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달 얼음 또 어디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이동할 거라는데…. 달 얼음, 또 어디에 있을까요? 남극최근에 만들어진 얼음!후보 1 미국 브라운대학교 지구환경 및 행성과학부 아리엘 도이치 박사가 이끈 공동연구팀은 달 남극에 비교적 최근에 형성된 얼음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2009년부터 달 궤도를 돌고 있는 LRO ... ...
- [기획] 우리나라 장내 미생물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이루는 미생물 군집의 유전체 정보를 모두 수집한 거예요. 기존 지도는 주로 유럽, 미국, 중국인의 분변을 중심으로 연구됐어요. 한국인의 장내 미생물이 표준 장내 미생물 유전체 지도에서 분석된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연구팀은 90명의 한국인을 포함해 세계인의 분변을 1만 개 이상 분석했어요. 그 ... ...
- [특집] 달 얼음 깨기 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미국, 호주 등에서 31개 팀이 참가해 열띤 경쟁을 벌였어요. 7개월간의 경쟁 결과 미국의 우주개발업체 레드와이어 스페이스가 수상했답니다. NASA는 “얼마나 많은 물을 추출했는지, 로버가 에너지를 얼마나 적게 사용하는지, 장비 무게를 얼마나 줄였는지 등을 중점적으로 심사했다”며, “제출한 ... ...
- [가상 인터뷰] 마침내! 화성 바위 표본을 수집한 퍼시비어런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표본이 담겼어요. 하나는 표본 채취에 실패해서 이제 빈 시료 관은 39개가 남아 있지요.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은 빠르면 2031년에 화성으로 탐사선을 보내 제가 모은 표본을 가지고 지구로 돌아갈 계획이랍니다. 예제로 크레이터는 고대 화성 시절 물이 흘렀던 장소로 추정돼, 이곳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1972년 아폴로 17호를 타고 달에 착륙한 우주비행사들을 괴롭힌 것으로 유명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비행사 해리슨 슈미트는 레골리스에 알레르기 반응을 겪어 목이 따갑고 코가 막히는 증상이 나타났죠. 또, 레골리스는 우주복 부츠의 표면을 부식시키기도 했어요. 이런 문제들은 앞으로 달 ... ...
- [이달의 과학사] 통조림을 쉽게 여는 특허 나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종류의 통조림 따개가 나왔어요. 현재 우리가 쓰는 당기면 뜯어지는 원터치 통조림은 미국 공학자인 에멀 프레이즈가 1959년이 되어서야 발명했답니다. ... ...
- [과학 뉴스] 미션 루시, 소행성을 향한 비행 임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최초로 탐사하는 우주탐사선 루시의 출발이 임박했다고 밝혔어요. 오는 10월 16일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발사될 예정이거든요. 목성 트로이군은 목성 궤도 위 라그랑주 점에서 태양을 공전하는 소행성 무리예요. 라그랑주 점은 태양, 목성과 함께 정삼각형의 꼭짓점을 이루는 지점이라, 중력이 균형을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나와 다른 사람의 권리 존중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표시하는 방법이 없어 매번 저작자에게 직접 허락을 구해야 했어요. 그러던 2001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로렌스 레시그 교수는 저작권 소송 재판에 참여했다가 저작물을 더 쉽게 사용하도록 돕는 단체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CC)를 만들었어요. 또, 저작자가 저작물에 자유롭게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대기의 상층에서 부는 강한 제트기류를 타고 이동해 비행시간이 단축된답니다. 반대로 미국에서 한국으로 돌아올 때는 제트기류가 비행기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맞바람으로 작용해요. 그래서 제트기류를 피해 우회해서 돌아오는 항로를 이용하지요. 한국으로 돌아올 때 더 긴 시간이 걸리는 ... ...
- [지구사랑탐사대 현장취재] 전 세계 박쥐 연구자들에 외치다! 시티뱃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국제 박쥐의 밤이 시작됐어요. 이날 행사에는 호주, 뉴질랜드, 인도, 태국, 베네수엘라, 미국, 멕시코 등 약 40개 국가가 참가했지요. 오후 4시 경 동굴과 지하 서식지의 생물다양성과 박쥐의 역할에 대해 발표한 필리핀 연구자에 이어, 지구사랑탐사대의 발표가 시작됐어요. 영상을 본 카리나 마리는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