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지상"(으)로 총 1,646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운의 日 천체관측위성 ‘히토미’가 남긴 마지막 유산2016.07.07
- 올해 2월 발사돼 지상 580㎞ 궤도에 안착했지만 한 달 여 뒤인 3월 26일 오후 4시 40분경부터 지상과의 통신이 두절됐다. 과학자들은 히토미가 통신이 두절되기 직전 비정상적인 회전을 한 점으로 미뤄 고장 원인을 우주쓰레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주 파편을 추적하는 미국 ... ...
- [사이언스 바캉스 2016] 두 번째 준비물 ‘중력파’ ‘후성유전학’ 외과학동아 l2016.07.06
- ☞ 우주멀미는 괴로워 ☞ 우주 면역력, 비타민이 필수 ☞ 끈 매고 뛰는 우주 런닝머신 ☞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 ☞ 유로파를 향해 떠나다 3. 중력파와 다중신호 천문학 2016년, 우리는 우주 물리 분야에서 100년만에 가장 큰 사건을 맞았다. 바로 아인슈타인이 이론으로 예측한 중력파의 ... ...
-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07.04
- 지목한 연구 논문을 ‘대기 환경’에 발표했다(doi: 10.1016/j.atmosenv.2015.02.060). 연구팀은 지상으로부터 30m 위치에 거치대를 설치해 2009년 2월부터 10월까지 내린 9번의 강우와 5번의 폭설 샘플을 얻었다. 14개의 샘플을 분석한 결과 박테리아 67종을 찾아냈는데, 이들 중 대다수는 얼음이 어는 데 도움을 ... ...
- 1300년 전 당나라 사람들은 오로라 봤다!2016.06.27
- 좀 독특한 무지개 아닐까. 무엇보다도 이런 현상이 관측되는 시점이 중요하다. 오로라는 지상에서 100km는 떨어진 상층 대기권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낮에는 햇빛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 반면 무지개는 공기 중의 물방울에 햇빛이 반사, 굴절돼 일어나는 현상이므로 당연히 밤에는 존재하지 ... ...
- 美 북극권에서 가장 높은 산은? 2016.06.24
- 했고, 산 밑에서 정상까지 등반하는 중에도 GPS 정보를 얻었다. 놀런 교수는 이렇게 얻은 지상 GPS 정보를 항공 GPS 정보와 비교해 자료를 보정했다. 이를 통해 오차 범위가 20cm 이하인 초정밀 고도 측정 기술을 확보했다. 놀런 교수팀의 분석에 따르면 미 북극 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은 해발 2735.6m인 ... ...
- 주기율표 113번 ‘니호늄’ 발견한 日 가속기 현장 가보니2016.06.24
- 다행히 RIBF를 이용하면 우주선과 성질이 비슷한 아르곤, 크립톤, 제논 빔을 만들어 지상에서 실험할 수 있다. 요시다 팀장은 “한국형 중이온가속기인 라온 역시 RI빔을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라온의 출력이 RIBF보다 높은 만큼 정밀공학, 항공우주 분야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할 수 ... ...
- 양극화된 미래를 그린 영화 ‘엘리시움’과 스위스의 ‘기본소득’2016.06.18
- 층이 쾌적한 환경에서 질병을 손쉽게 고칠 수 있는 치료기까지 집집마다 두고 살지만, 지상에선 대부분의 사람들이 열악한 환경 하에서 극빈층의 삶을 살며 로봇들에 의해 통제 받는 2154년의 지구가 이 영화의 배경. 영화적으로야 이러한 설정이 매우 유용하겠지만, 실질적으로는 최상위 층이 부를 ... ...
- 3268억 원 투입, 기초과학연구원(IBS) 본원 30일 첫 삽2016.06.07
- 통합된 세계적 기초연구시설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IBS 본원 바로 옆에는 지하 4층, 지상 43층 규모의 ‘사이언스 콤플렉스’가 들어서며 과학체험, 문화, 상업시설로 활용된다. 첨단 영화, 드라마 제작시설인 ‘HD 드라마타운’과 ‘다목적 전시장’도 건설된다. 미래부는 과학비즈니스벨트를 ... ...
- 구글 떠나는 보스턴 다이내믹스, 대재앙의 시작? 2016.06.04
- 자신들의 미션을 “놀라울 정도의 이동성, 민첩성, 활용성 그리고 속도를 보유한 지상에서 가장 뛰어난 고성능 로봇을 만드는 것”이라 정의한 것도 일맥상통하는 부분. 그런 BD를 안드로이드의 아버지인 앤디 루빈이 이끄는 구글X가 다른 8개의 로봇 회사들과 함께 인수해 ‘리플리컨트(Replicant ... ...
- 우주에서 펼쳐지는 갈릴레이 자유낙하 실험2016.05.27
- 최소화했다. 최인묵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질량힘센터 책임연구원은 “고도 약 700㎞는 지상에서 만들 수 있는 진공 상태보다 기압이 훨씬 낮아 완벽한 진공에 가깝다”며 “순수한 중력가속도를 측정하기에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프랑스국립우주연구센터(CNES)가 지난달 발사한 자유낙하 실험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