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리
사고
일고
안
d라이브러리
"
생각하기
"(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라진 태양 중성미자는 어디에?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이론상으로는 있으나 실제로는 없는 태양 중성미자. 과학자들을 난처하게 해 온 이 중성미자는 손실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물질로 변한다는 이론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소련 코카서스지역의 광산 내부 깊숙한 곳에서 작동되고 있는 소련-미국 공동연구팀의 고감도 태양 중성미자(中性微子) 탐지기 ... ...
PART4 소피아 안티폴리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지중해 연안에 자리잡은 소피아 안티폴리스는 유럽 전역에 첨단기술을 공급하는 국제 연구단지다.만년설이 덮인 알프스산록까지 자동차로 2시간 거리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휴양지의 하나인 지중해까지는 불과 15분. 이 두 곳을 같은 계절에 즐길 수 있는 곳이 프랑스 동남부의 연안 칸과 니스 사 ... ...
PART5 케임브리지 사이언스 파크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케임브리지 사이언스파크는 아이작 뉴턴의 모교이며 28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트리니티 칼리지를 근거지로 발달했다.우리나라에서 말하는 첨단과학단지를 영국에서는 사이언스파크(science park)라고 부른다. 미국에서는 하이테크센터라 하며, 새로운 조어를 잘 만드는 일본에서는 테크노폴리 ... ...
난방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건물 에너지 절약의 관건은 단열. 이를 위해서는 건물의 외부구조를 단순화시켜야 하고, 단열재를 적정량 사용해야 한다.대덕연구단지 내의 일반 주택중에는 특이한 주택이 하나 있다. 건평 40평(2층) 규모의 이집은 언뜻 보기에는 다른 집들과 차이가 없으나 다른 단열주택과 비교해 40~50% 이상의 에 ... ...
오른뇌를 자극하라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영어단어외우기 수학문제풀기 등으로 수험생의 왼뇌는 극도로 지쳐 있다. 이를 휴식시키고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오른(右)뇌를 훈련하라'고 권한다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 그럴 시간이 있으면 그 시간에 영어단어 하나, 수학공식 하나 더 암기하고 익히는데 ... ...
첨단 기술과 예술의 접목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컴퓨터에 대한 기본 지식과 그림을 그릴 주란 알면 누구나 그래픽아티스트가 될 수 있다. 첨단 과학시대에 살고 있다지만 그 정도를 미처 다 실감하지 못하고 지나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중에서도 특히 '디지털 이미지'라고 하는 컴퓨터 그래픽 분야는 더욱 그러하다.새로 나온 전화기나 TV를 조 ... ...
대중에 공개되는 밤하늘의 신비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천문관측에 관심은 있어도 마땅한 장비나 운용지식이 없어 관측을 못하는 일반인들을 위해 대학생들이 무료로 공개관측회를 연다. 전국 21개 대학 천문 서클연합인 대학생아마추어천문회가 10월의 마지막 주말인 27~28일 양일간 광화문 옆 경희궁자리(舊서울고)에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관측회를 ... ...
운석과 혜성으로 지구에 접근하기도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목성과 토성 사이에 존재하는 소행성 집단. 10만개로 추정되는 이 미숙아들은 어떻게 생성됐으며 지구의 역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을까?인간이 살고 있는 지구를 벗어나면 우주속에는 미지의 천체들이 그득하다. 그러나 그 중 태양계 내에서 지구를 제외한 8개의 행성들은 그런대로 그 비밀이 한꺼 ... ...
단풍과 낙엽으로 군살뺀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우리나라의 단풍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유는 무엇일까?우리나라는 가을에 단풍이 아름답기로 세계에서 손꼽히는 나라중의 하나다. 온대지방의 중위도지역에서는 가을이 되면 나무나 관목을 노랗게 혹은 붉게 물든다.보통사람들은 서리가 오게 되면 단풍이 든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실은 ... ...
거북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대부분은 되뒤집기 기술을 갖고 있지만 뒤집히면 죽는 종(種)도 있다.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학 1천년 거북이 1만년'이라고 해서 '거북'을 장수의 상징처럼 여겼다.거북이 1만년을 산다는 이야기는 믿기 어려우나 실제로는 대개 1백세까지 살고, 최고 오래 산 거북은 2백세에 이른 놈도 있다고 한 ... ...
이전
1320
1321
1322
1323
1324
1325
1326
1327
1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