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임"(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백혈병은 반도체 공장 때문이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아빠가 꼭…, 약속 지킬게.”백혈병을 앓던 딸은 병원에 채 못 미쳐 아빠의 택시 뒷좌석에서 숨을 거둔다. 23살 젊은 나이에 하늘 나라로 떠난 딸을 보며 아빠는 약속한다. 공장에서 억울하게 병을 얻어 고통 속에 죽어갔음을 알리겠노라고….그날부터 아빠는 길고 긴 싸움을 시작한다. 딸이 일하 ... ...
- 말 타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말은 예부터 우리 조상 곁을 지켜온 동물이다. 신라를 세운 박혁거세의 알을 지킨 것도 말이었고, 고구려를 세운 주몽이 승천할 때 탄 동물도 말이었다. 이처럼 명색이 기마민족의 후예인데, 주변을 둘러보면 말 타는 사람이 거의 없다. 독일에서는 여성이 가장 좋아하는 스포츠가 승마라는데….말 ... ...
- LED 밑에서 잠 못 드는 닭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올해부터 국내에서도 백열전구 판매가 금지됐다. 동네 전파상부터 대형마트까지 백열전구가 자취를 감췄고, 대체용으로 1만 원 이하의 LED 전구가 나오고 있다. 이러한 LED 전구 열풍이 양계 농가에서는 훨씬 전부터 불었다.LED 전구가 양계장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2010년 즈음이다. 당시 양계장은 ...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까치가 우리 생활과 가까운 새가 된 것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오죽하면 “까치 까치 설날은…” 이라며 명절을 노래할 때도 등장할까. 도시와 농촌을 가리지 않고 볼 수 있는 가장 친근한 새지만,똑똑하기로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조류계의 영장류’라는 사실을 제대로 아는 사람은 드물다.너 ...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백설공주는 나쁜 왕비가 건네준 사과를 한입 베어 물고는 쓰러져 버린다. 일곱 난장이들이 죽은 백설공주를 유리관에 눕히고 슬퍼하고 있을 때, 우연히 이곳을 지나던 왕자가 공주를 보게 된다. 공주의 미모에 반한 왕자는 난장이들에게 사정하여 공주의 관을 얻는다. 관을 왕자의 궁전으로 옮기던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씽씽! 겨울엔 신 나는 스키와 스노보드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임진서 : 오빠, 스키와 스노보드 어느 게 더 재밌어?박찬선 : 글쎄? 난 둘 다 재밌어. 음…, 그래! 자장면과 짬뽕! 둘 중 무얼 먹을래 물어 보는 것처럼 어려운 질문인걸? 자장면은 자장면대로, 짬뽕은 짬뽕대로의 맛이 있는 것처럼 스키와 스노보드도 서로 재미가 다르거든.임진서 : 자장면과 짬뽕은 ... ...
- 상속자들 공평한 분배법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안녕하십니까! 대기업 M그룹의 ‘공평해’ 회장입니다. 저에게는 두 아들과 한 명의 딸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녀석들이 벌써부터 재산 상속을 두고 싸우고 있어요. 안 그래도 어떻게 하면 공평하게 재산을 분배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은데 말이지요.그래서 생각했습니다. 세 자녀들에게 공평한 ... ...
- 중국의 ‘선녀’, 달로 돌아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중국의 무인 달 탐사 위성인 ‘창어 3호’가 현지시간으로 지난 12월 14일 오후 9시 12분 경 달 표면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어요. 이로써 중국은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달에 도달한 나라가 되었답니다.창어 3호는 12월 2일 중국 쓰촨성 위성발사센터에서 발사된 뒤 12일 간의 우주여행 끝 ... ...
- [가상인터뷰] 뱀주사위놀이를 하면 수학 실력이 쑥쑥!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미국 보스턴대의 엘리다 라스키 교육심리학 교수는 뱀주사위놀이를 하면서 숫자를 세는 방법에 따라 아이들의 수학 실력에 큰 차이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미국 발달심리학 저널에 발표했습니다.대체 뱀주사위놀이와 수학이 무슨 상관이 있는 걸까요? 엘리다 라스키 교수님께 확인해 봐야겠습니다 ... ...
- [현장취재 ❶] 수학동아 클리닉 덕분에 수학 자신감 되찾았어요!수학동아 l2014년 01호
- 12월 6일, 동아사이언스 용산 사옥에서 열린 수학동아 클리닉 수료식을 마지막으로 10명의 학생들은 수학 자신감 회복이라는 고지를 향한 긴 여정을 마쳤다. 과연 학생들은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되찾았을까? 마지막이 아닌 새로운 시작을 다짐한 뜨거운 현장으로 지금 가 보자!“지난 1월에 쓴 소망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