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고
조회
참작
문의
언급
고려
감안
스페셜
"
참조
"(으)로 총 122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더 무성하고 부족할 때는 편차가 큰 토양 쪽의 뿌리가 더 무성하다. 자세한 설명은 본문
참조
. - Hagai Shemesh 제공 ● 완두의 선택 필자는 대학원 때 식물유전학 연구를 했는데 애기장대란 잡초를 키웠다. 물론 쌍떡잎식물을 대표하는 모델식물이다. 외떡잎식물로는 벼나 옥수수를 주로 연구한다. 그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인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과학카페 210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참조
.) 얼룩나방의 날개 색 변이를 일으킨 유전자가 마침내 규명됐다. 영국 리버풀대 연구자들은 2011년 얼룩나방의 17번 염색체의 40만 염기 영역 안에서 일어난 변이가 원인이라고 밝혔다(위). 그 뒤 범위를 좁히는 ... ...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016.04.25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과학카페 237 ‘봉한관과 림프관’
참조
) ● 수유기 전후해서만 존재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22일자에는 지난해 뇌 속 림프관 발견이 연상되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포유류의 젖샘에서 세포핵이 두 개인 세포를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59만 년 전 갈라진 뒤 교류가 없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비교한 현생인류 게놈은 유럽인인
참조
게놈(Reference)과 일부 아프리카인에게 발견되는 A00으로, 둘은 현생인류 등장 초기인 약 28만 년 전 갈라졌다. - 미국인간유전학저널 제공 ● 혼혈 남아 유산됐을 가능성 학술지 ‘미국인간유전학저널’ ... ...
사회가 정직해야 개인도 정직하다
2016.04.04
반면 PRV가 낮은 나라 사람들(녹색)의 평균 숫자는 3.17로 꽤 낮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
참조
. - 네이처 제공 PRV지수가 -3.1에서 2.0에 이르는(평균 -0.7) 23개국의 누적빈도 그래프의 평균값은 예상대로 정당화된 부정직성 곡선에 가깝게 나왔다. 이를 나라별로 나눠 그려보자 PRV지수가 낮은 나라들의 경우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과학동아’ 2007년 12월호 특집 ‘호모 코쿠엔스, 인류 진화의 원동력 요리’
참조
) 반갑지 않은 글이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수년 전 TV에서 우연히 본 다큐멘터리에서 석기가 쉽게 만들 수 있는 도구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됐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타제석기, 즉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
2016.02.23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
참조
). 이런 과정을 거쳐 이 기술이 안전하다고 판단한 HFEA는 2012년부터 대중을 상대로 MRT의 사회적, 윤리적 함의를 논의했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의견수렴이 이루어져 마침내 입법화에 성공한 것이다. 해결해야할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덧붙였다(자세한 내용은 [과학카페 215]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참조
(☞ 클릭하면 바로가기)). ● 암 발생의 90%는 환경요인 암에 대한 과학상식을 타파한 위의 논문이 나가고 1년이 지나 ‘사이언스’의 라이벌인 ‘네이처’(1월 7일자)에 위의 논문을 반박하는 논문이 실렸다. 즉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연구했다(로이 브리튼의 삶과 업적은 과학카페 107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
참조
). 두 사람은 유전자 발현량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 두 사람이 1969년과 1971년 발표한 논문 두 편은 이 분야의 고전으로 남아있다. 1980년대 개발된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대멸종설을 주장한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라우프’
2016.01.02
네메시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과학카페 79 ‘태양의 짝별 ’네메시스‘는 어디에?’
참조
). 1971년 라우프는 동료 스티븐 스탠리와 함께 대학교재 ‘고생물학 원리(Principles of Paleontology)’를 펴냈고(한글판이 나왔지만 절판됐다), 일반인을 위한 교양과학책 ‘네메시스 사건(The Nemesis Affair, 1986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