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d라이브러리
"
개체
"(으)로 총 1,399건 검색되었습니다.
「흥수아이」를 통해 살펴본 한반도의 구석기 인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사람뼈는 보기 드믈게 거의 손상되지 않은 완전한 뼈대를 갖추고 있었고 나머지 1
개체
분은 크기가 작고 머리부분이 이미 없어진 상태였다. 이교수는 유물들이 발굴된 굴을 첫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흥수굴'이라 명명하고 사람뼈에는 '흥수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그후 흥수아이에 대한 연구는 미국 ... ...
유전자 연구계획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화학반응은 똑같지 않다. 심지어 같은
개체
내의 서로 다른 세포에서조차도 다르다.
개체
의 특성은 화학반응들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정된다.각각의 화학반응은 수십 또는 수백의 보다 작은 단위(아미노산)로 구성된 커다란 복합분자인 효소에 의해서 조절되어 지는데, 아미노산에는 사슬로 배열된 ... ...
생물의 갖가지 형태가 갖는 의미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믿어지고 있다.그러나 '자연의 계획'은 곧잘 부정되기도 한다. 실제로 본능이라는 용어도
개체
를 초월한 '자연의 계획'이라는 것을 부정하기 위해 등장했다. 이처럼 쉽사리 부정되는 까닭은 '계획' 그 자체가 물질도 힘도 아니므로 실체가 잡히지 않기 때문이다.그러나 만일 눈에 보이는 실례를 ... ...
종(種)의 보존을 위한 의지 발생의 신비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아마도 체절의 구조에 심대한 변화를 미쳐 이제까지 볼 수 없었던 특이한 형태를 띤
개체
의 발생을 초래할 것이다. 이같은 돌연변이를 호미오틱(Homeotic) 돌연변이라 한다.이런 변이가 발생하면 초파리의 안테나 자리에 다리가 생길 수 있다. 또 날개가 없는 체절에도 날개가 발생, 두쌍의 날개를 가진 ... ...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테트로도톡신이 발견될 것 같다.이런 테트로도톡신이 발견된 동물은 계절이나 장소
개체
에 따라 독의 양이 많거나 적거나 했다.또 이런 독이 함유되지 않은 먹이로 양식한 복은 독이 없다는 사실도 도쿄대학 농학부 '마츠이타카시'교수팀이 밝혀냈다.그렇다면 복독은 복에만 있는 독특한 것이 ... ...
신생아의 놀라운 능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다시 말하면 어느 정도의 구조나 틀을 갖고 태어나서 환경의 영향을 받아 한 사람의
개체
로 완성되어진다고 할 수 있다. 신생아의 조건반사새로 태어난 동물 새끼들은 금방 일어서고 걸어다니기도 한다. 반면 사람의 갓난아기는 그러한 운동면에서는 뒤늦은 것 같아 보인다. 강아지새끼는 ... ...
종자산업이 미래를 좌우한다.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위한 새로운 다수성(多收性)의 품종이나 재해에 잘견디는 신품종의 육성은 작물의
개체
에 유전되고 있는 유전인자의 집적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그런데 하나의 유전인자가 현존하기까지에는 40억년이라는 긴 진화과정을 거쳐왔으며 일단 소실되면 재생은 불가능 한 것이다.한편 인류가 재배하고 ... ...
동물들의 새끼기르기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것이다. 이 애정은 우리 인간의 것과는 기반이 다를 수도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개체
와
개체
가 어떤 접촉을 할 경우 거기에는 자연스러운 커뮤니케이션이 있게 된다. 그것이 인간의 언어로 '애정'이라고 표현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애정은 다음 세대에도 분명히 전달되어 간다. 자연스러운 '어미의 ... ...
쉬는날 없이 하루 6∼7시간 노동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썼다. 이것은 거의 자손을 남기지 않는 일벌인 꿀벌이 어떻게 진화되었는가 하는 문제를 1
개체
추적법의 데이타로 설명한 것.'오타니'박사의 관찰에서 밝혀진 일벌의 활동상은 다음과 같다.먼저 악착같이 일하는 셀러리맨을 '일벌같이 일한다'고 흔히 말하는데 실제 일벌들은 그렇지 않다는 것. ... ...
비행류(鼻行類)가 태평양의 섬에 살았었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2개의 코로 뿌리채 뽑아 먹는다. 나이 많은 수컷은 모두 똑같이 초컬릿 색을 한 젊은
개체
나 암컷과는 달리 은회색의 꼬리가 눈에 잘 띄어 이것을 흔들어 무리의 추종반응으르 일으킨다. 인위적으로 꼬리를 탈색하여 블론드로 만든 젊은 암컷을 무리속에 섞어 놓자 그 무리가 추종반응을 일으킨다는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