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서핑, 파도의 속도를 예측하라수학동아 l2021년 09호
- 흐름이나 파도의 영향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론 페드키우(Ron Fedkiw)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가 1999년 처음으로 이 방정식의 근사해를 CG 시뮬레이션에 적용했고,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2006)’에서 거센 파도를 3차원 그래픽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죠. 이처럼 예측하기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수학 안내자가 생각하는 수학의 쓸모는?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살려 기하와 관련된 교육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 특히 영재교육에 관심이 많아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장을 맡으며 영재교육 전반에 관해 연구하기도 했습니다. 기자 : 교수님은 우리가 왜 수학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최영기 교수 “수학을 왜 배울까?”라고 학생들에게 물으면 ... ...
- [과동 키즈]이로운 옷 지어 세상에 베풀 수 있다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들어갔다. 그렇게 나는 법관이 되라는 할아버지의 바람에서 또 한 발짝 멀어졌다.대학교를 졸업하고 브랜드 ‘박춘무’에서 신입 디자이너로 일을 시작했다. 원·부자재 수급을 위해 동대문 시장을 다니고, 옷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샘플을 입어보는 일을 했다. 선배 디자이너와 함께 땀 흘려 만든 ... ...
- 친구 관계 테스트 │ 우정을 대하는 나의 자세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세 친구처럼 친구 관계 때문에 고민한 적이 있다고? 그렇다면 어떤 친구 관계를 선호하는지 간단한 테스트로 알아봐! 시유, 준하, 호영은 어떤 유형일지도 살짝 예상해 봐. ...
- 시유의 고민│ 내 절친은 누구일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시유가 앞으로 최대 몇 명의 친구를 사귈까요? 1993년 로빈 던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교수는 한 사람이 맺을 수 있는 최대 친구의 수는 평균* 150명이라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어요. 이 수를 ‘던바의 수’라 부르지요. 던바 교수가 원숭이, 침팬지 등의 뇌를 연구한 결과, 뇌의 용량에 따라 친구의 ... ...
- 준하의 고민 │친구 쉽게 사귀는 법을 알려줘~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9호
- 고민을 해결해 줄 확실한 무기는 ‘시간’이란 말씀! 2018년 제프리 홀 미국 캔자스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성인 500여 명을 대상으로 친구를 사귀는 데 걸리는 시간을 분석했어요. 친구를 ‘절친’, ‘친구’, ‘가볍게 만나는 친구’, ‘알기만 하는 친구’ 4개의 집단으로 분류해 ... ...
- [이슈] 네안데르탈인이 인간보다 먼저 숫자를 알았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이것 봐, 내가 오늘 얼마나 많은 동물을 사냥했냐면….”여러분이 숫자가 없는 아주 옛날 옛적에 살았다고 상상해봅시다. 오늘 하루 사냥한 동물이 얼마나 많은지 기록으로 남기고 싶어요. 지금까지 사냥한 것 중 가장 많은 동물을 잡아서 다른 사람에게 자랑하고 싶거든요. 이때 몇 마리를 사냥 ... ...
- [가상 인터뷰] 1급 멸종위기종 얼룩새코미꾸리의 산란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거야. 그러려면 먼저 해당 종이 정확히 어떻게 번식하는지 알아야 해. 지난 3월, 순천향대학교 생명과학과 방인철 교수팀은 얼룩새코미꾸리의 산란 행동을 관찰한 내용을 발표했어. 산란 전 단계에서는 수컷이 암컷의 배를 머리로 두드리는 행동을 보였어. 산란 단계에서 수컷과 암컷은 몸을 붙인 채 ... ...
- [기획] 물곰 너는 누구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실은 러시아 로켓 소유즈 2.1a호가 발사됐어요. 물곰은 우리나라 조선대학교와 연세대학교가 개발한 초소형위성 ‘KMSL’에 탑승하고 있었지요. 연구팀은 위성이 지상 680km 상공의 궤도에 도착하면 물을 뿌리는 장치로 물곰을 깨울 계획이에요. 이후, 물곰이 계속 살 수 있도록 위성 속 산소 유출을 ... ...
- [특집] 고수의 조언 3. 마음 담은 편지를 써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GLM’을 만들 계획이랍니다. 내 생각을 문장으로 바꿔줘! 지난해 4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프란시스코캠퍼스 에드워드 창 교수는 사람의 뇌파를 읽고 문장으로 바꾸는 데 성공했어요. 연구팀은 뇌 피질 위에 전극을 삽입해 뇌파를 측정하는 장치 ‘ECoG’을 사용했어요. 이 실험에는 간질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