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려대"(으)로 총 1,663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내 연구진, 세계 최고 성능 중저온 연료전지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07.23
- 손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고온에너지재료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팀은 심준형 고려대 기계공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섭씨 300~600도에서 구동하는 중저온 연료전지인 ‘프로톤 세라믹 연료전지(PCFC)’의 성능을 기존 대비 2배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중저온 연료전지는 구동 ... ...
- [2022 수능개편안 연속기고] 언어학자가 말하는 쉬운 수학의 진정한 의미2018.07.23
- 개념은 수학자, 수학 교육자, 수학 교육 정책 입안자에게조차 명확하지 않다. 남호성 고려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쉽게 가르친다는 것은 기본을 무시한다던가 가르쳐야 할 것을 줄이는 것이 되어서는 안된다. 이는 수학을 쉽게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안 가르침으로써 시험을 쉽게 해주는 것에 ... ...
- 동물 희생 없는 ‘시각 연구’ 길 열려동아사이언스 l2018.06.29
- 훙궈쑹 미국 하버드대 화학생물학과 연구원과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이정민 고려대 물리학과 연구원 팀은 살아 있는 쥐의 눈 속에 넣어 몸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도 실시간으로 시각 신경회로의 활성을 연구할 수 있는 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해 사이언스 28일자에 발표했다. 현재까지는 ... ...
- 뇌에 붙이는 초박막 생분해 바이오센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06.12
- 몸 안에서 분해되는 반도체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이경미 고려대 생명공학과 교수팀, 미국 노스웨스턴대, 워싱턴대 등이 공동 참여했다. 한미 공동 연구진이 개발한 생분해성 바이오센서. 섭씨 70도 조건에서 식염수에 담갔을 때는 72시간 만에 육안으로 보기 어려운 ... ...
- 타이어 먼지 필터부터 공사장 식물벽까지…시민들이 내놓은 미세먼지 해결 아이디어동아사이언스 l2018.06.01
- 학교 환경에 최적화된 대기 질 관리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수진 고려대 환경생태공학부 박사과정 연구원은 주민 생활권에 인접해 있는 아파트 재건축 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줄이는 방안으로, 공사장을 감싸는 가림막에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넝쿨식물을 키우는 ... ...
- 현대과학이 ‘프랑켄슈타인’ 다시 만든다면… 꽃미남?동아사이언스 l2018.06.01
- 하지만 21세기라면 다르다. 피부를 대체할 인공 피부가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전경용 고려대 미래융합기계시스템사업단 교수와 한창수 기계공학부 교수팀은 전원 없이 미세한 촉감을 감지할 수 있는 인공 피부를 개발해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2월 9일자에 발표했다. ... ...
- 대학에서 증강현실 게임하고 토익 교재도 받는다동아사이언스 l2018.05.17
- 있다. 이번 이벤트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모두 진행된다. 오프라인 이벤트는 23일 고려대에서, 24일 한양대에서 열리며 빨갱이+파랭이 정답적중노트(비매품)와 7월 해커스어학원 종합반 수강료 지원권 등의 상품을 받을 수 있다. 온라인 이벤트는 건국대, 경희대, 중앙대, 경기대, 연세대, ... ...
- “포항 지진, 지열발전 자극으로 유발 가능성”…논문 2편 ‘사이언스’ 게재동아사이언스 l2018.04.27
- 제기된 바 있지만 과학적 근거가 논문을 통해 발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진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 팀은 김광희 부산대 지질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포항 지진기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포항 지진 본진의 진원이 포항 지열발전소의 지열정(주입정) 2곳 중 1번 지열정 아래 약 150m ... ...
- 적혈구를 ‘필터’로...고성능 혈당측정기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04.15
- 일종의 '생체 필터'를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한 고성능 혈당측정기를 개발했다. 김인수 고려대 바이오의공학과 연구원과 윤대성 교수팀은 혈액세포인 적혈구의 세포막을 가공해 선택한 물질만 골라 통과시키는 필터를 만들고, 이를 혈당측정기에 붙여 포도당만 정확히 골라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 ...
- 차세대 M램 소재 개발...전원 꺼져도 작업 내용 날릴 걱정 없다동아사이언스 l2018.04.11
- 사라지지 않는 차세대 컴퓨터 개발에 필요한 신소재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이경진 고려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박병국 KIA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차세대 ‘자성메모리(MRAM)’ 개발에 필요한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연구에는 미국국립연구소, 김갑수 KAIST 물리학과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