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려대"(으)로 총 1,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찬 바람만 불면 훌쩍, 만성 알레르기성 질환 원인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7.09.17
- 없어도 주기적으로 알레르기성 증상이 일어나게 하는 원인 세포를 찾아냈다. 정용우 고려대 약학과 교수팀은 면역 세포 중 하나인 ‘기억 T세포’가 만성적인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리포츠 9월 11일자에 발표했다. GIB 제공 알레르기성 질환은 몸이 ... ...
- 대학과 출연연에서 일자리 1만개 키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9.05
- 2022년까지 일자리 1만개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고려대 백주년기념관에서 ‘연구 성과 기반 ’실험실 일자리‘ 창출 선포식’을 개최하고,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에 축적된 연구 성과물로 고급 일자리를 만들어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실험실 ... ...
- [인촌상]진단+치료 동시에… 암정복 나선 김종승 고려대 교수동아사이언스 l2017.09.05
- 노력하겠다.” 동아일보가 매년 수상하는 ‘인촌상’ 과학·기술 부문 수상자로 김종승 고려대 화학과 교수(54)가 꼽혔다. 김 교수는 암세포에만 약물을 정확히 전달하면서도 그 과정을 직접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약물전달 복합체’ 연구로 세계 화학계에서 주목하는 연구자다. 그의 오랜 연구가 ... ...
- 靑, 박기영 후임 과기혁신본부장에 임대식 KAIST 교수 임명동아사이언스 l2017.08.31
- 거쳐 고려대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식물학회 및 한국식물병리학회 이사, 고려대 식물신호네트워크연구센터장 등을 지냈다. 청와대는 “백경희 국과심 위원장 내정자는 식물의 성장과 생존 메커니즘 규명을 위한 연구에 몸담아온 생명과학자로, 왕성한 연구 활동과 더불어 신진 ... ...
- 전염병 모기, ‘왕’ 모기로 잡는다?과학동아 l2017.08.30
- 지카바이러스처럼 무서운 전염병을 옮기기도 한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배연재 고려대 환경생태공학부 교수팀은 모기 유충의 천적인 광릉왕모기를 사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8월 9일 밝혔다. 광릉왕모기 유충 한 마리는 하루에 모기 유충 약 26마리를 먹는다(왼쪽 사진). 즉, 모기의 천적인 ... ...
- 빛으로 전기 신호 제어하는 트랜지스터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8.21
- 전자기기를 구동할 수 있어 전자 기기 제조 비용을 대폭 절감하리란 기대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빛으로 전기 신호를 제어하고, 전류를 효율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나노선 트랜지스터’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현대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기본 부품인 ... ...
-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어떤 자격을 갖춰야할까?동아사이언스 l2017.08.12
- 이준호 서울대 교수는 “사심이 없는 사람이 되야 한다”고 말했다. 이진한 고려대 교수 역시 “무엇보다 윤리적이었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황우석 사태에 대한 트라우마가 강하게 남아있는 우리나라 과학계에서는 정책 리더십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연구 윤리를 준수한 사람이 ... ...
- “이번 여름방학엔 소프트웨어에 집중했어요”동아사이언스 l2017.08.11
- - 커넥트재단 제공 커넥트스쿨은 이번 여름방학기간 동안 강릉원주대, 경희대, 고려대, 공주교육대, 광주교육대, 대구교육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신라대와 함께 각 대학에서 학생들이 직접 SW를 다루고 체험해 볼 수 있는 다양한 주제의 SW캠프를 열었다. SW가 어렵고 지루한 것이 아니라 우리 ... ...
- 시민단체-학계는 ‘박기영 과기혁신본부장 사퇴 요구’… ‘과학 단체’들은 ‘함구’2017.08.11
- 의대 교수들 중심으로 박 본부장 선임에 반대하는 성명서 서명을 받고 있다. 이진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참여를 원하는 교수들의 서명을 받은 뒤 다음주 교수의회에 안건을 올려 절차를 밟은 뒤 공식적으로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지역 젊은 연구자와 시민이 지역주민의 ... ...
- 靑 “박기영 과기본부장 거취 심각하게 고민” 동아사이언스 l2017.08.10
- 시민 모임인 ‘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는 9일 성명서를 내고 윤태웅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 교수를 비롯한 총 169명의 반대서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당초 “사퇴는 없다”고 했던 청와대의 태도도 바뀌는 양상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각계의 여러 목소리를 들어 상황의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