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려대학교
고대
고려대학
뉴스
"
고려대
"(으)로 총 1,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망막 개발 멀지 않았다… 1차원 반도체 개발
2016.07.19
향후 인공망막 개발에 응용될 수 있는 신소재로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찰스 리버 하버드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전기신호와 광신호를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가느다란 선(線)형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런 선형 반도체는 흔히 ‘1차원 ... ...
제 2의 불산사고 막아라… 화학물질 피해예측 가능해진다
2016.07.18
기술이 개발된다. 환경부는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한국화학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고려대
등 국내 10여개 기관 연구자 41명이 참여하는 ‘화학사고에 의한 생태영향평가 통합기술’ 추진에 나설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이 사업은 2022년까지 진행되며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연구비 135억 원을 ... ...
이 단백질 많으면 암세포도 독한 놈입니다
2016.07.13
진행 정도와 전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김준
고려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암세포의 악성 정도가 심해지면 양이 변하는 특정 단백질(RPS3)을 발견했다고 13일 밝혔다. 지금까지 특정 단백질로 어떤 암이 발생할지 예상할 수는 있었으나, 단백질의 양으로 암의 ... ...
M램은 속도 느려 못 쓴다고? 제약 깬 새로운 M램 개발
2016.07.13
잡을 수 있는 차세대 메모리의 핵심소자를 개발했다. 박병국 KAIST 교수팀과 이경진
고려대
교수팀은 공동으로 자성을 이용하는 자성메모리(M램)의 속도와 집적도를 동시에 높이는 소재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M램은 전원이 없으면 정보를 잃는 기존의 S램과 달리, 전원이 연결돼 있지 않아도 ... ...
여름을 즐겨라~ 돌아온 ‘사이언스 바캉스’
과학동아
l
2016.07.08
얘기한다.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국내외 AI 연구 현황을 설명하고, 이성환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는 뇌공학의 관점에서 AI를 분석한다. 김선주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알파고의 ‘비밀 병기’인 딥러닝에 대해 쉽게 알릴 계획이며,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AI를 둘러싼 철학적, ... ...
공포의 ‘지카 바이러스’ 백신 언제 나오나
2016.06.29
적용 가능한 백신을 개발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송대섭
고려대
약대 교수는 “신종 감염병인 지카 바이러스에 대해 백신 후보주를 신속하게 선발해 낸 것”이라며 “동물실험을 통해 지카 바이러스 감염을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데 의미가 있다”고 ... ...
과학기술인들이 모여 ‘ESC’를 만들었다... ESC의 정체는?
2016.06.18
잔 씩하면서 대화하고 있었다. 파티처럼 자유로운 분위기의 행사장에서 윤태웅 ESC 대표(
고려대
교수ㆍ사진)를 만났다. 윤태웅 ESC 대표 - 변지민 기자 ▲ESC가 무슨 뜻인가요? -'Engineers & Scientists for Change'의 첫 글자를 따서 ESC라 부르기로 했습니다. 법인의 이름은 '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 ...
韓, 신약 개발 첨병 간세포 中에 수출 쾌거
2016.06.17
김종훈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 -
고려대
생명공학부 제공 국내 연구팀이 모든 장기로 분화할 수 있는 인간의 전분화능 줄기세포로 만든 간세포를 아시아 최초로 상용화해 ...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이 줄기세포를 이용해 만든 간세포를 배양하고 있다. -
고려대
생명공학부 ... ...
“암흑물질이 6600만 년 전 공룡을 멸종시켰다”
2016.06.15
교수(54)는 저서 ‘암흑물질과 공룡’ 한국어판 출간을 기념해 14일 서울 성북구 안암로
고려대
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랜들 교수는 “우리가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는 암흑물질이 우주의 역사는 물론 지구에 사는 생물의 흥망성쇠에까지 떼려야 뗄 수 없는 영향을 주고받았다는 ... ...
최대 8배까지 늘어나는 투명전극 개발
2016.06.13
윤석구
고려대
기계공학부 교수(왼쪽)와 논문 제1저자로 참여한 안성필 연구원. -
고려대
기계공학부 제공 8배까지 쭉 늘려도 끄떡없이 전기가 흐르는 유연한 투명전극이 개발됐 ... '투명'하기 때문에 빛을 투과시킨다(왼쪽). 이 투명전극을 이용해 불을 밝힌 모습. -
고려대
기계공학부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