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스페셜
"
자연
"(으)로 총 1,26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소에 대한 저주, 도 넘었다
2022.12.07
아니다. 오히려 과도한
자연
의존도를 줄여서
자연
생태계로부터의 자립을 꿈꾸면서
자연
의 변화에 현명하게 ‘적응(適應)’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을 뿐이다. 탄소에 대한 공연한 악마화와 거부감이 자칫 우리의 절박한 노력에 독(毒)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겸손한 인식이 필요하다. 탄소는 ... ...
[일상 속 뇌과학] 뇌가 실수와 오류를 제거하는 법
2022.11.25
성장해 나가면서 스스로 노래를 익히는 상황을 가정하고 실험을 진행했지만,
자연
적인 상황에서는 수컷과 암컷이 모두 존재하는 상황에서 노래를 배우고 다듬을 것이다. 실제로 수컷 금화조가 혼자서 노래를 연습할 때와 비교하면 암컷이 주변에 있는 경우 금화조의 노래는 좀 더 명확해지고 오류가 ... ...
[기후위기와 산림] 목재의 재발견...탄소 배출 줄이는 친환경 자재
2022.11.24
지속적으로 생산가능한 산림자원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더욱이 사용된 후 분해되어
자연
으로 되돌아가거나 새로운 제품으로 만들어지는 순환이용이 가능한 소재이기 때문에 환경파괴와는 거리가 멀다. ‘목재이용 = 환경파괴’라는 과거의 인식에서 벗어나 자원으로서의 산림 및 목재의 가치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
2022.11.22
non-arts)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되던 science가 우주의 현상과 그 법칙에 대한 연구를 하는 “
자연
및 물리학(natural and physical science)”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케플러(Johannes Kepler, 1571-1630)가 행성의 운동에 대한 세 가지 법칙을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스승이자 선배인 티코 브라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
2022.11.15
많은 연구 거리를 제공하고 과학계가 이를 가장 진지하게 고려할 것을 요구한다.
자연
에는 거울상 DNA를 분해할 거울상 효소가 없어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아도 좀처럼 파괴되지 않고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다. 연못 물에 넣은 현실의 DNA바코드는 하루도 못 가 파괴되는 반면(왼쪽) 거울상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유전자 '조작'의 명과 암...어디까지 허용될까
2022.11.09
쥐의 유전자를 사람에게 삽입하면 어떻게 될까.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발전은
자연
스레 이와 같은 질문과 마주쳐야 했다. 생명과학 연구에서 인간에게 허용되는 범위가 따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므로 안전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를 정해야 했다. 1975년 2월 아실로마(Asilomar)에서 열린 컨퍼런스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대구 수돗물 독성' 논란...'4대강 보'가 근본 원인일까
2022.11.09
앞세운 이념적이고 소모적인 논란은 아무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우리와는
자연
‧생태 환경이 전혀 다른 외국의 사례에 한눈을 팔 이유가 없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후 6시까지 먹는 시간제한 섭식이 좋은 이유
2022.11.01
수 있었다. 특히 10장 ‘언제 약을 복용할까’와 12장 ‘먹는 시간’, 13장 ‘당신의
자연
리듬을 찾아라’는 실용적인 생활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아마 1년 안에 한글판이 나오지 않을까 싶다. 13장에서는 하루 24시간에서 일정 시간 범위 안에서만 음식을 먹는 시간제한섭식이 건강에 좋고 살찌는 ... ...
[기후위기와 산림] 문제는 기후변화 속도...구상나무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2022.10.27
현재 얼마나 위험한 상황에 놓여있는 것일까. 세계
자연
보전연맹은 우리나라 구상나무를
자연
상태에 있는 종 중에서 두 번째로 심각한 수준인 위기종으로 평가하고 있다. 최근 산림청의 전국실태조사에 따르면 구상나무의 쇠퇴도가 30% 이상으로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 ...
[탄소중립 최전선] ④국내 CCS 연구 기지개..."탄소저장량 5% 늘려라"
동아사이언스
l
2022.10.21
스트레스를 준다는 이유에서다. 권 교수는 “설비 자체가 큰 규모는 아니지만 주변
자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신경을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권이균 공주대 지질학과 교수가 CCS테스트베드의 가동상황을 기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있다. 예산=박정연 기자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