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뉴스
"
위치
"(으)로 총 5,26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보다도 더 따뜻한 '로봇의 백허그'…포옹기술 11계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4.10
위해 팔을 벌리고 사람이 로봇을 향해 올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사람의 신체 크기와
위치
에 따라 포옹 방식과 팔높이를 조절한다. 사람이 포옹을 풀고 싶어하면 바로 반응해야 한다. 사람이 포옹 중 다른 몸짓을 보이면 빠르게 반응해줘야 한다. 인식 오류는 최대한 숨기고 안는 몸짓도 왕복을 ... ...
[프리미엄 리포트] 암흑물질을 찾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22.04.09
검출기 속 실리콘, 수정 등과 만나 반응한다. 검출기는 이 반응을 기록해 입자의 이동
위치
와 에너지를 알아낸다. 그런데 암흑물질의 큰 특징 중 하나는 다른 물질과 쉽게 상호작용(반응)하지 않는 점이다. 암흑물질이 지나가도 검출기는 모른다는 얘기다. 이를 ‘잃어버린 에너지 사건’이라고 ... ...
반려견 천국 미국 FDA 사료지침까지 만들었지만 알고 있는 애견인 겨우 5%
동아사이언스
l
2022.04.08
씻는다고 답한 사람은 전체 응답자 중 3분의 1에 그쳤다. 또 사람을 위한 음식을 준비하는
위치
에서 애완동물의 사료를 준비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3분의 1이나 됐다. 이 사항은 FDA의 지침에는 없으나, 연구팀은 사람과 동물 모두를 위해 공간 분리가 꼭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연구팀은 FDA 지침의 ... ...
국내 연구진 전류 흐름 분석하는 새 이론 확립해 반도체 결함 문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6
육각형 질화붕소를 각각 전극과 채널로 사용했다. 특히 육각형 질화붕소 층의 질소 원자
위치
에 탄소 원자가 치환된 결함이 존재할 때 전류의 흐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비선형 부성미분저항이라는 특성이 도출됐다. 이 특성은 전압이 증가할 때 전류는 오히려 감소해 전류와 ... ...
1조3천억원 들인 英 화성 탐사로버…전쟁 탓 화성 못 갈 판
연합뉴스
l
2022.04.05
발사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ESA와 러시아의 협력 중단으로 화성과 지구의 공전 궤도 위
위치
등을 고려해 결정될 다음 발사는 일러야 2년 후인 2024년 여름에나 가능하게 됐다. 일부 천문학자들은 발사가 계속 지연될 경우 로절린드 프랭클린 계획 자체가 보류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 탐사 로버의 전망이 ... ...
주중 내내 맑고 일교차 큰 날씨… 7일 오전 중부·전라 비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내외로 클 수 있어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4일은 서해상에
위치
한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전국이 대체로 맑은 가운데 5일과 6일은 남해상에 자리잡은 고기압 가장자리에 들며 전국이 가끔 구름이 많을 것”이라고 4일 예보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4일부터 6일까지 낮 ... ...
[탄소중립 연속기고] 미세먼지 감축에 대한 공감대, 탄소중립으로 잘 연결해야
2022.04.04
또 지구온난화로 사막화가 확대되고 황사와 같은 먼지 발생도 증가할 수 있다. 울산에
위치
한 석유화학 공장. 인체에 유해한 오존과 초미세먼지(PM2.5)의 원인 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배출한다. 동아일보DB 한편 최근 고령화로 인한 취약 계층 인구 증가는 미세먼지에 따른 건강 비용을 ... ...
인간 유전체 풀리지 않던 '8% 빈칸' 모두 채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생긴다는 점이다. 파란 하늘이 배경인 퍼즐을 맞추는데 너무 비슷한 조각이 많아 정확한
위치
를 찾기 어려워지는 것과 같은 이치다. 반면 롱 리드는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한 번에 1만 개 이상 읽어내는 시퀀싱 기법이다. 반복되지 않는 부분까지 퍼즐 조각에 포함시켜 상대적으로 맞추기 쉬운 큰 ... ...
헤니파바이러스 단백질 구조 찾아 백신 개발까지 이어질까
과학동아
l
2022.04.04
결합할 때 4개의 덩어리 중 3개는 자신의 표면으로, 나머지 1개는 숙주 세포 방향으로
위치
시켰다. 연구팀은 G단백질 구조를 바탕으로 백신 개발 방법도 제안했다. G단백질 전체가 아닌 덩어리 부분만을 항원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도 스파이크 단백질 ... ...
[프리미엄 리포트] 오미크론, 팬데믹의 마지막 주자일까
과학동아
l
2022.04.02
삽입이 확인됐다. 게다가 바뀐 아미노산 중 15곳은 바이러스가 인간 세포에 달라붙은
위치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에 있다. 변이 대신 ‘변종’이라고 불러야 한다는 주장이 있을 정도로 모양새가 달라진 것이다. 그 결과 오미크론 변이는 백신이나 기존 코로나19 감염으로 만들어질 항체를 회피할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