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뉴스
"
면적
"(으)로 총 1,471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아쟁론]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 운전 연장
동아일보
l
2015.01.30
바깥에 주민 거주를 허용한다. 중수로는 이 거리가 1km에 육박함에도 발전용량이 작아
면적
당 발전효율이 경수로의 5분의 1에 불과하다. 중수로는 건설비 절감을 위해 격납건물에 강철판을 덧대지 않아 그 보완책으로 주민을 원전에서 더 멀리 떨어져 살도록 한 것이다. 그래서 월성 1호기는 국내에서 ... ...
대전 연구단지 새 랜드마크 ‘사이언스컴플랙스’ 출발 전부터 시끌
2015.01.27
서쪽편 4만7448㎡(도로 제외)의 부지에 5600억 원 이상의 사업비를 투입해 연
면적
29만642㎡의 복합 시설물을 신축하겠다는 것. 컴플렉스 내부엔 각종 문화시설과 과학 체험시설, 벤처지원 시설 등이 들어서며, 공공시설로는 대전 대덕대교와 엑스포다리 사이에 제2 엑스포다리(왕복 4차로)를 건립하고, ... ...
KAIST는 쿡 찍어내고, 포스텍은 둘둘 말고
2015.01.19
성공했다. 조길원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두루마리처럼 말린 호일로 간단하게 대
면적
그래핀 박막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기술은 원료와 촉매를 두루마리처럼 둘둘 말아 원료가 촉매 표면과 반응하는 횟수를 늘렸다. 또 두루마리 형태이다 보니 작은 규모의 ... ...
뒤틀리는 비누막의 비밀
2015.01.14
비누막의 표면장력과 같은 힘이 고리에 가해지기 때문이다. 고리 안의 비누막은 표
면적
을 최소화하려는 표면장력과 고리가 변형될 때 그 반대로 작용하는 저항력이 서로 경쟁적으로 작용하면서 안정적인 평형 상태를 유지한다. 연구팀은 먼저 비누막으로 채워진 닫힌 고리의 길이를 늘이거나, ... ...
과학기술위성 3호 우주파편과 1km 차이로 ‘세이프’
2015.01.04
없는 과학기술위성 3호는 자세제어용 추력기를 이용해 충돌위험을 최소화했다. 표
면적
이 넓어 파편에 맞을 가능성이 높은 태양전지판을 파편 방향과 수평으로 틀어 충돌가능성을 낮추는 원리다. 강경인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실장은 “자세제어용 추력기를 이용한 자세제어는 위성의 수명에 전혀 ... ...
[북극으로 가는 ‘제2 쇄빙선’] 북극 전용 쇄빙선 2020년 취역한다
2015.01.02
필수적이다. 남극은 대륙인 반면 북극은 연중 얼어 있는 얼음바다다. 여름(9월)에는 해빙
면적
이 400만 ㎢ 정도지만 겨울(3월)에는 약 1300만 ㎢까지 늘어난다. 해빙의 두께도 2~5m 정도로 평균 1m 정도인 남극에 비해 훨씬 두껍다. 윤호일 극지연 선임연구본부장은 “제2의 쇄빙선은 아라온호보다 쇄빙 ... ...
[메리 크리스마스 특집] 오늘밤 제일 바쁜 산타 썰매의 비밀
2014.12.24
적도록 얇고 날렵하게 변하지만 미끄러운 눈이 쌓인 지붕 위에 주차를 할 때는 표
면적
이 넓고 거칠게 변신시킨다는 것이다. 수많은 선물은 어떻게 할까. 실버버그 교수는 선물을 실을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탄소를 합성해 플라스틱 장난감을 만드는 ‘마법 주머니’만 있으면 된다는 것이다. 이 ... ...
아파트에 도시가스 쓰는 연료전지 설치한다면…
2014.12.23
장시간 안정적이면서도 전기를 높은 출력으로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전까지 단위
면적
(㎠)당 0.5와트(W)에 불과했던 출력을 1.3W/㎠로 높였으며, 500시간 이상 안전성 평가를 거친 결과 전압이나 전류가 낮아지는 현상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김 교수는 “가스관을 타고 들어오는 ... ...
안방에서 스마트폰으로 농장일 척척
2014.12.17
기술이 적용돼 있다. 정부는 국내 환경에 맞는 스마트팜 기술을 개발해 2017년까지 경지
면적
600평 이하의 소농가 8000곳에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스마트팜 구축 비용은 농가당 300만~500만 원 수준이다. 쌀겨와 같은 농산 부산물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한다는 방안도 나왔다. 미국 아이오와주에서는 ... ...
2014년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2014.12.14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공동 연구진은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을 넓은
면적
으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해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기존 방법보다 성능이 뛰어난 단결정 그래핀을 5cm 크기로 만들 수 있고 유해 물질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게르마늄이 입혀진 실리콘웨이퍼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