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 [Editor’s Note] 공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특집으로 다룬 미토콘드리아는 생명이 공존 지향성을 지녔음을 증명하는 놀라운 사례다. 세포와 미토콘드리아는 서로 공존하며 길고 긴 진화 역사를 함께 했고, 이 공존 덕분에 인류를 포함해 크고 복잡한 새 생명체가 지구에 등장할 수 있었다.연재 중인 ‘전중환의 협력의 공식’에서도 공존을 ... ...
-
- [과학뉴스] 냉방병 원인균의 독특한 유비퀴틴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유비퀴틴화’ 과정을 통해 제거한다. 쓰레기 단백질을 이동시키고 분해하는 과정은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과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암과 같은 질병이 생긴다.미국 퍼듀대 자오-칭 루오 교수팀은 최근 냉방병원인균(Legionella pneumophila )에서 기존에 알려진 ... ...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를 안정시켜 새로운 혈관을 만든다. 이 혈관은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암 세포가 다른 장기로 옮겨가는 통로로 이용되기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Part 3. ... ...
-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구조적으로 매우 유사한 테아닌이 투입되면 글루탐산 대신 붙어버린다. 이로써 다음 신경세포로 전달되는 글루탐산이 줄고, 곧 흥분이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난다. 정재훈 삼육대 약대 교수는 “수면을 유도하는 방법 중 GABA를 촉진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가 탁월해 수면제에서 주로 활용된다”며 ... ...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방법이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다행히 선배 과학자들의 실험으로 세포가 리소좀 외에 ATP를 사용해서도 단백질을 분해한다는 것을 어렴풋이 알고 있었는데, 여기서 큰 도움을 얻었습니다.”그는 1970년대 후반, 리소좀이 없는 망상적혈구에서 유비퀴틴을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 ... ...
-
- [과학동아] 상처 난 곳까지, 출동 피부세포!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새롭게 세포 분열을 시작해 녹였던 단백질을 굳혀 상처를 봉합했다. 존스 교수는 “피부세포의 이동을 촉진하면 피부궤양이나 화상 부위의 피부 재생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 ‘실험생물학회지’ 6월호에 게재됐다 ... ...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의 암수 다른 뇌구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가정했다. 실제로 유충 단계에서 먹이, 포식자, 짝 등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던 신경세포(PHB neurons)가 암컷 성충에서는 특정한 맛을 피할 때, 수컷 성충에서는 짝짓기 신호를 감지할 때 활성화됐다. 호버트 교수는 “암수의 성장 단계에서 뇌 발달 차이가 생기는 것 같다”며 “어떤 기전으로 신경망의 ...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도움이 되는 브레인푸드는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브레인푸드의 성분은 ①뇌의 신경세포나 뇌 기능에 필요한 물질의 구성성분인 것(레시틴, 포스파티딜세린, 오메가-3 등), ②뇌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해 저하된 인지능력을 개선하는 물질(테아닌, 설포라판 등), ③유해물질을 조절해 인지능력 유지에 ... ...
-
-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말락 눈을 뜨는 데에도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 모든 에너지는 세포에서, 세포 중에서도 세포소기관의 하나인 미토콘드리아에서 나온다. 미토콘드리아가 만들어 내는 에너지로 우리는 존재한다. 최근에는 진화와 질병 치료에서도 미토콘드리아가 활약하고 있다. 이번 기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자랐지만, 한 세포에서 문제가 일어났다. 처음에 모계 미토콘드리아 비율이 1.3%였던 이 세포는, 36세대가 지난 뒤 비율이 53.2%까지 상승했다. 에글리 박사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불확실성 속에서 (세 부모 아이)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현명한 행동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