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밝힌 게 대표적이다. doi: 10.1038/nature13302 김 교수는 “유전체 지도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 인간의 모든 정보를 알아냈다고 생각했지만, 단백질을 들여다보면 유전체 지도만으로는 알 수 없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김 교수의 목표는 한국인의 단백체 지도를 만드는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화. 지명 수배자 삐뚤란을 찾아 그렁그렁 행성으로 출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눈이었습니다. 눈이 커다랗고 촉촉해서 보기만 해도 빠져들 것만 같았지요. “저기요, 처음 오셨나요?”입구에서 누군가 말을 걸었습니다. 표 판매원이었습니다.“축제 입장료는 5그렁입니다. 축제 안내서는 2그렁이고요. 무제한 말캉 시식권은 10그렁이에요. 그리고 축제 기념품인 말캉 쿠션은 ... ...
- [가상인터뷰] 전기뱀장어, 함께 모여 사냥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거야. 협동사냥은 어류에서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현상이야. 특히 전기뱀장어에게선 처음 관찰되었지. 연구팀은 앞으로 전기뱀장어들 서로 어떻게 소통하면서 사냥하는지 등을 더 연구할 계획이라 밝혔어 ... ...
- [특집] 딥러닝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어떻게 더 잘 학습시킬 수 있을지 연구하는 이동헌 교수입니다. 수학에서 함수를 처음 접하면, 흔히 입력을 받은 다음 이런저런 과정을 거쳐서 출력을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배워요. 사실 컴퓨터 프로그램들도 ‘함수’라는 것을 이미 수학자들이 증명했습니다. 그런데 보통의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 ...
- [기획] 동양 vs 서양, 누가 먼저 찾았을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소수점 아래 6번째 자릿수까지 원주율을 구한 것이었습니다. 3.141592는 1969년 인류가 처음 달에 가기 위한 아폴로 계획을 수행할 때 계산에 적용한 원주율이며, 현대 공학 계산에서 널리 활용하는 정밀한 값입니다. 동양의 수학이 서양에 결코 밀지지 않았던 겁니다. 중국에서 전해진 수학을 바탕으로 ... ...
-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궤도를 유지하면서 지구를 관찰하죠. 그 비결은 바로 중력과 구심력입니다. 인공위성은 처음 로켓에서 분리되면서 지구 바깥쪽으로 날아가는 운동을 하는데 지구가 인공위성을 당기는 중력(구심력)이 작용하면서 원운동을 하게 됩니다. 과학자들은 중력과 인공위성의 구심력이 같아지도록 고도와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원의 대칭은 몇 개일까요? 잠시 생각해 보면 원은 어떻게 회전하거나 반사해도 모양이 처음 모양에서 변하지 않는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원은 한마디로 무한한 대칭을 갖는, 완전한 균형 그 자체인 셈이죠. 원의 회전 대칭과 단위원군2차원 도형의 두 가지 대칭인 회전 대칭과 반사 대칭 중에서 ... ...
- [한페이지 뉴스] 10월 발사 ‘누리호’ 첫 연소시험 3월엔 ‘차세대중형위성’ 발사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통제가 문제없이 이뤄지는지를 30초간 시험했다. 4기의 엔진을 묶어서 시험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3월에는 1단 엔진에 공급된 추진제를 모두 소진하는 127초 종합연소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다.한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3월 20일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국내 기술로 개발한 정밀 ...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조건을 만족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펜로즈 과정과 젤도비치의 실험 방법은 지난해에야 처음으로 증명됐다. 다니엘 파치오 영국 글래스고대 물리 및 천문학부 교수팀은 음파와 회전하는 흡음기를 이용해 커 블랙홀과 유사한 환경을 만들어 펜로즈 과정이 실제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 지난해 6월 ... ...
- 가습기 살균제는 폐질환과 관계없다? ‘무죄 판결’ 둘러싼 과학적 쟁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종합해 판단을 내린 반면, 법원에서는 일대일로 인과관계를 평가한 뒤 부족한 증거는 처음부터 채택하지 않았습니다. 박태현 강원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2심에서는 과학자들의 증거 해석 방식도 존중받아야 함을 주장해볼 수 있다”며 “이 같은 방식으로 전문가들의 진술을 다시 본다면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