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림
놋그릇
녹그륵
놋기명
유기그릇
놋쇠 제품
놋그릇제조소
뉴스
"
유기
"(으)로 총 1,46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가 제안한 OLED조명 기술 ‘국제표준’ 됐다
2014.11.11
추출 필름의 모습. - 한국전자 통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계 처음으로 제안한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조명에 관한 기술이 전기분야 국제표준화 기구인 국제 전기기술위원회(IEC)에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 OLED 기술의 일종인 아몰레드(AMOLED)를 이용해 만든 TV나 모니터 디스플레이는 ... ...
스스로 빛 내는 고효율 형광
유기
발광 소자 개발
2014.11.04
효율뿐만 아니라 수명도 늘리는 물질도 개발할 계획”이라며 “이는 용액공정용 형광
유기
발광소자를 상용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0월 15일자에 실렸다. ... ...
휘어지는 투명 태양전지, 간단하게 찍어 만든다
2014.10.28
만든
유기
태양전지는 기존보다 광전류 밀도가 17% 이상 높아, ITO가 아닌 전극을 이용한
유기
태양전지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결과라는 평가를 얻었다. 이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전지는 휘거나 접을 수 있는 소자에 적용할 수 있어 웨어러블 기기의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 ...
겹겹이 쌓아
유기
태양전지 효율 높인다
2014.10.27
훼손돼 발전 효율이 급격히 낮아지는 문제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열 안정성이 우수한
유기
반도체 고분자를 설계해 열처리 이후에도 최고 효율 6.81%를 낼 수 있는 하부 셀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고효율의 상부 셀을 확보하면 12%이상의 발전 효율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황 교수는 “상하부 셀 ... ...
태양전지에 레드 양자점 붙였더니…
2014.10.23
선임연구원팀이 개발한 양자점
유기
태양전지의 개념도. - KIST 제공 손 연구원은 “
유기
태양전지에 3색 양자점의 개념을 적용한 것은 최초”라며 “파란색 파장을 흡수할 양자점도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 ...
플라스틱 반도체 개발 성공
2014.10.22
플라스틱 물질을 개발했다. 이를 활용해 만든 반도체는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개발된 n형
유기
반도체 가운데 전자이동도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p형 반도체의 성능과 비슷한 수준의 n형 반도체를 개발한 만큼 둘을 접합한다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태양전지, 센서 ... ...
3차원 반도체 회로 기술 세계 최초 개발
2014.10.20
수 있는 물리·화학적 원리 규명에 세계 최초로 성공한 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유기
분자 기반 나노 구조체 등 다양한 연구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 연구성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7일자 논문으로 게재됐다. ... ...
‘한국판 퀴리 부인’ 찾아보니…
2014.10.17
이들보다 성능이 뛰어난 재료와 제조법 등을 개발해 특허 등록을 했다. 기초과학인
유기
화학을 공부한 그가 기초와 응용 모두에서 성공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김 교수에게도 위기는 있었다. 26세에 박사학위를 받았지만 너무 젊고 여성이라는 이유로 번번이 교수 임용에서 고배를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하나면 의사를 멀리 한다’는 영국 속담도 있듯이 사과는 건강을 상징하는 과일이다.
유기
산과 비타민C, 폴리페놀, 펙틴을 비롯한 식이섬유까지 몸에 좋다는 성분은 조금씩 다 들어있다. 사과의 여러 이점 가운데 하나로 다이어트 효과도 있다. 사과는 물이 85% 정도인데다 소화가 안 되는 식이섬유가 ... ...
차세대 OLED TV, 기존 대비 3배 밝게 만드는 기술 개발
2014.10.01
5%에 불과하고 안정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나노구조 산화아연을 이용해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효율을 높였다. 나노구조를 바꿔 빛이 바깥으로 쉽게 나올 수 있도록 해 발광량을 늘리고, 극성용매를 써 전자의 이동을 자유롭게 만들었다. 그 결과, 발광효율이 17.8%로 기존 대비 3배 이상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