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방법이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다행히 선배 과학자들의 실험으로 세포가 리소좀 외에 ATP를 사용해서도 단백질을 분해한다는 것을 어렴풋이 알고 있었는데, 여기서 큰 도움을 얻었습니다.”그는 1970년대 후반, 리소좀이 없는 망상적혈구에서 유비퀴틴을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 ... ...
- [가상인터뷰] 강아지 눈에 나침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교수팀은 포유류도 이와 같은 능력을 갖고 있는지 궁금했어요. 그래서 동물 90종의 망막 세포를 분석했지요.그 결과 개, 늑대, 곰, 오랑우탄 같은 포유류 동물의 눈 안에 자기장을 감지하는 ‘크립토크롬’이라는 단백질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반면 호랑이나 사자 같은 고양이과 동물들은 ... ...
- [과학뉴스] 세포가 ‘셀프 치료’하는 원리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제거해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작용이기도 하다.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쥐 세포에서 자가포식이 발생하는 과정에 어떤 후성유전학적인 변화가 일어나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히스톤 단백질의 메틸화를 담당하는 ‘CARM1’ 단백질이 자가포식 작용 동안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 ...
- [과학뉴스] 암 RNA 이용한 만능 항암백신 나올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자극을 줘서 음전하를 띠게 했다. RNA가 파괴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동시에 수지상세포에 잘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다.연구팀은 이 나노입자를 암에 걸린 쥐와 흑색종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투여했다. 그 결과 적은 양으로도 목표 항원에 대한 강력한 면역반응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 ...
- [과학뉴스] 냉방병 원인균의 독특한 유비퀴틴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유비퀴틴화’ 과정을 통해 제거한다. 쓰레기 단백질을 이동시키고 분해하는 과정은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과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암과 같은 질병이 생긴다.미국 퍼듀대 자오-칭 루오 교수팀은 최근 냉방병원인균(Legionella pneumophila )에서 기존에 알려진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도움이 되는 브레인푸드는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브레인푸드의 성분은 ①뇌의 신경세포나 뇌 기능에 필요한 물질의 구성성분인 것(레시틴, 포스파티딜세린, 오메가-3 등), ②뇌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해 저하된 인지능력을 개선하는 물질(테아닌, 설포라판 등), ③유해물질을 조절해 인지능력 유지에 ...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를 안정시켜 새로운 혈관을 만든다. 이 혈관은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암 세포가 다른 장기로 옮겨가는 통로로 이용되기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Part 3. ... ...
- [과학동아] 상처 난 곳까지, 출동 피부세포!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새롭게 세포 분열을 시작해 녹였던 단백질을 굳혀 상처를 봉합했다. 존스 교수는 “피부세포의 이동을 촉진하면 피부궤양이나 화상 부위의 피부 재생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 ‘실험생물학회지’ 6월호에 게재됐다 ...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평범한 돼지들이 변하기 시작했다. 어떤 돼지는 헬스트레이너 못지 않은 근육을 자랑하는 ‘근육돼지’가 됐고, 어떤 돼지는 인간의 장기 ... 할 부분”이라는 입장을 발표했다. 박정규 교수 역시 “기초연구가 좀 더 진행되고, 줄기세포연구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외부 유전자 중 가장 늦게 들어온 축이었다. 시간순서로 볼 때 미토콘드리아가 진핵세포에 들어올 때 이미 복잡한 구조가 있었다는 것이다. 미토콘드리아 이전에 들어온 세균 유전자는 다른 세균으로부터 수평적 유전자 변이를 통해 전달됐을 것으로 추정된다.복잡한 논의를 거쳤지만 우리의 질문은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