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실"(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 배제된 채 기계 액션만 난무 터미네이터는 돌아왔는가과학동아 l2003년 10호
- 그러나 인간복제의 예와 마찬가지로 불순한 마음을 갖고 있는 소수의 과학자들이 사설 실험실에서 연구하는 것까지 막기는 어렵다. 미국 카네기멜론대 한스 모라벡 같은 급진적인 과학자는 가까운 미래에 인류가 기계들에게 멸망하는 것은 필연적이며 누구도 그것을 막을 수 없다며 “인류는 ... ...
- 2 미생물을 이용해 생산하는 21세기 청정연료과학동아 l2003년 10호
- 활발하다.3백억원의 비용 절감 효과미생물을 이용한 수소생산 연구는 20세기 후반 들어 실험실 규모를 벗어나 대규모로 진행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1999년부터 2004년까지 ‘광합성을 이용한 수소생산 연구’(Annex 15 프로젝트) 2단계를 7개국에서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일본은 1991년부터 199 ... ...
- 2 말소리 죽이고 외부 빛 차단한다과학동아 l2003년 10호
- 가공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가공장비만이 필요한 것일까. 장비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실험실의 환경이다. 나노팹에는 먼지, 압력, 온도, 습도, 공기 흐름, 진동, 빛까지도 철저하게 통제되는 클린룸이 요구된다. 이런 환경이 필요한 이유는 간단하다. 이 모든 조건이 나노수준으로 물질을 가공하는데 ... ...
- 3 물을 단계적으로 분해시켜 제조하는 비법과학동아 l2003년 10호
- 수 있다.통상 열화학 사이클은 반응성이 매우 낮고 반응물 분리가 어렵다. 또한 대부분은 실험실 수준으로 열역학과 화학반응의 이론적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공정만이 실증단계 수준에 있다.UT-3 사이클은 동경대에서 개발한 것(UT-3은 Unversity of Tokyo-3을 뜻함)으로 몇 안되는 ... ...
- 꼬마 소금쟁이가 물위에서 걷는 비결과학동아 l2003년 09호
- 기계공학과 대학원생 브라이언 찬과 함께 근처 연못에서 소금쟁이(Gerris remigis)를 가져와 실험실에서 키웠다. 소금쟁이는 수주마다 한번씩 새로운 세대가 생겨난다. 덕분에 연구팀은 알에서 깨어나 3번 탈피과정을 거치고 어른이 될 때까지소금쟁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연구팀은 소금쟁이가 물위를 ... ...
- 2 한국 2020년이면 비구름을 부린다과학동아 l2003년 09호
- 60년이 채 되지 못한다. 1946년 미국 제너럴일렉트릭사의 빈센트 쉐퍼 박사는 자신의 실험실에서 과냉각된 안개로 가득 찬 냉장고 속에 드라이아이스 파편을 떨어뜨려 수많은 작은 얼음결정들이 형성되는 것을 목격했다.그는 여기에서 힌트를 얻어 그해 최초로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했다. 11월 13일 ... ...
- 실험실에 떠오른 목성과 무지개과학동아 l2003년 08호
- 내 손으로 만들어보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단 말야.모험이 : 알았어. 그렇다면 나를 네 실험실로 안내해. 목성과 무지개를 보여줄께.헐크 : 정말이야? 네가 그럴 수 있다면 동생을 풀어주지. 하지만 먼저 이 아이가 네 동생이란 걸 증명해야 돼.모험이 : 알겠어. 내가 슬기를 얼마나 사랑하는지를 ...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과학동아 l2003년 08호
- 필요하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극저온 냉동기의 개발과 발달로 인해, 지금은 소규모의 실험실에서도 액체질소나 액체헬륨의 온도를 생성할 수 있게 됐다.오늘날 아무리 더운 날에도 영하의 온도를 경험하는 일은 당연하게 여겨지고 있다. 즉 77 K, 영하 1백96℃의 액체질소를 시중의 음료수보다 싼 ... ...
- 세계 암연구에서 우뚝 선 토종과학자 김규원과학동아 l2003년 08호
- 그런데 막상 연구를 하려니까 아무 것도 없었습니다. 학과가 생긴지 3년째라 연구비도 실험실도 대학원생도 없었지요.”김 교수는 하는 수 없이 자신이 박사과정 때 공부하던 효모로 간단한 수준의 연구를 했다. 그러다가 1990년대 들어 암연구를 다시 시작해야겠다는 의지를 되살린다. 하지만 ... ...
- 신경세포가 그리는 초상화과학동아 l2003년 08호
- 놀랍게도 로봇 팔이 받은 전기신호는 뉴욕에서 1천3백km 떨어진 애틀랜타의 조지아 공대 실험실에서 보낸 것입니다. 이곳에서는 쥐의 뇌신경세포를 배양접시에서 키우고 있는데 바로 이 세포들이 전기신호를 보낸 당사자입니다. 배양접시에는 60개의 전극(MEA, Multi-Electrode Array)이 꽂혀있습니다. 이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