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임"(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십자매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신생아는 태어난 직후부터 주위 어른들의 언어 소리에 둘러싸인다. 울기만 하다가 조금씩 웃을 수 있게 되면 슬슬 소리를 내는 단계가 된다. ‘구구’ 하는 소리를 내거나(cooing) 옹알이(babbling)를 하는 단계를 거쳐, 마침내 1살(만 나이. 한국 나이로는 2~3살)이 되면 처음으로 말을 하기에 이른다. 귀 ...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과학동아 l2014년 07호
- 1년 반 전 일이 생생하다. 나는 국제 화성탐사대 12명의 일원으로 탐험에 나섰다. 한국의 화성탐사 우주인으로 선발된 지 10년 만의 일이었다. 12명의 우주인들은 미국 케네디우주센터에서 100t의 화물을 지구 저궤도에 올릴 수 있는 강력한 SLS 로켓을 타고 우주로 향했다. 우리는 발사 10분만에 고도 20 ... ...
- [과학뉴스] 쿼크 6개로 이뤄진 新 입자 발견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미지의 새로운 입자가 발견됐다. 독일 율리히원자력연구소는 가속기 ‘코시(COSY)’ 실험을 통해 6개의 쿼크로 이뤄진 새로운 입자가 존재함을 입증해 물리학술지 ‘피지컬리뷰레터스’ 5월 23일자에 발표했다.쿼크는 전자와 함께 세상의 물질을 이루는 입자로 현재까지 모두 6종류가 발견됐다. 둘 ... ...
- 빛으로 물질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빛을 이해하는 일이야말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물리학의 핵심 주제였다. 빛을 다루기 위해 거울을 사용했던 흔적은 고대 이집트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렌즈도 고대 로마에서 이미 쓰이고 있었다. 그리스 자연철학자 헤론은 빛이 두 점 사이의 최단거리로 진행한다고 제안했다. 비슷한 시기에 ... ...
-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제곱근과 전자, 그리고 클리퍼드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제곱근을 구하는 과정은 끊임없이 인류가 사용하는 수 체계의 확장을 이끌었다. 특히 19세기 수학자 윌리엄 킹던 클리퍼드는 시공간 기하 그 자체의 제곱근이 살고 있는 체계를 발견해, 물질의 미시적인 구조를 밝히는 데 기여했다. 이번 달에는 수 체계의 확장과 클리퍼드의 대수에 대해 공상해 ... ...
- 7회 명성병원에서 최동건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수지가 다니던 캠퍼스에서 푼 퍼즐로 드러난 제3의 용의자, 최동건. 최동건이 K이면서 수지와의 사건 배후에 있는 인물이라고 확신한 왕 반장은 수색 끝에 최동건이 현재 명성병원에 입원해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다. 왕 반장은 최동건을 통해 수지와 K에 대한 정보를 알아 낼 수 있을까? 왕 반장 일 ... ...
- 맹꽁이 VS 두꺼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아빠랑 시골에서 두꺼비를 보았어요. 그런데 아빠께서는 맹꽁이라고 부르시지 뭐예요? 생긴 건 둘이 정말 비슷한데…, 도대체 무엇이 다른가요? 헷갈려요~! 장준영(순천 왕조초 5)맹꽁이개구리목 맹꽁이과의 맹꽁이는 주둥이부터 엉덩이까지 몸 크기가 4~6㎝로 두꺼비보다 작아요. 몸통이 둥글고 ... ...
-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는 수백 명이 사망한 사고는 많은 분들에게 충격과 공포 혹은 슬픔과 분노를 불러일으켰 어요. 세계 조선업 1위이자 ‘과학대국’이라는 평판이 부끄러울 정 도로, 우리는 배가 조금씩 바다 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멍하니 보 고 있어야 했죠. 그리고 하나둘 숨겨져 있던 사 ... ...
- 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레시피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지구에 위성이 달 하나라는 사실이 못내 아쉬운 사람이라면, 위성 제작에 도전해 보자. 잠시 후 1파트에 나올, 위성이 탄생하는 메커니즘 7가지를 숙지한다면 못할 것도 없다. 이를 그림과 만화로 미리 이해해 보자. 직접 만드는 방법은 3가지, 다른 소천체를 뺏는 포획 방법은 4가지다.행성이 탄생하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2001년 처음 나온 영화 ‘해리 포터’에서 주인공은 아버지가 물려준 투명망토를 이용해 수 차례 위기를 모면한다. 그저 둘러 쓰기만 하면 감쪽같이 몸이 보이지 않는 망토다. 당시만 해도 투명망토는 그저 영화나 상상 속에서 가능한 물건이었다. 물리학자들조차 투명망토가 광학적으로 불가능하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