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또 어떤 일을 하게 될지 모릅니다. 줄기세포 여러분, 올해는 뉴트로필로 분화해 보람 있는 삶을 살아보는 것은 어떨까요 ... ...
-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야간 심부최저체온이 2℃가량 높아지는데, 이 또한 좋지 않은 영향이다. 태아의 뉴런에 세포자살을 촉진시켜 해마 부피를 줄이고, 뉴런의 민감성을 높인다. 폴 박사는 임신 중기에 겨울을 맞는 산모들이 비타민D를 먹을 게 아니라 낮 시간에 햇볕을 더 쬐어야 한다고 논문에 적고 있다.위 사례에서 볼 ... ...
- [Tech & Fun]추운겨울, 물 없이 씻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병원성 외부물질이 피부 표면에 닿자 표피포도상구균이 세포독성 T 세포(TC 세포)를 유도해 선천성 면역 보호 작용을 강화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상재균까지 모두 다 제거하는 워터프리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면역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방부 기술 역시 ... ...
- [News & Issue]혼자 살면 좋을까? 아니 골병난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노르에피네프린 수치가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르에피네프린은 체내에서 면역세포 생산을 조절하는 호르몬 중 하나인데, 이것이 증가하면 미성숙한 백혈구가 증가하고, 바이러스 대항 물질은 감소해 면역체계가 약화된다. 실제로 노르에피네프린 수치가 높은 원숭이에게 ... ...
- [News & Issue] 아이 계획 있다면 남편 다이어트부터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아이 계획이 있는 부부는 임신 전부터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다. 이때 아빠의 체중 관리가 특히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덴마크 코펜하겐대 로메인 바레 ...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추가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세포 물질대사’ 2015년 12월 3일자에 실렸다 ...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시작했다.그 결과 옥수수와 수수, 사탕수수 같은 식물이 늘어났다. 이들은 이산화탄소를 세포에 저장했다가 광합성에 이용하기 때문에 벼와 밀, 콩 같은 식물에 비해 유리하다. 또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줄어들면서 세계적으로 기온이 낮아지고 남극과 그린란드, 캐나다 등지에 빙하가 생겼다.약 2억 ... ...
- [News & Issue]4세대 방사광가속기 준공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분자의 3차원 결합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앞으로 친환경 에너지 기술과 신소재 개발, 세포와 단백질 구조 분석, 플라즈마 물리학 연구, 표면 및 계면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예정이다.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준공된 4세대 방사광가속기이며, 1년간 시운전을 거쳐 2017년 초부터 ... ...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FDM 방식에 비해 5배, 대조군에 비해 20배 높았다. 비슷한 실험을 해 본 이 교수는 “동물 세포가 남김 없이 다 죽었다”며 “최소한 의료기기용 국제표준인증(ISO) 기준은 통과할 수 없는 수준일 것”이라고 말했다.이 같은 지적에 대해 같은 광중합 방식인 DLP 프린터를 개발·생산하고 있는 한 국내 ... ...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감염되면서 빛감지채널을 신경세포 DNA에 삽입시켰고, 유전자가 발현되자 감염된 신경세포들이 빛에 반응할 수 있게 됐다.마찬가지의 방법을 인간에게도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우선 뇌에 들어와도 전혀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바이러스를 찾고 안전성을 확보해야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많은 포도당을 소모하기 때문에, 방출되는 양전자의 차이를 분석하면 어느 부위에 암세포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신약 개발을 위한 단백질 구조 분석도 가속기가 활용되는 분야로, 현재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치료에 가장 많이 처방되는 치료제 칼레트라(Kaletra)가 대표적이다. 칼레트라는 1996년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