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3,66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실수가 승부를 가른 고누
수학동아
l
201102
나뭇가지, 바둑알처럼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을 사용했다. 각 나라의 고누도 기
본
적인 놀이 방법은 비슷하지만 말판 그림과 말의 수 등에서 차이가 있다.고누는 ‘고노다’ 명사형인 고노에서 비롯된 말인데, 고노다는 잘되고 못됨을 살펴 점수를 매기다를 뜻하는 ‘꼲다’ 옛말이다. ... ...
공주는 왜 해적이 됐을까
수학동아
l
201102
꼬마 선생.”약속대로 뒤로 물러서는 해적 일당. 허풍과 도형은 조심스럽게 상자를 열어
본
다.“보물이 확실한 거지? 그럼 이제 우리가 확인해 봐도 될까?”4 도형의 속임수바르바리 해적선 선장이 다가오려는 순간 도형이 외친다.“잠깐!”도형의 외침에 모두 놀라 그 자리에 멈춰 선다.“어허, 꼬마 ... ...
수학 논문으로 꿈을 이룬다
수학동아
l
201102
수학의 원리를 찾는다는 성계 군. 그가 우리나라를 빛낼 ‘수학자’가 되길 기대해
본
다. 아마 2026년쯤 국제수학자대회에서 그를 다시 만날 수 있지 않을까.접었다 편 종이 흔적의 규칙성논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종이 접는 방법의 종류를 파악해야 한다. 성계 군이 논문에서 정의한 종이를 접는 ... ...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수학동아
l
201102
정도였다니까요! 지곡초에서는 수학동아 2010년 12월호의 특집기사 ‘대칭으로 풀어
본
분자나라의 신비’ 를 쓴 장경아 기자가 직접 MIE(Magazine In Education) 수업을 진행했습니다. 방학 중에도 학교에 꾸준히 나와 수학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는 4학년 수학반 학생들과 함께했지요.사실 기사를 통해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02
소비자의 마음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하고 있었다.“그런데 ‘의미 분석’을 해
본
뒤에야 그 진짜 뜻을 알 수 있었지요. 그 사람들이 진짜 하고 싶었던 말은 ‘가격 대비 좋은 물건’이라는 것을요.”사정은 이렇다. 돈이 별로 없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사람들은 속으로는 자신의 주머니 사정이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02
스텔스 전투기들도 모두 비슷한 미사일 회피 기능을 갖췄다.하지만 좁은 의미에서
본
스텔스 기능은 역시 ‘적의 레이더에 발견되지 않는 기술’이다.스텔스기는 ‘레이더에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레이더에 잡힌다. 다만 신호가 너무 약해서 알아보기 어려울 뿐이다.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02
쓰지 않고도 책 한 권을 흥미롭게 넘기게 하는 것은 그림의 힘이다. 과학 일러스트의
본
보기로 삼을 만하다.실제인지 사실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과학 ‘페이크 다큐’로는 두걸 딕슨의 ‘인류 시대 이후의 미래동물 이야기’ 역시 만만치 않다. 동물 도감 형태를 띤 이 책은 원제목 ‘인류 이후(After ... ...
[hot science] 얼짱 몸짱 마법의 주사는 없다?!
과학동아
l
201102
학회에서는 PPC가 피하지방을 파괴하는 효과가 있음이 처음으로 발표됐다. 1995년부터는
본
격적으로 군살을 없애는 용도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2006년쯤에는 브라질과 미국, 유럽에서 살 빼는 주사로 인기를 끌었다. 국내에서도 2008년 이후부터 성행했다.그런데 2010년 4월 미국식품의약청(FDA)은 PPC ... ...
2010 ‘몰래산타’ 대작전!
과학동아
l
201102
2010년 크리스마스이브, 울산에 선물꾸러미를 짊어진 수십 명의 산타가 나타났습니다. 울산을 떠들썩하게 한 산타의 정체는 바로 ‘사랑의몰래 ... 날려 렸습니다.사이언스메세나의 2010년의 대미를 장식한 울산 사랑의몰래산타운동
본
부. 작전 대성공! 2011년도 사이언스메세나는 계속됩니다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02
없앤다.➋ 오존수로 세척하기 전과 세척한 후 사과 표면을 광학현미경으로 200배 확대해
본
모습. 사과 표면에 붙어 있던 이물질이 세척 후 없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오존수 다음은 마이크로 버블 세척하지만 오존수 세척도 단점은 있다. 오존수는 표면이 울퉁불퉁한 과일을 깨끗이 씻지 못한다.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