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려대"(으)로 총 1,66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수면 상승 10㎝ 낮춘다…IPCC 1.5도 특별보고서 승인2018.10.08
- 상대적으로 완화한다는 점에서 이번 보고서가 갖는 의미는 특별하다. 이회성 IPCC 의장(고려대 석좌교수)은 8일 “6000건이 넘는 과학 연구가 1.5도 목표가 과학적으로 불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전 세계 전문가 및 정부 검토위원이 참여한 이번 보고서가 실현되려면 전 세계 차원의 ... ...
- 초고해상도 나노픽셀로 고효율 OLED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10.07
- 에너지 변환 효율이 137%까지 높아졌고, 그만큼 수명도 늘어났다는 평가다. 주병권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고휘도 OLED 수명을 크게 늘렸다"며 “넓은 면적으로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수요가 늘고 있는 대형 디스플레이와 조명시장에 핵심 기술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 ...
- KAIST 양자컴퓨팅 기반 AI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8.10.03
- 연구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개발에 나선다. KAIST와 서울대, 고려대, 경희대 4개 대학과 더불어 KT와 호모미미쿠스, 액터스네트워크, 미래텍의 4개 기업체도 참여한다. 실무 연구진은 교수 10명과 기업전문가 8명, 연구교수 2명, 석·박사과정 연구원 40여 명으로 구성됐다. ... ...
- IPCC 송도 총회 '1.5도 보고서' 채택 여부 주목동아사이언스 l2018.10.01
- 기후변화, 영향 및 대응정책에 관한 평가보고서를 작성했다. 2015년부터 이회성 고려대 석좌교수가 제6대 의장을 맡고 있다. 이번 총회에서는 2015년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회의(COP)가 파리협약 체결 당시 아이피시시에 작성할 것을 요구한 ‘1.5도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특별 보고서’ 승인 여부를 ... ...
- 캔위성 대회서 대구과학고·공사 최우수상동아사이언스 l2018.09.28
- 원장상)에는 창원과학고 ‘CSH_Cansat’, 충북과학고 ‘Can we 成’, 한국항공대 ‘SATCEO’, 고려대 ‘호통’ 등 4팀이 선정됐다. 최우수상 수상 팀에는 고등부 150만 원, 대학부 3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됐다. 우수상 수상 팀에는 고등부 100만 원, 대학부 200만 원이, 장려상 수상 팀에는 고등부 50만 원, ...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1관. ‘풍수’는 21세기 환경공학이다 2018.09.21
- 최원석서울대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 대학원에서 풍수로 석사학위를 받은 뒤 고려대 대학원 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문화역 사지리학회장을 지냈으며, 현재 경상대 명산문화연구센터장을 맡고 있다. ‘사람의 산 우리 산의 인문학’ ‘산천독법’ ‘사람의 지리, 우리 풍수의 ... ...
- [과학게시판] ‘국민생활과학포럼’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18.09.17
- 의심 접촉자의 행방을 파악하지 못하는등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날 행사에선 김우주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와 이희영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질병관리본부 관계자 등이 참여해 메르스 대한 명확한 정보와 대응 현황을 논의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 20~21일 과학기술과 ... ...
- KIST·고려대, 급성골수성 백혈병 치료 후보물질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8.09.17
- 질환으로 이를 낫게 할 치료제는 전무한 상황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고려대 연구진은 17일 급성골수성 백혈병을 유발하는 발암 유전자인 NRAS를 억제할 표적 치료제용 물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급성골수성 백혈병의 환자 가운데 약 10%는 NARS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발생한다. NRAS ... ...
- 한국 고등학생 대표단, 국제정보올림피아드 종합 2위 동아사이언스 l2018.09.11
- 서울과학고), 노영훈(서울과학고), 윤교준(경기과학고), 김세빈(경기과학고), 코치 이창수(고려대), 단장 김성렬 교수(건국대). -사진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이 이달 1~8일 일본 쓰쿠바에서 개최된 제30회 국제정보올림피아드(IOI)에서 금메달 3개와 은메달 1개를 수상해 ... ...
- 글로벌 제약사 국내 벤처에 1년간 매달린 이유…“기초연구 성과 덕분” 동아사이언스 l2018.09.05
- 교수 △전자 스핀 양자현상을 통해 차세대 자기 메모리 소자의 작동 원리를 밝힌 이경진 고려대 교수·박병국 KAIST 교수의 사례가 학문적 가치를 실현한 우수 성과로 꼽혔다. 경제적 가치 부문에서는 △세계적인 수준의 펩타이드 단백질 제조 기술과 바이오 신약 개발로 부가 가치를 창출하고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