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스페셜
"
자연
"(으)로 총 1,264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소중립 최전선] ③원유·가스 얻고 탄소 저장하고...캐나다 탄소저장 키워드는 ‘경제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0.19
석유에너지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은 “캐나다는 탄소 포집‧저장‧활용에 적합한
자연
환경을 갖고 있는 한편 이를 연구할 인력에 대한 필요도가 높은 상황”이라며 “한국의 많은 과학자들이 캐나다에서 CCUS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현석 ... ...
[프리미엄 리포트] 태풍 힌남노 능가하는 슈퍼태풍 2~3년마다 올 수도
2022.10.15
영향 태풍 발생은 57.5% (1.5배), 태풍의 강도는 42.1%(1.4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모든
자연
재해가 마찬가지이지만 사전에 잘 대비하면 그 피해는 얼마든지 줄일 수 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사후 대책이 아니라 ‘소 잃어버리지 않도록 하는’ 선제적 대응책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다. ... ...
외계행성 대기서 철 2.5배 '바륨' 포착…"가장 무거운 원소"
연합뉴스
l
2022.10.14
것이라고 했다. 바륨은 지구 하늘에서 불꽃놀이 때의 밝은 녹색으로 만날 수 있지만
자연
계에서는 원소 형태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문에 대체 어떤 작용으로 외계행성 대기에 바륨이 존재하게 됐는지 의문이 제기되지만 "현재로서는 어떤 메커니즘이 작용하는지 알 수 없다 ... ...
[기후위기와 산림] 현대판 '노아의 방주'에 소나무를 태우려면
2022.10.13
것이다. 지금까지의 이야기가 현실이 될지는 알 수 없지만 이미 방주는 준비되고 있다.
자연
상태에서 최대한 종을 보존하기 위해 지정되는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과 실제로 종자들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시드뱅크, 시드볼트 등이 바로 나무를 멸종위기에서 지키기 위한 방주들이다. 그리고 이 방주에 ... ...
[의학사로 읽는 세상] 뉴턴, 페스트 유행 기간 '만유인력의 법칙' 떠올렸다
2022.10.11
답을 찾기 위해 걸음을 떼어 보라”고 하곤 했다. 아이작 뉴턴이 1687년에 출판한 《
자연
철학의 수학적 원리》 표지. 2년 가까이 지속되면서 일각에서는 런던 인구 25%의 목숨을 앗아간 것으로 알려진 페스트는 1666년 말 런던에서 사라졌다. 당시의 의학수준으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 속 흰개미의 역할
동아사이언스
l
2022.09.25
탄소를 줄일 수 있지만 사체를 태우는 과정에서 짧은 시간에 많은 탄소가 발생한다.
자연
적인 방법으로 서서히 부패가 이뤄지도록 해야 하는데 분해되는 속도가 빠를수록 좋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주 표지로 땅속에 펼쳐진 흰개미의 집을 실었다. 흰개미는 죽은 나무를 분해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좋은 약이 입에 쓴 이유
2022.09.20
맛이 쓸까. 이에 대한 답은 의외로 간단한데 천연물 유래일 경우 약 대부분이 원래는
자연
에서 독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독이 들어있는 음식의 맛이 써야 모르고 입에 넣어도 삼키지 않고 바로 뱉어 죽음을 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독을 쓴맛으로 느끼게 진화한 셈이다. 다만 이 과정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을 태풍은 정말 더 잦고 강력해졌을까
2022.09.14
미리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태풍이 반드시 북위 20도 이남에서만 발생해야 한다는
자연
법칙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힌남노가 9월에 북위 28.5도에서 발생했다고 호들갑을 떨 이유가 없다. 태풍의 발생과 진행에서는 어떠한 예외적 놀라움도 허용되기 때문이다. 적도 부근의 바다에 태양의 복사 ... ...
[표지로 읽는 과학] 약 2억 3000만년 전 살았던 목이 긴 초식공룡
동아사이언스
l
2022.09.10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공룡 화석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미국 버지니아공대와 짐바브웨
자연
사박물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이 화석을 분석한 결과를 지난달 31일 네이처에 공개했다. 연구팀 분석에 따르면 이 공룡이 살던 약 2억 3000만년 전 짐바브웨 지역은 오늘날보다 훨씬 남쪽에 위치해 습도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껌 씹기도 운동...덜 씹으면 살 찐다
2022.09.06
결과도 있다. 지난 2018년 와세다대 스포츠과학과를 비롯한 일본 공동연구팀은 산책처럼
자연
스럽게 걸을 때 껌을 씹으면 그냥 걸을 때에 비해 심박수가 더 높다는 실험 결과를 학술지 ‘신체요법과학저널’에 발표했다. 흥미롭게도 40세를 기준으로 청장년층과 중노년층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