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d라이브러리
"
나노
"(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기술 결합된 최첨단 전투복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그리고 내부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구동기가 내장돼 있다.ISN의 네드 토머스 소장은 “
나노
기술을 활용해 개발될 전투복과 장비는 군인의 생존성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17m/초로 낮추는데 성공했다는 연구를 소개했다. 이때 기체 원자들의 온도는 4백35nK(
나노
켈빈=${10}^{-9}$K, 캘빈은 절대온도를 의미한다. 0K=-273.15℃이다)으로, 지난해 노벨물리학상이 시상된 분야인 보즈-아인슈타인 응축(BEC, Bose-Einstein Conden-sation)이 일어나는 극저온 영역이다. 이 연구의 주인 ...
비커 속에 나타난 태양 에너지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1천4백만 전자볼트의 고에너지 중성자를 고속으로 쏘았더니 기포가 생겨나 지름이
나노
미터(1백만 분의 1m)크기에서 최대 1㎜ 크기까지 자랐다가 터졌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중수소들을 핵융합시킬 때 만들어지는 삼중수소와 2백50만 전자볼트의 에너지를 가진 중성자가 검출됐다는 것. ... ...
다시 불붙는 지구 최초 생명체 논쟁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케로겐(kerogen)구조를 발견했다. 라만 분광학기법이란 레이저를 이용해 수
나노
미터(1
나노
미터는 ${10}^{-9}$m) 샘플의 화학적 구성을 밝히는 기법이다. 스코프 박사는 논문에서 “호주 북서부 암석은 약 35억년 전의 것으로,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지구 최초의 생명체보다 약 10억년 정도 앞선 ... ...
2 최정예 후보물질 대거 선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이용, 페놀기가 포함된 후보물질을 수천-수만개 만들어 후보물질을 검색한다.
나노
칸 방법을 이용해도 되지만 마이크로칩이 내장된 비드는 가격이 비쌀 뿐더러 자동화된 실험장비를 갖추기도 어렵다. 평행합성법은 이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후보물질을 만들 수 있다.평행합성법은 각각의 분리된 ... ...
차세대 메모리 칩 제조하는
나노
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유명학술지에 게재했고 17개의 특허를 출원했으며, 60여회 국내외 초청강연을 했다. 특히
나노
자성 박막의 실시간 자구 관찰 및 동력학 연구분야의 세계적 선도연구로 인해 자성분야 여러 국제학술회의에서 6회 초청강연을 했다. 이같은 자성체 분야의 국제적 수준의 연구활동으로 그는‘이달의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온도계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새길 수 없기 때문에 탄소
나노
튜브 온도계의 온도값은 전자현미경으로 읽을 수 있다.탄소
나노
튜브 온도계가 잴 수 있는 영역은 50-5백℃. 연구팀은 액체 갈륨의 끓은점이 매우 높아, 앞으로 이 온도계의 측정 영역을 1천℃까지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전의 마이크로 단위의 온도계는 냉동액체를 ... ...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다음
나노
공정이나 토양대수층 이용기술을 사용하면 된다. 기존 하수의 처리공정 뒤에
나노
공정 또는 고도산화공정기술을 연결할 수도 있다.이런 관점에서 물 재이용기술은 다양한 기술들의 연계가 가능한 부분을 찾는 일이 중요하다. 반대로 연구를 좀더 세분화시켜 역할을 분담해 심도 있는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라틴어로‘독’의미바이러스가 근래에 들어서야 발견된 까닭은 크기가 고작 수십nm(
나노
미터=${10}^{-9}$m)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바이러스의 실체가 확인된 것은 1930년대의 일로, 전자현미경이 개발된 후에 가능했다. 그리고 그 용어는 19세기 중반‘독’을 의미하는 라틴어‘바이러스’에서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마이크로에서
나노
사이즈로 줄이는 연구를 시작하고 있다.이것은 마이크로 단위에서
나노
단위로 기술이 발전함을 의미하며 궁극적으로 단분자 조작과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는 의미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단일나선의 DNA 분자 구조를 빠른 시간 안에 알아낼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