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d라이브러리
"
개체
"(으)로 총 1,399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들은 사랑을 어떻게 표현하는가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회피하는 것이다. 쥐들의 대집단이나 꿀벌의 대가족이 그런 예다. 마지막으로 상대의
개체
를 분명히 인식하여 상호의 사랑과 우정으로 공격을 억제하여 단결함으로써 공격성을 밖으로 향하게 하는 회피 타입이다. 집단의 공격성회피방법 중 네번째의 것 만이 상대의 개성을 인정하고 거기서 ... ...
각광받는 식용버섯들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것이 교잡육종법의 기본원리다. 따라서 품종의 우수성을 높이려면 우수형질을 가진
개체
들을 널리 수집, 탐구하여야 한다.버섯의 경우 단포자를 분리하여 발아시킨 후 서로 다른 n상태의 균사끼리 교배시켜 7~10일이 지난 후 현미경하에서 클램프(clamp)가 있나 없나를 확인한 후 클램프를 형성하는 ... ...
남해안 겨울철새 타마사를 마치고「산교육」의 좋은 기회였읍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무리를 지어 멸치떼를 포위해 잡아먹는다는데 이는 올챙이떼와는 달리 목적의식을 갖고
개체
군을 이루는 전형적 예가 아닌가 합니다. 그밖에도 대열을 이루고 나는 철새들의 현장을 목격하고 거제도에 30cm씩이나 쌓여있는 가마우지의 배설물을 통해 질소순환을 생생하게 이해한 것 등은 앞으로의 ... ...
'87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 進)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오랜 수수께끼가 풀리게 되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생물학전반에 걸쳐 중요한 사실은
개체
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DNA의 재구성을 통해 유전자가 만들어진다는 종래에는 생각할수 없었던 개념이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이로서 유전자는 불변, 부동이 아니라 면역계에서는 재구성된다는 사실을 알게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먹이가 되는 프랑크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풍부한 먹이사슬이 종류는 적지만
개체
수를 많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남빙양의 바닷물빛은 갈색빛이다. 유기영양분이 많기 때문이다. 한때 남빙양 포경선들의 기지였다면 우리 기지의 주변에도 큼직한 고래뼈들이 아직도 눈에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8백40에서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그러나 고방오리는 사구지역에서 2백정도가 2천5백
개체
로 오히려 증가되었다. 낙동강 하구 보전에 대한 의견 낙동강 하구의 잔존지역은 한반도 습지의 최후의 보루로서 절대 보존토록 다음 몇가지 점을 특히 유의하여 관과 민이 온갖 힘을 경주하여야 할것이다 ... ...
유병설/약학 약학은 생명체 다루는 종합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고찰할 필요가 있다. 생명체의 특징은 종족을 번식시키려는 소위 자기복제(自己復製)와
개체
를 지탱하려는 항상성 유지(恒常性 維持)라는 본능적 특성이 있다.어떤 원인에 의하여 항상성의 균형이 깨어져 비정상적으로 되는 것은 질병이라하여 이를 치료하여 본래의 상태로 유지시켜 주기 위하여 ... ...
특수촬영사진으로 본 인간생명의 탄생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고동을 울리기 시작하면 태아로서의 모습을 갖추어나간다. 새로운 생명은 새로 독립된
개체
로서 성장을 거듭하다가 약2백80일 뒤에 이 세상에 탄생한다.이런 새 생명의 생성 과정도 신비하지만 더욱 신비스러운 것은 수정에서 생명 탄생까지의 경이적인 드라마가 전개되는 여성의 몸에 감춰져 있는 ... ...
생생한 현장경험, 나와 학생에게 모두 유익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드물었던 것은 장마철이 길어진 데다가 태풍까지 불어닥쳤기 때문일 겁니다.김은 나비의
개체
수 얘기가 나왔읍니다만 줄어드는 식물들을 보호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책도 필요하다고 느꼈읍니다. 꼭 필요한 사람이 아니라면 장소에 따라서는 입산통제를 한다든가 말입니다. 그리고 한가지 좀 ... ...
PARTㆍ1 「기르는 어업」의 이모저모를 살핀다 민물고기의 천국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안팎까지 자라며 호수밑바닥에 자라는 수초를 갉아먹는다.이로 인해 재래종 민물고기의
개체
수가 크게 줄었거나 일부는 멸종 직전에 있으며 수서식물의 환경을 파괴하고 있다는 것. 이같은 사실은 환경청이 지난해 전국 2백7개의 댐과 저수지를 조사한 데서 밝혀진 것으로 육식성ㆍ잡식성ㆍ초식성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