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늪
연못
굳은살
징
호수
핀
머리핀
d라이브러리
"
못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능 과학탐구를 정복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등급을 받아야 수시 모집 최저학력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다. 수시 모집에서 합격을 하지
못
한다면 정시모집에서 수능 총점으로 승부를 걸어야 한다. 이들 학생들은 기초가 탄탄한 과목을 중심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기초가 없으면 성적을 올리는 데는 한계가 있다.수능 과탐! 이렇게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침몰은 전 세계에 충격을 가져왔다. 엄청난 인명 손실뿐만 아니라 이를 방지하지
못
했던 안전 규정도 주목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바다에서 사고가 났을 때 인명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1914년 해상인명안전협약이 체결됐다. 이 협약은 이후 몇 차례의 개정을 거쳐 지금까지 적용되고 있다.한편 ... ...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냄새를 비슷하게 만든다. 하지만 모조치즈는 잘 늘어나는 우유단백질의 특성을 흉내내지
못
해 쉽게 끊어진다.자연치즈가 소화흡수에 좋아주성분이 지방과 단백질이라는 사실만 놓고 보면 영양분이 크게 다르지는 않다. 그러나 자연치즈는 만들어진 뒤에도 그 안에서 살아 있는 효소가 계속 ... ...
병뚜껑 따기 달인 '사이다 사브로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페인터 씨가 있군요!”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배탈이 난 윌리엄 페인터가 화장실을
못
찾고 있는 게 아닌가.“분명히 화장실 문이 하나였는데, 일곱 개가 생겼어요. 화장실이 도대체 어디지? 윽….”문제 1화장실 문에 쓰여진 문제를 잘 보고, 문제의 답이 문 색깔과 같은 문 하나를 찾아야 한다 ... ...
꼬마 사육사의 맹금과 친해지는 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공부를 많이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해. 게다가 아프기라도 하면 사육사는 잠도 제대로
못
자며 신경 써야 하지. 하지만 사육사에게 필요한 자질은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동물을 좋아하고, 사랑하는 마음이야. 친구들은 사육사가 된다면 어떤 동물을 돌보고 싶니? 우리 함께 사육사가 된 모습을 ... ...
숀리외 함께하는 사이언스 헬스 킹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여쭤 보자!하하! 모두들 오랜만이에요! 그 동안 ‘어린이과학동아’에 출연하지
못
해 얼마나 심심했는지모른답니다! 알쏭달쏭 궁금한 게 있다고요? 이 섭섭박사님께서 알려드리겠습니다~!쿵덕쿵덕! 안전 지키는 심박수 측정기건강체력평가에서 사용하는 심박수 측정기는 학생의 심장 박동수를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생각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만큼 지식을 쌓는 속도도 빠르다. 사람이 평생 걸려도 다
못
배우는 양을 순식간에 해치울 수 있다.기억력도 그렇다. 인공 뇌의 기억 용량을 크게 설계하면 사람보다 더 많은 정보를 기억하고 더 빨리 처리할 수 있다. 학습과 훈련이 다 끝난 상태의 인공 뇌를 복제할 수 ... ...
별이 반짝, 만화도 반짝 박석재 연구위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과학 소설 ‘개천기’도 쓰셨다고 들었어요. 어떤 내용인가요?개천기는 우리가 생각하지
못
했던 먼 과거의 과학 이야기예요. 우리나라는 삼국 시대 이전에도 ‘배달국’이라는 나라가 있었다고 해요.그 당시에 천문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니까요. 그런 사실을 바탕으로 소설을 썼답니다. 어려운 ... ...
디지털 시대의 눈 건강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근시는 망막보다 앞쪽에 상이 맺어서 가까운 데 있는 것은 잘 봐도, 먼 데 있는 것은 잘
못
보는 상태를 말해.최근 늘어난 TV와 컴퓨터, 게임기, 스마트폰 같은 디지털 기기가 시력을 나쁘게 하고 있대. 특히 좋지 않은 습관이 문제라고 해. 친구들은 눈 건강법을 잘 지켜 항상 건강한 눈으로 활동하면 ... ...
너는 내 운명, …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헤어질 때도 차이가 있었습니다. 운명론자는 헤어지고 난 뒤에 그 만남이 처음부터 잘
못
됐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서로 노력을 게을리했다는 사실도 인정하기 싫어했지요. 반대로 성장론자는 헤어진 뒤에도 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습니다.재미있게도 남녀가 조금 달랐습니다.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