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고
조회
참작
문의
언급
고려
감안
스페셜
"
참조
"(으)로 총 12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부, 제2회 핵융합에너지 홍보 콘텐츠 공모전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13.07.23
콘텐츠 공모전’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국가핵융합연구소 홈페이지(www.nfri.re.kr)를
참조
하거나 콘텐츠 공모전 담당자(02-3397-7867)를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 위의 내용은 미래창조과학부의 보도자료입니다.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7.15
공동조상이 분리됐다. 그리고 4만3000년 전 종과 나머지의 공동조상이 분리됐다(그림
참조
). 길들여진 말과 프르제발스키 말은 3만8000년~7만2000년 전 갈라진 것으로 나왔다. 발굴된 뼈만으로는 70만 년 전 종이나 4만3000년 종의 모습을 알 수는 없지만 게놈 데이터만 보면 당나귀보다는 말(품종개량 ... ...
글로벌 트렌드와 미래 신산업 기회
KOITA
l
2013.07.04
수익창출-사업 및 시장 확대에 이르는 선순환구조의 초기 형태를 갖추게 된다(
참조
). 이렇게 초기 성장단계에 진입한 신산업은 성숙단계에 있는 산업에 비해 평균 성장률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그러나 신산업은 향후 성숙단계에 이르게 되면 기존 산업에 비해 훨씬 높은 성장률을 ... ...
휘어지는 투명 유기분자 메모리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5.30
반복적인 광 스위칭에도 불구하고 물리적인 안정성을 유지한다는 사실을 실험(그림 4.
참조
)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 교수는 “그래핀과 화학적 결합이 가능한 유기분자 소자는 공정이 쉽고 수율(收率)이 높으며, 다양한 기능을 가져 기존 실리콘과 금속 전극을 대체하여 향후 휘어지는 태양전지 ... ...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106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http://www.dongascience.com/news/view/38/news)
참조
) 그럼에도 게놈 크기가 커지지 않은 건 복제된 유전자 대다수가 사라졌고 이 과정에서 정크DNA 부분도 없어지는 쪽으로 진화가 일어났기 때문이라고 한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서 “동물처럼 복잡한 ... ...
“과천과학관, 스포츠과학 특별전-시즌2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13.05.10
이벤트가 진행될 예정이다. 전시2과 손성근 연구사(02-3677-1383) www.sciencecenter.go.kr
참조
특별전시관 안내데스크(02-3677-1546) *20인 이상 단체, 전화예매 ... ...
우리나라 신기술 개발 기업 지원제도의 특징
KOITA
l
2013.04.30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또 용어개념의 불명확인데 외국의 입법 사례를 충분한 검토 없이
참조
하거나 해석하여 법률용어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있고, 일상의 용어와 현격한 차이를 지닌 용어가 사용되는 일도 발생한다. 또한 불확정 개념의 과도한 사용으로 법령의 해석 여하에 따라 기업의 생존이나 ... ...
노트북에 코를 갖다 댄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삶과 이론을 소개한 바 있다(‘루카 투린, 향기에 매혹돼 아웃사이더가 된 과학자’
참조
). 루카 투린은 자신의 이론이 옳다는 걸 증명하기 위해 동위원소를 이용하는 기발한 방법을 제안했다. 즉 원자량이 1인 수소(H) 대신 원자량이 2인 중수소(D)가 쓰인 냄새분자를 만들면 분자모양, 즉 구조는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정보 저장 방식에서 허프만 코드라는 3진수 체계를 이용해 DNA서열로 변환한 옆의 실례를
참조
) 이런 원리를 바탕으로 저자들은 정보를 염기 100개 단위로 잘라 저장했고 각각에 색인(물론 DNA염기서열로)까지 붙여 한 단위로 만들었다. 즉 긴 DNA가닥 하나에 정보를 모두 담는 게 아니라 고려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대화를 나누다 빵의 역사에 대해 책을 써보라는 제안을 받았고, 20년 간 4000여 권의 책을
참조
하며 써낸 게 바로 이 책이다. 출간 당시 ‘빵과 밀’의 ‘황금가지(인류학자 제임스 프레이저의 명저)’라며 격찬을 받았지만, 출간 몇 년만에 절판됐고 1970년 작은 출판사에서 다시 책을 냈지만 역시 ... ...
이전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