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고
조회
참작
문의
언급
고려
감안
스페셜
"
참조
"(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을 사냥꾼으로 부리는 꿀잡이새를 아시나요?
2016.07.25
종속적이지는 않을 것이다. (매사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과학카페 164 ‘새와 사람’
참조
.) 그런데 2008년 작고한 소설가 이청준의 중편 ‘매잡이’를 보면 사람과 매 사이의 관계가 생각보다 미묘하다. 즉 매가 가축에 비해서는 독립적인 존재인 게 맞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자유롭지는 않은 것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더 무성하고 부족할 때는 편차가 큰 토양 쪽의 뿌리가 더 무성하다. 자세한 설명은 본문
참조
. - Hagai Shemesh 제공 ● 완두의 선택 필자는 대학원 때 식물유전학 연구를 했는데 애기장대란 잡초를 키웠다. 물론 쌍떡잎식물을 대표하는 모델식물이다. 외떡잎식물로는 벼나 옥수수를 주로 연구한다. 그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인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과학카페 210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참조
.) 얼룩나방의 날개 색 변이를 일으킨 유전자가 마침내 규명됐다. 영국 리버풀대 연구자들은 2011년 얼룩나방의 17번 염색체의 40만 염기 영역 안에서 일어난 변이가 원인이라고 밝혔다(위). 그 뒤 범위를 좁히는 ... ...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016.04.25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과학카페 237 ‘봉한관과 림프관’
참조
) ● 수유기 전후해서만 존재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22일자에는 지난해 뇌 속 림프관 발견이 연상되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포유류의 젖샘에서 세포핵이 두 개인 세포를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59만 년 전 갈라진 뒤 교류가 없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비교한 현생인류 게놈은 유럽인인
참조
게놈(Reference)과 일부 아프리카인에게 발견되는 A00으로, 둘은 현생인류 등장 초기인 약 28만 년 전 갈라졌다. - 미국인간유전학저널 제공 ● 혼혈 남아 유산됐을 가능성 학술지 ‘미국인간유전학저널’ ... ...
사회가 정직해야 개인도 정직하다
2016.04.04
반면 PRV가 낮은 나라 사람들(녹색)의 평균 숫자는 3.17로 꽤 낮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
참조
. - 네이처 제공 PRV지수가 -3.1에서 2.0에 이르는(평균 -0.7) 23개국의 누적빈도 그래프의 평균값은 예상대로 정당화된 부정직성 곡선에 가깝게 나왔다. 이를 나라별로 나눠 그려보자 PRV지수가 낮은 나라들의 경우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과학동아’ 2007년 12월호 특집 ‘호모 코쿠엔스, 인류 진화의 원동력 요리’
참조
) 반갑지 않은 글이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수년 전 TV에서 우연히 본 다큐멘터리에서 석기가 쉽게 만들 수 있는 도구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됐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타제석기, 즉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
2016.02.23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
참조
). 이런 과정을 거쳐 이 기술이 안전하다고 판단한 HFEA는 2012년부터 대중을 상대로 MRT의 사회적, 윤리적 함의를 논의했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의견수렴이 이루어져 마침내 입법화에 성공한 것이다. 해결해야할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덧붙였다(자세한 내용은 [과학카페 215]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참조
(☞ 클릭하면 바로가기)). ● 암 발생의 90%는 환경요인 암에 대한 과학상식을 타파한 위의 논문이 나가고 1년이 지나 ‘사이언스’의 라이벌인 ‘네이처’(1월 7일자)에 위의 논문을 반박하는 논문이 실렸다. 즉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연구했다(로이 브리튼의 삶과 업적은 과학카페 107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
참조
). 두 사람은 유전자 발현량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 두 사람이 1969년과 1971년 발표한 논문 두 편은 이 분야의 고전으로 남아있다. 1980년대 개발된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