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락
감퇴
쇠퇴
악화
감소
퇴보
타락
뉴스
"
저하
"(으)로 총 1,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완치도 가능하다는 3세대 항암제 효과 한층 더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1
제거하는 방법을 새롭게 개발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3세대 항암제는 암세포의 T세포 기능
저하
를 막을 뿐, 암세포 주변에 있는 세포는 고려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면역을 유도하는 인체 속 ‘M1대식세포’에서 유래된 M1NV라는 특수물질을 나노입자로 만들었다. 이 나노입자을 주입하면 T세포의 ... ...
초음파로 뇌졸중 후유증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0
병변과 거리가 있지만 기능적으로는 연결되어 있는 소뇌에서 이차적인 혈류
저하
및 대사
저하
가 관찰된다는 이전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소뇌에 자극을 줄 수 있다면 위축된 기능적 회복을 돕고, 나아가 경색 부위로 연결되는 신경경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고 생각했다. 연구진은 뇌졸중으로 ... ...
초고해상도 OLED 제작기술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8.09.06
이른다. 그러나 픽셀과 비슷한 크기를 지닌 렌즈를 사용할 경우 빛 간섭이 일어나 화질
저하
가 나타날 우려가 높아 가급적 더 작게 만드는 기술이 요구된다. ETRI연구진은 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급 렌즈를 새롭게 개발해 화질을 한층 끌어 올릴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ETRI 연구진은 렌즈 ... ...
오래써도 끄떡없는 ‘고효율 연료전지’ 개발 가능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실험결과 새롭게 개발한 촉매는 메탄가스를 연료로 사용해 500시간 이상을 사용해도 성증
저하
가 전혀 없이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반응효율도 기존에 보고된 촉매보다 4배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를 주도한 권오훈 UNIST 에너지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기존에는 전극을 만들 때 ... ...
[팩트체크] 옥중단식·수사압박으로 알츠하이머병 걸릴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유발한다고 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PTSD 환자들도 기억력 감퇴 등 인지기능
저하
증세를 보이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다. 재활과 치료를 통해 극복하면 인지기능도 다시 회복된다”며 “반면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경우 비가역적으로 기억력을 비롯한 인지기능이 떨어지기 ... ...
재미 한국과학자 핵융합 난제 ‘토카막의 딜레마’ 해결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6
이유다. 백 연구원 팀은 관측 결과를 토대로 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런 성능
저하
현상의 원인이 토카막 장지 바깥 경계 부분에서의 마이크로파 전력 손실 때문이라는 점을 입증했다. 특히 장치 내 총 전류를 증가시키면 경계 플라스마의 난류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연구진이 ... ...
연료전지 실용화 최대 걸림돌 ‘스트론튬 석출’ 막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0
교수와 정우철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진은 공동으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효율
저하
를 막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전기를 생성하기 위해 높은 온도를 가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전지 표면에서 ‘스트론튬’ 이란 원소가 새어 나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그림에서 thermogenin이 UCP1이다. 한편 갑상샘 항진증이면 열이 나고 살이 빠지는 반면
저하
증이면 몸이 차고 살이 찌는 것도 열생성과 관련돼 있다. - 위키피디아 제공 세포호흡 회로 중간물질이 신호분자 학술지 ‘네이처’ 8월 2일자에는 갈색지방의 열생성 활성을 촉발하는 새로운 경로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늘 거절이 어려운 당신에게
2018.08.05
부탁인 게 뻔하고 이 부탁을 들어줬을 때 나의 웰빙이 크게
저하
될 것이 뻔함에도 No라고 말하지 못해서 부탁을 들어준 경험이 있을 것이다. 단지 완장을 찼을 뿐인 실험자가 전기 고문을 하라고 했다고 해서 약 70%의 사람들이 타인을 죽음에 이를 수 있는 수준까지 고문했다는 밀그램의 실험처럼 ... ...
200년만의 환생, 프랑켄슈타인...심장을 다시 뛰게 만들겠어
과학동아
l
2018.07.31
단점은 내구성이다. 박동수가 3000회(약 45분)를 넘어가면 재료에 변형이 생기며 성능이
저하
된다. 연구를 주도한 니콜라스 코르스 ETH 화학생명공학연구소 박사는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하는 연구”였다며 “사람의 심장과 크기, 모양, 기능면에서 최대한 유사하게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