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새로운 세상 메타버스가 온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정의는 다양하지만 지금까지 나온 메타버스가 갖춰야 할 조건은 있습니다. 이병호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플레이에 제약이 없는 높은 자유도가 보장된 ‘오픈 월드’, 아이템이나 월드를 사용자가 직접 제작할 수 있는 ‘사용자 기여도’, 제작된 상품을 판매하는 등 수익을 창출할 수 ... ...
- [IBS 수학동아 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위상수학 학회를 기점으로 오타 히로시 일본 나고야대학교 교수와 오노 카오루 일본 교토대학교 교수가 합류했다, 우리 네 사람은 러시아 수학자 미하일 그로모프가 만든 유사정칙 곡선과 후카야 범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고, 각각의 대학으로 흩어졌다. 일본에 있던 그들과 미국 한복판에 있던 ... ...
- [특집] 베고,심고,가꾸고! 만들어요! 건강한 숲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어서 오세요! ‘만들어요! 건강한 숲’ 게임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이 게임은 건강한 숲을 만들고 관리하는 숲 경영 게임입니다. 나무들을 잘 선택해 건강한 숲을 구성하는 것이 숲 경영의 관건! 그런데 어떻게 하면 건강한 숲을 만들 수 있을까요? 이어지는 가사를 보려면▼Intro. [특집] 베고, ... ...
- [특집] 건강한 숲 비결은 다양성!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7종이 분포하는 데 그쳤어요. 특히 관목류와 초본류가 훨씬 풍부하게 자랐지요. 이화여자대학교 식물분류학 소지현 박사는 “우리나라의 숲은 과거 녹화사업을 통해 주로 만들어지면서 나무의 종 수가 다양하지 않다”며, “숲 가꾸기를 통해 더 다양한 종의 나무가 서식한다면, 좀 더 먼 미래에는 ... ...
- [특집] 숲의 목재 활용도를 높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생분해 플라스틱에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어요. 지난해 12월, 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 진정호 교수 연구팀은 셀룰로오스를 이용해 물에 잘 젖지 않고 생분해되는 포장재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우리가 일상에서 쓰고 있는 비닐 포장재는 합성플라스틱 필름에 알루미늄 ... ...
- [가상 인터뷰] 하와이가 ‘무지개 맛집’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아니야. 그런데 왜 하와이에서는 무지개를 자주 볼 수 있을까? 지난 2월, 미국 하와이대학교 해양지구과학기술학부 스티븐 버싱어 교수가 이전에 밝혀진 하와이의 기후와 지리적 특징을 종합해서 그 이유를 설명했어. 왜 하와이에 무지개가 많이 생기는 거야?하와이는 소나기가 많이 내리기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운석이 아니라 빗방울이 펀치볼을 만들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지질학 교수)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6년부터 강원대학교 지질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제동굴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며, IUCN 세계자연유산 심사위원으로 세계의 지질유산을 심사하고 있다 ... ...
- [JOB터뷰] 프로파일러, 배우로 2막을 올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범죄심리학자로 유명한 경기대학교 이수정 교수를 만나며 운명이 바뀌었지요.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에 진학을 결심하곤, 석사 과정 중 공채에 지원해 형사과 과학수사계 소속 경찰 공무원인 프로파일러가 됐어요.그런데 지금은 범죄 수사 관련 미디어 콘텐츠 자문과 배우를 겸직하고 있어요. 201 ... ...
- [수학뉴스] 열대어 줄무늬 만드는 튜링 패턴 나노 세계에도 적용된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단위의 작은 세계까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후세야 유키 일본 전기통신대학교 교수팀은 개별 원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규모에서도 튜링 패턴이 발견되는 것을 확인해 7월 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물리학’에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원자번호 83번 ... ...
- [수학뉴스] 어릴 때 공간추론능력이 수학 실력 결정한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수학 실력에 영향을 준다는 최근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벵케 뫼링 스위스 바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팀은 스위스 바젤에 사는 만 3세 586명을 대상으로 공간추론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연구팀은 색깔이 있는 큐브를 특정 모양으로 배열하는 과정을 만 3세부터 만 7세까지 1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