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당신의 이야기로 숲을 가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나무를 안아보았나요’ 같이 자연에 관한 책이 있었다. 이를 계기로 과학동아를 통해 처음 갖게 된 환경과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폭발했다.군대에서 뜻이 맞는 사람을 만난 것도 큰 행운이었다. 트리플래닛의 공동창업자인 김형수 대표를 만난 것이다. 김 대표와 나는 밤낮으로 생각을 나누며 ... ...
- [기획] 페로몬만 믿고 따라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도시를 방문할 계획이고 각 도시가 다른 도시와 도로로 연결돼 있을 때, 이 외판원이 처음 도시에서 각 도시를 한 번씩만 방문한 후 다시 출발한 도시로 돌아오는 비용 또는 시간이 최소가 되는 경로를 찾는 문제입니다. ACO 알고리듬에서 개미가 경로를 택할 확률은 경로에 뿌려진 페로몬 농도에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개념을 대충 공부했다가 낭패를 본 적이 있어요. 그래서 요즘은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처음 공부하는 개념은 하나하나 따지면서 최대한 이해하고 내 것으로 만들려고 노력해요. 개념을 확실히 해야 심화 문제도 잘 풀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수학의 근본은 개념과 정의니까요. 또 어려운 문제를 풀 ... ...
- [인터뷰] “인류 보편적 진화 과정 통해 역사 살펴야”과학동아 l2021년 04호
- 30여 년 수행하며 국내 구석기 연구를 주도한 고고학자다. 연천 전곡리 유적은 1978년 처음 발견돼 이듬해부터 발굴이 시작된 유적으로, 140만~10만 년 전 유럽과 아프리카의 전기구석기 석기 양식으로 알려져 있던 ‘아슐리안’ 양식을 따른 주먹도끼가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발굴되면서 세계적으로 ...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했고 나는 조카들을 돌보느라 차 안에 남아 있었다. 그러니 납골당에 들어가 보는 건 처음이었다. 요즘은 뭐, 납골 항아리를 땅에 다시 묻느니 납골함을 메모리얼 북으로 만드느니 온갖 게 다 있던데 외할머니가 있는 납골당은 그냥 납골당이었다. 탄탄한 전면 유리 장식장 안에 납골 항아리가 하나 ... ...
- [기획] 언니 개미는 동생들밖에 몰라~!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상대방도 이타주의자일 가능성이 50%라고 추정할 수밖에 없죠. 이런 상황에서는 처음에 이타주의자가 아무리 높은 비율로 있었다고 해도, 결국엔 배신자가 득세하고 이타주의자는 사라집니다. 이타주의자는 호의를 베푸느라 손실을 감수하지만, 배신자는 그런 손실을 감수하지 않기 때문이죠.그림의 ... ...
- [이달의 과학사] 1920년 2월 3일 ‘하임리히 요법’의 창시자 헨리 하임리히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상황에서 요법을 써본 적이 한 번도 없었어요. 패티 할머니의 목숨을 구한 그 순간이 처음이었던 거죠. 그후 반년도 지나지 않은 2016년 12월 17일, 헨리 하임리히는 96세로 세상을 떠났답니다. 용어정리* 기도 : 호흡할 때 공기가 지나는 통로 ... ...
- [수학뉴스] 코로나19 보호 장비 부족 게임 이론으로 해결한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내리는 상황을 가정한 뒤 게임 이론을 적용하는 것입니다.이를 통해 연구팀은 영국에서 처음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왔던 지난해 1월 31일과 세계보건기구(WHO)가 보호 장비 부족에 대해 경고했던 2월 7일 등 5가지 시점별로 보호 장비를 비축하는 상황을 게임 이론으로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킴 에릭 드렉슬러는 1986년 발표한 저서 ‘창조의 엔진’에서 지금의 나노봇 개념을 처음 제시했다. 당시 드렉슬러는 분자 조립자(molecular assembler)라고 일컬었다. 이 책에서 꿈꾸는 나노봇은 고도로 프로그래밍돼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자가복제까지 가능하다. 영화 ‘승리호’에서 서로 신호를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제대로 싸운 적이 없으므로, 이번 경기는 지구 생명체와 칼리토포스, 모두 실격패다.”처음 경기의 공식 결과는 그렇게 발표됐다. 모든 정치, 경제적 상황을 고려한 합리적인 결론이었다. 그러나, 이 경기를 신성시하는 우리우리스족의 문화는 이 결론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했다. 곧 결론에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