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려대"(으)로 총 1,608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이버 SW교육 ‘커넥트스쿨’ 초등 교육생 모집동아사이언스 l2017.10.13
- 뚝딱 나오는 것을 경험할 수 있어서 신기하고 재미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고려대, 포항공대를 비롯해 전국 29개 대학교에서 운영되는 커넥트스쿨 교육은 오는 10월 28일부터 5주 동안 매주 토요일마다 진행될 예정이다. 참가 신청 기간은 10월 20일(금) 자정 까지며, 참가 신청 및 자세한 교육 ... ...
- 미래 ‘스텔스 기술’ 전파는 물론 소리-빛까지 속인다동아사이언스 l2017.09.29
- 최근엔 궁극의 메타물질 기술인 빛 제어 분야에서도 일부 성과가 나오고 있다. 최원식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팀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공동으로 의료 분야 세포검사 화면을 한층 또렷하게 볼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 메타물질은 파장을 제어해 신호를 약하게 만드는 기술인데, 파장을 제어하는 ... ...
- 26일 4차산업혁명위원회 공식 출범… 위원장에 장병규 블루홀 이사회 의장동아사이언스 l2017.09.26
- △서은경 전북대 반도체과학기술학과 교수 △이대식 부산대 경제학부 교수 △이희조 고려대 통신공학부 교수 △임춘성 연세대 정보산업공학과 교수 △한재권 한양대 산학협력중점교수 △강수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이재용 국토연구원 ... ...
- 찬 바람만 불면 훌쩍, 만성 알레르기성 질환 원인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7.09.17
- 없어도 주기적으로 알레르기성 증상이 일어나게 하는 원인 세포를 찾아냈다. 정용우 고려대 약학과 교수팀은 면역 세포 중 하나인 ‘기억 T세포’가 만성적인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리포츠 9월 11일자에 발표했다. GIB 제공 알레르기성 질환은 몸이 ... ...
- 대학과 출연연에서 일자리 1만개 키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9.05
- 2022년까지 일자리 1만개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고려대 백주년기념관에서 ‘연구 성과 기반 ’실험실 일자리‘ 창출 선포식’을 개최하고,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에 축적된 연구 성과물로 고급 일자리를 만들어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실험실 ... ...
- [인촌상]진단+치료 동시에… 암정복 나선 김종승 고려대 교수동아사이언스 l2017.09.05
- 노력하겠다.” 동아일보가 매년 수상하는 ‘인촌상’ 과학·기술 부문 수상자로 김종승 고려대 화학과 교수(54)가 꼽혔다. 김 교수는 암세포에만 약물을 정확히 전달하면서도 그 과정을 직접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약물전달 복합체’ 연구로 세계 화학계에서 주목하는 연구자다. 그의 오랜 연구가 ... ...
- 靑, 박기영 후임 과기혁신본부장에 임대식 KAIST 교수 임명동아사이언스 l2017.08.31
- 거쳐 고려대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식물학회 및 한국식물병리학회 이사, 고려대 식물신호네트워크연구센터장 등을 지냈다. 청와대는 “백경희 국과심 위원장 내정자는 식물의 성장과 생존 메커니즘 규명을 위한 연구에 몸담아온 생명과학자로, 왕성한 연구 활동과 더불어 신진 ... ...
- 전염병 모기, ‘왕’ 모기로 잡는다?과학동아 l2017.08.30
- 지카바이러스처럼 무서운 전염병을 옮기기도 한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배연재 고려대 환경생태공학부 교수팀은 모기 유충의 천적인 광릉왕모기를 사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8월 9일 밝혔다. 광릉왕모기 유충 한 마리는 하루에 모기 유충 약 26마리를 먹는다(왼쪽 사진). 즉, 모기의 천적인 ... ...
- 빛으로 전기 신호 제어하는 트랜지스터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8.21
- 전자기기를 구동할 수 있어 전자 기기 제조 비용을 대폭 절감하리란 기대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빛으로 전기 신호를 제어하고, 전류를 효율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나노선 트랜지스터’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현대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기본 부품인 ... ...
-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어떤 자격을 갖춰야할까?동아사이언스 l2017.08.12
- 이준호 서울대 교수는 “사심이 없는 사람이 되야 한다”고 말했다. 이진한 고려대 교수 역시 “무엇보다 윤리적이었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황우석 사태에 대한 트라우마가 강하게 남아있는 우리나라 과학계에서는 정책 리더십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연구 윤리를 준수한 사람이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