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화
흡수작용
작용
통합
동화
흡수 장치
흡입
뉴스
"
흡수
"(으)로 총 1,882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식중독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와 세균
동아사이언스
l
2017.07.13
등은 바이러스성 설사 질환을 일으킵니다. 로타바이러스는 장 운동과 액체의
흡수
와 분비를 조절하는 장 신경계를 자극합니다. 신경계가 장의 상피세포를 자극해 물을 방출하게 되면 설사를 하게됩니다. 노로바이러스는 식중독 환자가 다른 이에게 ‘2차 감염’을 일으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 ...
하늘 높이 물을 뿜는 분수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7.12
생기는 압력을 ‘삼투압’이라고 해요. 삼투압은 특히 식물의 뿌리가 땅에서 물을
흡수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답니다. GIB 제공 실험 방법 분수를 만들어 보자! ※ 실험할 때는 꼭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안전에 유의하세요! 의 독자들이 분수를 만들고 싶은 섭섭박사님을 위해 ... ...
냉라면 과학적으로 더 맛있게 만드는 비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7.07
호화를 위해서다. 호화가 일어난 전분은 점착력이 증가하지만, 한도를 넘어 과하게 물을
흡수
하면 점착력이 줄어들며 퍼진다. 라면을 오래 끓이면 면이 퍼지는 이유다. 적당한 시점에 라면 끓이기를 멈춰야 호화가 일어나 부드러우면서도 찰진 표면과 호화가 덜 일어나 아직은 뻣뻣한 속이 조화를 ... ...
냄새 못 맡으면 살도 빠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06
호르몬의 분비가 활발해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아드레날린은 지방세포로
흡수
되면 지방을 분해하는 효과가 있다. 딜린 교수는 “후각 신경세포의 기능 상실이 교감 신경계를 어떻게 자극해 아드레날린 분비를 촉진하는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며 “사람에게도 비슷한 기작을 보이는지 확인해 ... ...
화이트 보드 마카, 끝까지 오래 쓸 수 있는 비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7.05
잉크가 흘러나가는 공기통로를 만들었다. 필심과 생잉크를 담은 펜대 사이에 고밀도
흡수
체를 넣어 잘 흐른다는 생잉크의 불편을 해결했다. 밀도가 높아 잉크가 한꺼번에 필심으로 흘러들어가지 않고 필요한 양만큼만 들어간다. 200m를 필기했을 때 시그마플로 기술을 적용한 마카는 여전히 진하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빛의 속도로 움직임에도 멀리 가지 못하고 태양 내부의 입자들과 끊임없이 부딪치며
흡수
와 방출을 거듭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서서히 잃고 마침내 태양 표면에 도달했을 때는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으로 바뀌게 된다. 이 과정이 대략 십만 년 걸린다. 따라서 오늘 낮 내가 본 햇빛 가운데 10%가 ... ...
암 세포 ‘다리’ 없애 전이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27
제거했다. 세포는 스스로 열을 잘
흡수
할 수 없지만, 금 나노 입자가 빛을
흡수
해 내부 온도까지 올리기 때문이다. 인테그린이 과발현되지 않는 정상 세포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연구진은 암을 유발시킨 동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새로 개발한 치료법이 화학적 치료보다 독성이 약하다는 결론을 ... ...
[카드뉴스] 자외선 차단하는 3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6.23
면티는 효과가 크지 않지만 청바지는 자외선을 거의 막아줍니다. 노란색은 자외선을
흡수
하는 반면 짙은 파랑과 빨강 색은 자외선을 차단합니다. 물놀이 시 래시가드는 90% 이상 자외선을 차단하지만 일반적인 옷은 물방울이 돋보기 효과를 내 피부가 더 잝 탈 수 있습니다. 음식으로 자외선 ... ...
계란이 타원형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6.23
칼슘의 10%가 필요하다. 구형 알은 어느 정도 외부 충격을 받아도 알이 구르면서 충격을
흡수
해 깨질 위험도 줄어든다. 날지 못하는 타조는 알이 둥근 편이다. - 위키미디어 제공 그럼에도 현생 조류는 타원형 알을 낳게끔 진화했다. 과학자들은 새 알이 타원형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결정에는 결함이 존재하는데 주위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붕괴할 때 나오는 방사선을
흡수
해 불안정해진 결정의 전자가 결함에 포획된다. 따라서 시간이 오래될수록 포획된 전자의 개수도 늘어난다. 이 물질을 500도가 넘는 고온에 두면 포획된 전자가 에너지를 얻어 탈출하면서 빛을 낸다(열발광).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