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d라이브러리
"
실험실
"(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4층 높이 전자현미경 대덕에 등장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방음문 등 여러가지 보조시설이 갖춰져 있다. 연구원이 심혈을 기울여 조성한 이 특수
실험실
은 장비 제작사인 일본 JEOL사에서 요구한 설치 조건보다 더 나은 환경이다. 실제로 현미경이 일본 공장에서 제작됐을 때보다 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설치 완료됐을 때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유영역학에서부터 사회적 습성에 걸친 대략 20개의 강의를 계획했고 몇군데에 임시
실험실
도 마련했다. 영화제작팀은 서머스 박사의 도움으로 물고기 비늘이 구조적으로 어떻게 색깔을 내는지, 물고기 턱이 어디까지 움직이는지 실험해봤다.물론 모든 자문을 서머스 박사가 혼자 한 것은 아니다. ... ...
퀴리부부, 라듐의 존재를 입증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분리를 위한 대장정을 시작했다. 산업물리화학대 교정에 있는 목조 가건물에 마련된
실험실
에서 마리 퀴리는 광석 분리 작업을 맡았고 피에르 퀴리는 분리 시료를 측정하는 작업을 맡았다. 실험에 쓸 재료였던 섬우라늄광은 당시 대단히 비싼 광석이었지만 다행히 빈 과학 아카데미의 알선으로 현재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성공했을 때만해도 목표가 눈앞에 있는 듯 보였다. 그러나 그 뒤 전세계 수많은
실험실
에서 비슷한 방식으로 사람세포에 대한 분화를 시도했지만 아직까지 아무도 성공하지 못했다.“생쥐와 사람은 같은 포유류라서 별 차이가 없을 거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입니다. 분화되는 조건이 전혀 다른 것 ... ...
미래에너지 수소 생산에 원자력이 돌파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발전시스템이 개발돼야 한다. 노희천 교수가 이끄는 KAIST 원자로 시스템 설계 및 해석
실험실
이 매진하는 연구주제가 바로 수소생산이 가능한 차세대 원자력 발전시스템의 개발이다.수소생산을 위한 차세대 원자력 발전시스템은 기존의 것과 어떤 점이 다를까. 노 교수는“냉각재에서 차이가 ... ...
고교생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뒷전이기 일쑤라고 한다. 입시 중심의 교육이 계속되다보니 설립 초기 취지였던
실험실
습 중심의 영재 육성이 사라졌다는 것. 무엇보다 각 학교 행정가들의 생각부터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교수는 또 호기심 강한 학생들을 맡아 가르칠 전문 교사의 임용을 대폭 늘려야 한다고 말한다.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물론 과학자들은 인공미생물이 영양분이 충분히 공급되는
실험실
환경에서만 자랄 수 있는데다 유해한 유전자가 모두 제거됐기 때문에 안전할 것이라는 논리를 펴고 있다.그러나 최근의 유전자변형 농산물 논쟁에서 보듯 인간이 거꾸로 돌린 진화의 수레바퀴가 ... ...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동물에서 감염 프리온을 추출해 정상 동물에 투여하면 감염된다. 그러나 감염 프리온을
실험실
에서 합성해 동물에 투여하면 감염되지 않는다. 따라서 추출한 감염 프리온은 순수한 프리온 자체만이 아닐 것이다. 즉 프리온 혼자서는 질병을 일으킬 수 없다는 얘기다. 감염 프리온이 서로 다른 10가지 ... ...
3. 거리_디지털 거리를 걷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2010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첨단 디지털 거리 DMS에 미리 가봤다. 거대한 디지털
실험실
DMS DMS는 디지털 기술과 도시 환경, 인간 활동이 융합하는 첫번째 공간으로 자리매김된다. 이 거리에서는 지금까지 건물에 숨겨졌던 모든 디지털 기술과 콘텐츠가 거리로 나와 설치되며, 거리의 ... ...
강물 거슬러 오르는 연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것.미국 하버드대와 매사추세츠공대 공동연구팀은 연어과에 속한 무지개송어 12마리를
실험실
수조에 넣고 소용돌이를 발생시켰을 때 헤엄치는 모습을 조사했다. 고속 비디오 촬영 결과 무지개송어는 소용돌이를 뚫으며 헤엄치지 않고 그 사이를 피하듯 좌우로 몸을 흔들면서 헤엄치는 것이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