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체험실] 정삼각형에 꽂아요! 육팔면체 연필꽂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2개가 교대로 모여 있다. 정육면체와 정팔면체를 이루는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이 모두 있어 ‘육팔면체’라는 이름이 붙었다. 육팔면체를 포함한 13개의 준정다면체는 반도체와 저장매체, 배터리, 수소저장물질 등 첨단 소재를 이루는 물질의 구조를 다루는 분야에서 활용된다. 최근 김성지 포스텍 ... ...
- [기획] 노벨물리학상, 기후와 물질 속 혼돈에서 질서를 발견해내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슈쿠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는 현대 기후 모델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대기와 해양이 모두 포함된 기후 모델을 처음 만든 과학자다. 지구온난화의 원인을 정량적으로 설명한 것도 그의 업적 중 하나다. 1967년 마나베 교수는 논문에서 기후 모델을 이용해 대기 중 온실가스의 증가로 지구 표면 대기의 ... ...
- 접종 양극화 고통 장기화 불러온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지난해 12월, 91세 영국인이 세계에서 처음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받았다. 연이어 각국에서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서 팬데믹 ... 접종률이 고르게 오를 수 있다면 고통의 총량은 훨씬 줄어들 것이다. 인류의 생존을 위해 모두의 바람을 모아야 할 시점이다 ... ...
- [과학공학 콘텐츠 제작소] 당신에게 고향의 추억을 바칩니다...윤인순 할머니의 오르골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흘러나오는 고향의 봄 가락에 맞춰 긱블과 할머니가 함께 노래를 불렀습니다. 모두가 눈물 바람인 합창이었죠. 할머니는 영란꽃을 바라보며 “이 꽃을 70년 만에 만났다”며 “이산가족을 만났네”라며 기뻐하셨습니다 ... ...
- [과동키즈] 선수의 건강을 책임집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돕는다. 선수에 대한 이해심과 배려심이 필요한 순간이다. 같은 부상일지라도 정도가 모두 다르고, 부상을 당한 선수의 현재 상황 및 팀에서의 위치, 부상당한 시점, 팀과 감독의 요구 등 모든 사항을 고려해 적절한 처방과 조언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스포츠의학은 프로선수만을 위한 학문으로 ... ...
- [이달의 책] 배터리에 관한 거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컴퓨터로 하기 때문입니다. 요즘 화제인 ‘오징어 게임’도 못 보고, BTS ‘덕질’도 모두 멈출 수밖에 없습니다. 지난 과학동아 정도를 볼 수 있겠네요. 이렇게 배터리는 우리 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 존재입니다.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단연 리튬이온전지입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휴대용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마침내 밝혀진 진실 “난 ‘해뿡’이 아니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너도 빨리 가. 새로운 임무다! 얼음 행성에 가서 산딸기 찾는 일이야!”해롱 선장은 모두가 눈앞에서 사라질 때까지 고래고래 소리를 질렀습니다. 끝이 없을 듯한 임무의 파도도 결국에는 끝이 났습니다. 겨우 숨을 돌린 딱지는 마지막 일을 끝내자마자 침대에 쓰러져 거의 이틀 동안 잠만 잤습니다. ... ...
- [인터뷰] “수학이 우리를 자유롭게 하리라”수학동아 l2021년 11호
- AI가 소설을 쓸 수 있도록 알고리듬을 구축할 회사를 찾는 일, 그 비용을 내는 일까지 모두 제가 했답니다. Q. AI의 소설 쓰기 실력은 어느 정도인가요? A. 딥러닝이라는 것이 스스로 학습하는 거잖아요. AI 소설가가 처음에 쓴 글은 제 마음에 들지 않았어요. 하지만 소설을 완성할 단계에서는 놀라움의 ... ...
- [에디터노트] 인류를 위한 연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과학기자들에게 10월은 노벨상 발표로 시작하는 달입니다. 올해도 4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5일 물리학상, 6일 화학상 수상자가 연달아 발표됐습니다. 보통 한국 시간 ... 있습니다. 이 일로 다시 한번 건강의 중요함을 깨닫습니다. 독자 여러분과 동료, 가족 모두의 건강과 안전을 빕니다 ... ...
- 식물, 공장에서 키웁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역할을 한다. 판 위에는 줄기와 잎이, 아래엔 뿌리가 자란다. 자세히 보면 판의 크기는 모두 같지만, 선반마다 판에 뚫린 구멍 수가 다르다. LED 조명 색도 조금씩 다르다. 채소의 생장 단계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육묘가 끝난 새싹은 구멍이 100개 뚫린 판에 옮겨심는다. 이 과정을 이식이라고 부른다.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