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참조"(으)로 총 12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2019.01.08
- 2018년 12월 19일자 ‘2018년 네이처 선정 10대 인물에 그래핀 초전도체 개발한 22세 청년’ 참조). 학술지 ‘네이처’가 선정한 ‘2018 화제의 인물 10’에서 가장 먼저 소개된 차오위안. 22세의 대학원생이 간판으로 뽑힌 건 이례적인 일이다. 코린나 컨/네이처 제공 이 소식을 접하며 밀러와 유리 ...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2018.10.02
- 은여우 10마리, 더 사나워진 은여우 10마리, 선별하지 않은 은여우 10마리의 게놈을 해독해 참조게놈과 비교하면서 차이점을 살펴봤다. 그 결과 단일염기다형성(SNP), 즉 게놈에서 DNA 염기가 다른 자리가 845만여 곳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가운데 그룹별로 의미가 있는 자리를 찾았다. 그 결과 길들인 ... ...
- 공룡인가, 도마뱀인가.... 2억 4000만 년 전 도마뱀동아사이언스 l2018.06.03
- 단층촬영과 유전자 분석을 이용해 연령을 측정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 알프스산에서 2억 4000만년전 도마뱀 조상 찾았다 ☞doi:10.1038/s41586-018-0093-3 Tiago R. Simões et al (2018), The origin of squamates revealed by a Middle Triassic lizard from the Italian Alps, Nature, v.557, pages706–70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2018.05.29
- 안 된다는 말이다(자세한 내용은 필자가 2014년 ‘글루텐을 위한 변명’ https://goo.gl/MbLL6i 참조). 예를 들어 D게놈에서 유래한 단백질이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빈도가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즉 D게놈이 없는 듀럼밀로 만든 파스타는 보통밀로 만든 다른 밀가루 음식보다 면역반응이 덜할 수 있다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2018.05.14
- 4월 30일자 온라인판에는 현대장미의 탄생에 가장 큰 기여를 한 월계화 올드 블러시를 참조게놈으로 구성해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장미품종의 게놈을 분석해 서로의 관계를 밝힌 연구결과가 실렸다. 프랑스 리용대가 주축이 된 다국적 공동연구자들은 염색체가 쌍으로 들어있는 2배체(2n) 식물로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 사실을 밝힌 논문이 실렸다. 논문 내용을 요약하는 일러스트로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조하기 바란다. - ‘셀 줄기세포’ 제공 성인 신경생성이 일어난다는 건 어른의 해마(정확히는 치상회(dentate gyrus)라는 부분)에서 줄기세포가 분화해 뉴런이 만들어진다는 말이다. 위의 일러스트에서 볼 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2018.03.14
- 내용은 ‘과학동아’ 2004년 9월호 76쪽 ‘호킹은 왜 자신의 블랙홀 이론을 수정했나’ 참조.) 호킹은 왜 자신의 블랙홀 이론을 수정했나 - 과학동아 2004년 9월호 제공 호킹은 1979년 아이작 뉴턴과 폴 디랙의 뒤를 이어 케임브리지대 루카스 수학교수에 선출되는 영광을 누렸다. 참고로 호킹복사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2018.02.20
- 내용은 ‘과학동아’ 2012년 7월호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 등 다른 글 참조). 그런데 2016년 가을 화제가 된 ‘고지방 다이어트’를 계기로 이를 다루는 글을 준비하면서 지방을 옹호하는 과학자들 가운데 너무 간 사람들도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들었다. 예를 들어 신경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2017.12.19
- 고유망각 개념을 제안했는데, 이에 따르면 망각세포도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 참조. - 뉴런 제공 ● 수면이 망각 과정 억제해 망각은 작용 양상에 따라 수동적 망각과 능동적 망각으로 나뉠 수 있다. 먼저 수동적 망각은 기억을 담고 있는 뉴런이 죽거나 손상돼 해당 기억의 엔그램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2017.11.14
- 수 있다(7분 지점). 위는 원 데이터이고 아래는 이를 분석한 그래프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참조. - 플로스 원 제공 ● 수면에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 측면 아냐 흥미롭게도 연구자들 역시 논문 말미에서 파란빛의 모순을 언급하고 있다. 즉 수면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를 억제하는 각성작용을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