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우"(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늘로 떠난 수학 사냥꾼, 존 코웨이수학동아 l2020년 09호
- 2+12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k가 2일 때 s가 2이고, 두 번째는 k가 2일 때 s가 3인 경우를 보여주죠.지금이야 자연수는 모두 제곱수 4개, 세제곱수 9개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고, 19개의 네제곱수의 합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 증명돼 알려졌지만, 콘웨이가 연구할 당시에만 해도 다양한 ...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수 있는 범위는 대략 15km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목표 해빙이 촬영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가 빈번했다. 지금은 우리의 눈이 돼줄 우리나라 인공위성이 4기나 운영되고 있다. 2015년 임무기간이 종료됐지만 아직 수명이 다하지 않아 14년째 활동 중인 아리랑 2호부터 아리랑 3호, 적외선 카메라를 탑재한 ... ...
- 논란 많은 러시아 백신 집중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백신을 투여한 뒤 그들이 일상생활을 하는 동안 바이러스에 감염되는지 확인한다. 이 경우 발병률이 낮아 백신의 효능을 확인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참가자에게 백신을 투여한 뒤 바이러스를 직접 주입하면 이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실제로 2011년 장티푸스 백신과 1976년 콜레라 ... ...
-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위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위치한 좌표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동작을 이루는 관절의 각도를 비교한 것이다. 이 경우 촬영 각도나 춤추는 사람의 신체 조건에 따라 관절의 좌표가 달라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선 씨는 “EXO-K의 ‘MAMA’ 안무를 따라 한 영상을 실제 EXO-K의 춤과 비교한 결과 안무 일치율이 60%로 ...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물려받아야 하지만, 게놈이 없는 빈 난자에 남자(아빠)의 게놈만 들어간 것이다. 이 경우 수정란은 혹으로 자라날 뿐 온전한 배아로 성장하지 못한다. 결국 연구팀이 사용한 자궁 혹 세포의 X염색체는 정자를 제공한 남자의 X염색체인 것이다. 발생학적으로는 문제가 있는 상황이지만, 그 덕분에 얻은 ... ...
- [기초과학의 힘, IBS ] 나노 패치 뭍여 여드름 잡고 스마트렌즈로 스트레스 측정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한국 연구팀과는 교류가 없었다. 또 대부분의 공동 연구는 교수의 교류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 공동 연구는 초면이었던 두 박사과정 연구원이 시작한 것이어서 더욱 뜻깊었다. 연구를 진행하던 당시에는 이탈리아와 샘플을 주고받느라 시간이 오래 걸려 이따금 불편하다는 생각을 ... ...
- [나의 독일유학일기] 국경 넘나드는 유럽의 인턴십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일할 학생들을 찾는다. 학생들은 이들과 면담하며 인턴십 자리를 찾을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졸업 후 일할 정규직 자리를 얻기도 한다. 학교가 주최하는 박람회 외에 학생들로만 구성된 그룹도 기업과 만남을 주선한다. 공학 분야에서는 ‘본딩(bonding)’ 그룹이 유명하고, 금융 분야에서는 ... ...
- [3회] 고수의 데이터 요리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때 A와 B, A와 C, A와 D, A와 E, A와 F는 파티 활동을 하지만 B~F 사이에는 서로 교류가 없는 경우죠. 반면 충성도 높은 사용자들의 네트워크는 복잡하게 얽혀서 집단 내에서 자주 상대를 바꿔가며 파티 활동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기계학습으로 이탈할 사용자 예측!함수를 만들고, 그래프와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9화. 어느 수학자의 덕질수학동아 l2020년 09호
- 경우의 수까지! 맨유의 최종 순위도 38라운드 마지막 경기까지 결정되지 않아 온갖 경우의 수가 있었는데요. 실제로 37라운드 마무리 후 챔피언스리그 진출을 놓고 경쟁하던 맨유, 첼시 FC(이하 첼시), 레스터 시티 FC(이하 레스터)의 승점은 각각 63, 63, 62점이었고 심지어 38라운드 마지막 경기가 맨유와 ...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거대한 빙산이 갑자기 흘러들어와 서식지를 가로막는 시련이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 펭귄이 먹이를 찾아 바다로 나가기 어려워져 번식에 실패하고 떼죽음을 당하기도 한다. 실제로 2010년 남극 케이프 데니슨 지역의 아델리펭귄 서식지에서 바다로 나가는 길목이 면적이 2900km²인 빙산에 가로막혀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