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기술적인 도움을 준다. 베테랑요리사 겸 보조요리사다. 구본경 영국 케임브리지대 줄기세포연구소 그룹리더는 “이런 시스템이 선진국의 연구효율을 높이는 비결”이라고 말했다. “저희 실험실엔 박사과정 또는 박사후연구원이 6~7명밖에 없어서, 한국연구자들은 ‘연구원 수가 너무 적지 않냐 ...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마이코플라스마 카프리콜럼의 유전자와 ‘바꿔치기’ 했다. 카프리콜럼의 ‘몸(세포)’에 마이코이데스의 ‘영혼(유전자)’이 들어간 이 생물은 놀랍게도 성장과 분열을 거듭했다. 이것이 ‘JCVI-Syn1.0’이다.그리고 6년 뒤인 올해 3월,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생명체 ‘JCVI-Syn3.0’이 ...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잎, 그 줄기는 살아있는 거잖아. 네 팔을 잘라도 잠시 동안은 팔 안의 근육과 신경, 혈액 세포들이 살아있는 것처럼. 생명의 핵심은 움직임이고 에너지야. 살아있는 것을 파괴해서, 생명을 죽음으로, 연속된 움직임을 영원한 정지로 바꾸어서 내 생명, 내 움직임만 연장하는 건 모두 죄일 뿐이고. ... ...
-
- [과학뉴스] 후천적 비만의 원인, 단초 밝혔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체내 신호전달물질로 알려진 ‘S6K1’이 유전자 발현 과정을 변화시켜 비만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S6K1의 후성유전학적인 역할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한정 ... 억제되면 지방세포 수가 늘어나 비만으로 이어진다. 이 연구는 생물학 학술지 ‘분자세포’ 4월 14일자에 실렸다 ... ...
-
- [과학뉴스] 호암재단, 6월에 노벨상 수상자 초청 강연회 열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단추인 유비퀴틴을 발견해 연구의 문을 열었다. 유비퀴틴이 다른 단백질에 달라붙으면 세포의 쓰레기처리장인 프로테아좀이 활성화돼 단백질이 작은 조각으로 분해된다. 노벨상 위원회는 유비퀴틴의 이런 작용을 ‘죽음의 키스’라고 표현했다.치에하노베르 박사는 지금까지 꾸준한 기초 연구를 ...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새로운 바이러스 유전체를 만들어 세포에 삽입한다. 실험이 문제 없이 잘 진행된다면 세포는 새로운 바이러스 유전자, 즉 변종 H5N1을 만들기 시작할 것이다. 블랙 바이오해커 손에 변종 바이러스가 들어가면?물론 연구자들이 바이러스를 합성하는 이유는 바이러스의 발병 메커니즘을 밝히고 ... ...
-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일으키지 않는 하나의 세포예요. 다시 말해서, 무정란은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큰 세포랍니다!그럼 동물은 언제부터 알을 낳았을까요? 2004년 미국 버지니아공대의 슈헤이 샤오 교수는 남중국에서 발견된 약 6억 년 전 배아 화석에서 부화 직전의 흔적을 발견했어요. 이건 적어도 고생대 이전에 ...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교수팀은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유전자회로 60개를 설계했고, 이중 45개는 살아있는 세포에서 정확하게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이 45개의 회로만 잘 이용하면 사용자는 원하는 환경에서만 특정 대사를 하는 생물을 만들 수 있다. 연구팀은 “산소 농도, 당 농도, 온도, pH와 같은 환경요소를 입력 ...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입 안 대고 풍선을 불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들이마신 기체에 비해 산소가 줄어들고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는 많아진 상태예요. 몸속 세포가 에너지를 만드는 데 필요한 산소는 받아들이고, 에너지를 만들면서 생긴 이산화탄소는 배출하기 때문이지요.풍선을 부풀리기 위해서는 날숨을 대신할 기체가 필요해요. 지구상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 ...
-
- [지식] 최고의 방정식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정수를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김재경 KAIST 수학과 교수는 신경세포의 원리를 묘사하는 비선형미분방정식인 ‘호지킨-헉슬리 모델’을 선택했다. 이 모델은 1952년에 만들어진 이후 뇌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공로로 개발자인 호지킨과 헉슬리가 1963년에 노벨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