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리
사고
일고
안
d라이브러리
"
생각하기
"(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1.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컴퓨터 보급이 늘면서 최근 국산프로그램이 대거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한글」기술로 재무장한 외국산 패키지들이 우리 안방에까지 파고들어 전망은 그다지 밝지 않다.개인용 컴퓨터가 일반인에게 놀라운 속도로 보급되어 우리 생활의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 요즘 우리는 '패키지 소프트웨어' ... ...
바다에 음파쏘아 지구 온난화 측정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돌고래나 다른 바다 포유류들이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가 이 층이라고
생각하기
에 음파측정 실험을 반대하고 있다. 실험에 쓰이는 소음이 동물생태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팀의 리더인 먼크 박사 자신도 '위험이 없다'고 장담하지 못한다.사실 바닷속은 사람들이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기초과학의 상징물로만 여겨졌던 가속기가 이제는 첨단산업의 필수품이 되고 있다. 초전도 거대 가속기(SSC) 프로젝트의 참여가 확정되고 포항방사광 가속기(PLS)가 건설되면 우리나라도 바야흐로 '가속기 시대'가 펼쳐진다.우리나라도 가속기시대가 열린다. 포항공대에 방사광가속기(PLS, Pohang Light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유전자조작기술 하이브리도마기술 미세조작기술은 선진국 수준이지만 발효기술 세포배양기술 추출정제기술은 낙후돼 있다.한국의 유전공학은 지금 기로에 서 있다. 10년전 떠들썩하게 시작할 때와는 달리 착 가라앉은 듯한 분위기를 여기 저기서 느낄 수 있다. 특히 심한 곳은 산업계다. 예상한대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마테오 리치의 「곤여만국전도」가 나오기 전까지 세계최고로 평가되었던 지도를 조선초기의 학자들이 제작했다.서유럽과 아프리카대륙의 존재를 한국인은 언제부터 알았을까. 사람들은 흔히 1603년에 이광정(李光庭)이 중국에서 가져온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1602년 세계지도를 보고 나서부터 ... ...
생명체의 분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동물성인가, 식물성인가, 혹은 광물성인가? 어쩌면 이런 당연한 분류법이 이젠 재고(再考)되어야 하는 때인지도 모른다. 1990년 여름, 일리노이 주립대학의 칼 워스씨가 모든 생명체를 그룹(群)과 소그룹(小群)으로 나누는 새로운 방안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이는 모든 생명체에 예외없이 존재하는 " ... ...
정보통신의 새 시대를 선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날로 다양해지고 첨단화되는 미디어. 이를 다룰 전문방송기술인 양성이 매체공학과의 목표다."텔레비전 열심히 보는 게 공부 잘 하는 길이에요."2학년이 된 지금 가끔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때 선배로부터 들었던 농담을 떠올리며 미소짓곤 한다. "참말이냐"고 되묻던 순진함이란….아마도 우리 생활 ... ...
음양 팔괘와 이진법의 만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최근 컴퓨터주역과 컴퓨터 관상프로그램이 개발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해가 바뀌면 흔히 다가올 한해의 운수를 점쳐본다. 결과를 100% 믿어서가 아니라 재미삼아 보기도 하고, 집안에 수험생이 있거나 결혼적령기에 접어든 처녀총각이 있는 경우 꽤 절박한 심정으로 점술가를 찾기도 한다.최근에 ... ...
다시 주목받는 갈륨비소반도체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미국 최신 슈퍼컴의 심장부에 일본산 화합물 반도체가 채택되면서 갈륨비소반도체는 기대주로 부상하고 있다.전자제품을 소형화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반도체는 어디까지 작아질 수 있는 것일까.최초의 컴퓨터 애니악이 1945년 만들어졌을때 그 크기는 큰방 하나를 가득 채울 정도였다. 수 ... ...
차세대 원전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2000년대 초반 신형안전로와 고속증식로가 실용화되고 곧이어 핵융합발전소도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차세대 원자로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원자로는 어떤 것인가를 알고 그 다음에 차세대 원자로를 설명하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그러나 독자 여러분 중에는 원자력발전소 ... ...
이전
1315
1316
1317
1318
1319
1320
1321
1322
13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