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려대"(으)로 총 1,608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머리 속 ‘GPS’...이렇게 작동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2.20
- 세바스쳔 로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팀은 최준식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공간을 인지하는 장소세포와 감각을 인지하는 장소세포가 서로 다른 경로로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0일 밝혔다. 장소세포는 장소를 인지하고 자기좌표를 ... ...
- 3D 프린터로 ‘꿈의 집’ 간편하게 짓는다동아사이언스 l2017.02.14
- 수직 골조를 3D 프린터로 쌓는 실외 일체형 3D 프린팅 건설 기술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려대,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등 16개 기관과 공동으로 개발 중이라고 14일 밝혔다. 지난해 11월 착수한 이번 프로젝트는 5년간 130억 원 규모로 진행된다. 기존의 3D 프린팅 건설 기술은 대부분 모듈형으로 ... ...
- 안전하면서도 까먹지 않는 비밀번호는 어떻게 만들까?동아사이언스 l2017.02.10
- W^d^y^d^y7850_r, _r은 빨간색을 뜻하는 red에서 가져옴) 비밀번호는 더 완벽해진다. 최진영 고려대 정보보호학부 사이버국방학과 교수는 “사람들이 주로 기억을 돕기 위해 비밀번호 일부에 한글 단어를 그대로(예를 들어 바나나는 qksksk로) 사용하는데, 국내 사이트 이용 시에는 위험하다”며 ... ...
- 국내 연구팀, 간경화 치료하는 줄기세포 단백질 발견포커스뉴스 l2017.01.31
- 결과, MFG-E8 단백질이 간조직의 섬유화를 억제하는 핵심 인자로 밝혀졌다. 연구책임자인 고려대 김종훈 교수는 “줄기세포의 이식 없이 MFG-E8 단백질만으로 높은 치료효과가 있음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고, 줄기세포의 기능성 강화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 성과의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 ...
- 그래핀으로 나노레이저의 성질 자유자재로 바꾼다과학동아 l2017.01.29
- 위해서는 전자칩에 집적시킬 만큼 작은 레이저를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그래핀을 이용해 나노레이저의 색을 바꿀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그래핀은 전기적 특성은 뛰어나지만 빛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레이저 같은 광소자에 쓰기에는 적당하지 않았다. ... ...
- 과학기술 석학 한 자리에…한림원, 신입 정회원 31인 영입동아사이언스 l2017.01.24
- 제24권 ‘김치 100그램의 행복 : 김치, 과학에 건강을 더하다’와 최의소 공학부 종신회원(고려대 명예교수)이 지은 제25권 ‘모르고 먹고 알고 버리는 물’, 임한종 의약학부 종신회원(고려대 명예교수)가 지은 제26권 ‘열대병과 소외열대병’ 등이다. 오후 5시 30분부터는 ‘세계 의학의 최근 ... ...
- ‘트랜스젠더 건강 연구’ 크라우드펀딩으로 시도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1.24
- 있다. 김승섭 교수가 이번 트랜스젠더 건강연구의 프로젝트 매니저를 맡은 이혜민 고려대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오른쪽)과 대화하고 있다. - 변지민 기자 제공 -모금이 성공할 수 있을 거라고 보는지. 실패할 수 있단 생각도 당연히 하는데 그리 두렵진 않다. 실패하더라도 나름 ... ...
- 공학한림원, 2017년 신임 정회원 28명 선임동아사이언스 l2017.01.04
- 명단 ▲전기전자정보공학 분야 △박병국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박진우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성태현 한양대 전기공학과 교수 △김국헌 두산중공업 전무 △김영기 삼성전자 사장 △오상록 KIST 강릉분원장 △정칠희삼성종합기술원 원장 ▲기계공학 분야 △김민수 ... ...
- 극지연구 이끈 양은진 극지연 책임연구원 과학기술훈장 웅비장동아사이언스 l2016.12.29
-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근정포장은 △부작용을 최소화한 항암제를 개발한 김종승 고려대 교수 △새로운 항암제·관절염 치료제 등을 개발한 이희윤 KAIST 교수 △생산비용을 32% 줄인 기계화 농법을 개발한 최용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연구관이 받았다. 과학기술포장은 △지능형 조향장치 ... ...
- 인체에 치명적인 ‘염증 반응’ 억제할 방법 새롭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2016.12.27
- 이 염증 반응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실마리를 찾아냈다. 전태훈 고려대 생명과학대학 교수팀은 자가포식 작용 과정에서 염증을 완화하는 기전을 찾아내 자가포식 분야 저명 학술지 ‘오토파지(Autophagy)’ 12월호에 발표했다. ☞자가포식이란? 세포 안에서 손상된 기관이나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