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수학자 수, 그림으로 말해요!수학동아 l2014년 02호
- 탁자 2개에 나눠 앉는 방법을 구해 보자. 이때 두 개의 탁자는 똑같은 모양이다.우선 둘씩 짝지어서 앉는 방법이 있다. 남자는 남자끼리 여자는 여자끼리 나눠 앉을 수 있고, 반대로 남녀가 짝을 이뤄 앉을 수 있다. 이 경우를 일일 따져 보면 전자가 1가지, 후자가 2가지로 총 3가지다.세 명이 함께 앉고 ... ...
- GALAXY는 WARP중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뒤틀리거나 휘려면 외부의 힘이 필요하다. 바로 중력이다.“은하가 놓인 환경은 크게 둘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근처에 은하가 많은 환경과 은하가 적은 환경이죠. 이웃한 은하가 있다면 당연히 주변에 강한 중력장이 생기지요.”김성수 경희대 우주과학과 교수가 설명했다. 우주에는 무수한 은하가 ... ...
- PART 3. 지구 기후의 마지막 퍼즐 남극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남극 전체를 논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수십 개의 기지를 중심으로 작은 기후모델은 하나둘 만들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남극 해안에는 ‘폴리니아(빙호)’라고 불리는 바다 지형이 있다. 해빙과 육지 사이에 어째서인지 얼지 않은 바다가 있다. 연구 결과 남극의 높은 중심부에서 불어 내려온 강한 ... ...
- 백혈병은 반도체 공장 때문이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2호
- 회사를 그만두고 있었다. 황상기 씨가 앞장서 문제를 제기하자 피해자와 가족들이 하나둘 모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함께 외쳤다. 우연이 아니라 산업재해라고.깨끗한 방진복은 반도체를 보호하기 위한 것?반도체 공장은 깨끗하다. 특히 반도체를 생산하는 클린룸은 먼지 하나 용납하지 않는다. ... ...
- 말 타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새로운 종을 만들어 보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서러브레드의 속도와 제주마의 체력을 둘 다 갖추고 우리나라 사람이 타기에 적절한 키를 가진 말, 바로 ‘한국형 승용마’다.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2010년부터 서러브레드와 제주마를 교배시켜 키 145~150cm인 한국형 승용마를 개발하는 연구를 해왔다. ... ...
- LED 밑에서 잠 못 드는 닭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선호하는 이유이기도 하다.백열전구와 달리 LED 전구는 기본적으로 켜거나 끄거나 둘 중 하나다. 반도체 특성상 특정 전압 이상에서 불이 들어오는데 그 이하에서는 전혀 켜지지 않는다. 불이 켜지는 전압은 LED의 색에 따라 다르다. 밝기를 높이기 위해 전압을 무한정 올렸다가는 회로가 쉽게 ...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통해, 까치는 야생상태에서 사람을 구별하는 능력이 입증된 세 번째 조류가 됐다(나머지 둘은 까마귀와 지빠귀 류다). 거울 보고 몸 단장한다까치는 거울에 비친 자신도 인식한다. 영장류 등 극히 일부 포유류에게서만 밝혀진 능력이며 조류 중에는 유일하게 까치만 밝혀져 있다.독일 괴테대 ... ...
- 중국의 ‘선녀’, 달로 돌아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활동을 시작했고요. 15일에는 창어 3호와 위투가 달 표면에서 서로를 찍은 사진을 전송해 둘 다 무사히 도착했다는 사실을 알렸어요. 위의 사진은 창어 3호가 찍은 위투의 모습이지요.창어 3호의 임무는 두 가지로 나뉘어요. 착륙선은 천체망원경을 달에 설치해 우주관측 데이터를 보내고, 위투는 ... ...
- [현장취재 ❶] 수학동아 클리닉 덕분에 수학 자신감 되찾았어요!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소망편지를 담은 타임캡슐을 개봉하는 시간. 학생들은 수줍어하며 자신이 쓴 편지를 하나둘 읽어 나갔다.“동환아, 1년 뒤에 넌 수학을 지금보다 더 좋아하게 되고, 수학에 자신감도 얻을 거야. 김동환 파이팅!”김동환 학생(서울 안산초 6)이 처음으로 자신의 소망 편지를 발표했다. 수학에 자신감을 ... ...
- [김민형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자의 여행수학동아 l2014년 01호
- 그의 가족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수학이 인생의 전부인 그에게는 장성한 두 딸이 있는데, 둘 다 수학과는 전혀 무관한 일을 한다는 것이다. 아이들이 어렸을 적에 종종 수학 공부를 도와 주곤 했지만, 어느 문제든지 적어도 세 가지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는 습관이 있어 아이들이 꽤 괴로워했다고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