동아사이언스
l
2021.03.02
보이지 않는 특이한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이다. 강상관계 물질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체
를 전기가 통하게 하는 ‘금속-부도체 전이 현상’이나 높은 온도에서 저항이 0이 되는 고온초전도 현상 등을 일으킨다. 강상관계 물질의 대표적 예는 훈트 금속이다. 훈트 금속은 전자들의 스핀을 서로 ... ...
[랩큐멘터리] 실감형 기술의 마지막 퍼즐 '촉감'을 구현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3
의미에서다. 기존 시청각을 넘어서 사람 몸이 느끼는 다양한 감각을 재현해 다양한
물체
와 쉽게 상호작용하는 것을 돕는 연구를 위해 매진하고 있다. ▼ 포스텍 상호작용 연구실 보러 가기 https://youtu.be/q4JbDRHwO0E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 ...
[KAIST 50주년 심포지엄]"끊임없이 묻고 변화에 대한 두려움을 버려라"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사례는 중력파 탐지를 위해 세워진 관측시설인 ‘라이고’다. 중력파는 질량을 지닌
물체
가 속도를 변화시키는 운동(가속도운동)을 할 때 발생해 빛의 속도로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뒤틀림이다. 블랙홀 등 천체가 서로 충돌해 하나로 합쳐질 때 일부 질량이 중력파로 변해 퍼진다. 프랑스 ... ...
[한 토막 과학상식]빛이 경계면 따라 흐르는 광스핀홀 효과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노준석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와 민범기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방향에 따라
물체
의 성질이 다른 메타표면을 이용해 효율이 거의 100%면서 광스핀홀 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16일 제안했다. 메타물질은 자연에 없는 특성을 가지도록 인위적으로 설계한 물질을 뜻한다. 연구팀은 한 편광의 빛은 ... ...
사람 귀 닮은 음성인식 센서 세계 최초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5
사다리꼴 기저막이 ‘공진 현상’을 일으켜 소리를 증폭하기 때문이다. 공진 현상은
물체
가 자신의 고유진동수를 가진 소리와 만나면 자연적으로 진동해 소리를 증폭시키는 현상이다. 연구팀은 이 기저막을 본 따 만든 얇고 유연한 무기물 소재의 인공막을 이용해 소리를 증폭한 후 이를 전기 ... ...
[프리미엄 리포트]왜 애플카에 열광할까
과학동아
l
2021.02.13
결합해 큰 시너지를 낸다. 카메라는
물체
의 종류를 분류하는 데 능하고, 라이다는
물체
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IT기업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의 자율주행차 사업부 웨이모가 이런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웨이모는 지난해 10월부터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자율주행 ... ...
[주말N수학]수학과 AI로 한층 정밀해진 센서 기술, 자율주행 시대 앞당긴다
수학동아
l
2021.01.16
알고 있어야 한다. Q. SW 분야의 일은 어떻게 시작하게 됐나. 인공지능을 이용해 주변
물체
를 인식하고 배치한 시각화 결과. 서울로보틱스 제공 박재일 │대학에서는 수학과 물리학, 기계공학과 관련한 공부를 해서 하드웨어에 익숙했다. 이후 대학원에 진학해서 3차원 데이터를 다루는 SW가 ... ...
[한 토막 과학상식] 6G 구현할 기술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21.01.16
체험해보면 화면이 매끄럽지 않은 경우가 많다”며 “VR 고글을 쓰고 앞에서 떨어지는
물체
를 잡는다면, 이를 놓치기 일쑤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자동차에 적용된 자율주행 기술은 센서를 이용해 차가 주변 상황을 파악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라며 “향후 5G보다 최소 수십~수백 ... ...
[랩큐멘터리] 화학 연구실에서 탄생한 부드럽고 정교한 인공근육
동아사이언스
l
2021.01.14
작은 배터리로 움직이는 인공 근육을 연구하고 있다. 파리지옥을 모사해 전력이 없어도
물체
를 계속 움켜쥐고 있는 인공 근육을 개발한 연구는 2018년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에 실리기도 했다. 연구 분야는 기초 이론 연구부터 응용, 장치 개발까지 다양하다. 2015년 발표한 논문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