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림
놋그릇
녹그륵
놋기명
유기그릇
놋쇠 제품
놋그릇제조소
뉴스
"
유기
"(으)로 총 1,460건 검색되었습니다.
필레가 보낸 7가지 메시지
2015.08.02
같은 단단한 재질로 구성돼있다. 연구진들은 추리에 예상보다 훨씬 많은 최소한 16종의
유기
화합물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이 중 4종은 현재까지 혜성에서 발견된 적이 없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마크 맥크리언 유럽우주기구(ESA) 수석 과학고문은 “이 성분들을 통해 생명체를 ... ...
금을 반도체로 쓴다구요? 이렇게 해보세요
2015.07.22
태양광 발전에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효율이 20% 이상 향상된 것이다. 임 연구원은 “
유기
태양전지뿐 아니라 실리콘 등 다른 태양전지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금이 인체에 무해한 만큼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 촬영 시 복용하는 조영제를 대신해 의료 검사에도 쓸 수 ... ...
‘만능 전자피부’가 나왔습니다
2015.07.17
실었다. 연구진은 전기용량(물체가 전기를 저장하는 능력)이 압력은 물론 온도와 습도,
유기
용매 등에 의해 변한다는 점에 착안했다. 전기를 잘 흘려보내면서도 탄성이 좋은 탄소나노튜브로 필름을 만든 뒤 섬유 형태로 뽑아내 방충망처럼 가로세로로 섬유를 엮었다. 그리고 여기에 투명한 고무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이들 미생물의 게놈에서 질소고정효소의 유전자를 확인했다고. 또 분리한 미생물을
유기
질소가 없는 배지에서 키우면 일반 미생물과는 달리 잘 자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스로 공기 중의 질소를 고정해 흡수했다는 말이다. 참고로 질소는 아미노산과 핵산 분자의 구성원소로 질소가 부족하면 ... ...
“매일 소변과 피만 봅니다”
2015.07.10
두 층으로 분리된다. 이를 영하 30도의 냉각 장치에 넣으면 소변만 얼기 때문에
유기
용매만 쉽게 떼어 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용매만 휘발시키면 용매에 녹아 있던 금지 약물 성분만 남는다. 손정현 선임연구원은 “한번에 금지 약물을 약 200종까지 판별할 수 있다”면서 “보통 큰 대회의 경우 ... ...
친환경 알루미늄 제조 가능해졌다
2015.07.07
또 흡습 강도 역시 기존 제품의 500% 이상 개선돼 불량률이 크게 줄었다. 이 그룹장은 “
유기
바인더는 주형용 모래를 한번 쓰고 폐기해야 했으나 이번에 개발한 무기바인더는 재생이 용이한 원료 물질로 구성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서 “산업 현장에 적용할 때 설비 비용 역시 대폭 ... ...
기후변화가 ‘성전환 도마뱀’ 만든다
2015.07.05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모노테르펜은 향수 등 발향 제품의 에센셜 오일을 구성하는
유기
분자로 향기 분자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널리 사용된다. 실비 비디노 프랑스 리옹대 박사팀은 향기가 많이 나는 장미 품종과 향기가 거의 없는 장미 품종 두 개를 비교한 결과 ‘누딕스(Nudix) 효소’에 ... ...
휘어지는 아몰레드 상용화 앞당겼다
2015.06.30
표현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수분과 산소에 취약한
유기
물질을 이용해 빛을 내기 때문에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만들 때 완벽하게 밀봉하기 어려웠다. 연구진은 아몰레드 기판 위에 탄성을 가진 고분자물질과 금속 호일을 차례대로 붙이는 방식을 적용해서 ... ...
PART 01. 光의 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06.30
다릅니다. LED는 질화갈륨 같은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해 만드는 반면, OLED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을 이용합니다. 둘 다 ‘자체발광’ 소자이긴 해요. OLED TV는 패널 자체가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별도의 백라이트 광원이 필요 없습니다. 얇고 가볍고 열이 나지 않습니다. 게다가 기존 TV가 실제 자연의 ... ...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보이기도 한다. 이후 이 퇴적층에 관목이 자라면서 뿌리를 내린다. 뿌리 주변의 토양에는
유기
물질에 의해 주변보다 약간 단단한 부위가 생기는데 이런 상태에서 침식이 일어나면 단단한 부분이 골무나 모자처럼 작용해서 그 아래의 석회암을 보호한다. 이 부위는 침식에 좀더 오래 견뎌 남게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