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사소한 차이까지 포착하는 암 진단 센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곳만 다른 miRNA도 구분해낼 만큼 정확하다. 이 책임연구원은 “질병 진단뿐 아니라 miRNA의 양을 추적해 약물 투여 전과 후의 치료 효과를 분석하는 센서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doi:10.1016/j.bios.2018.04.03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않은 외국의 개구리도 동일한 면역 수용체를 가지고 있었다.월드만 교수는 세계적인 양서류 전문가로, 미국 하버드대 교수를 역임하고 2009년부터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가 이번 연구의 배경과 의미를 뒷장에 직접 설명했다. [영어로 읽어보세요] The Hurdles Frogs Must Jump to Survive Twenty ... ...
- [Career]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8, 미래 노벨상 인재들의 기발한 아이디어 열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테이프스티커처럼 물체에 붙일 수 있는 박막형 전지를 고안해 본선에 진출했다. 김혜린 양(창원과학고 3학년)은 “리튬 대신 탄소와 마그네슘, 물을 이용해 전기를 생성하도록 설계해 친환경적”이라며 “콘서트 등 밤에 일정 시간 전기가 필요한 곳에 유용하다”고 말했다. 노력과 정성이 돋보이는 ... ...
- [Issue] 빅데이터 하나로 미래 도시 탈바꿈과학동아 l2018년 07호
- QB는 100경 바이트)에 이르며, 현존 데이터의 90%는 지난 2년간 축적된 것이다. 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인공지능(AI),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발전하게 된 만큼 데이터 대국이 미래를 선도할 것으로 보인다.신기술에는 항상 부작용이 따른다. 빅데이터 ... ...
- [이투스교육] 봉사활동 제대로 하는 세 가지 팁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있다. 최근 고등학교에서는 연간 교육과정을 짤 때 학생들의 진로 및 희망 전공에 따라 다양한 봉사활동을 할 수 있도록 봉사활동을 배치하기 때문에 무리해서 교외 봉사활동을 하지 않아도 된다. [표5]에서 사례 3, 4의 두 학생은 각각 지역 아동과 또래, 새터민 교육봉사를 3년간 꾸준히 진행했다. ... ...
-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1e와 f, g는 유력한 제2의 지구 후보로 꼽히고 있어요. 질량과 크기, 중심별에서 받는 빛의 양이 지구와 비슷하거든요. 이러한 조건들은 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더 높여준답니다. 물은 행성에서 생명체가 탄생하는 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지요. 이 행성들이 어떤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을지는 앞으로 계속 ... ...
- [과학뉴스] ‘세레스’의 유기물, 의외로 풍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비교해 데이터를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이 수치가 40~50%로 수정됐다. 유기물이 예측했던 양보다 훨씬 더 많이 존재하는 셈이다. 참고로 세레스에는 생명체 존재에 필수적인 물(얼음)도 상당량 존재한다. 연구팀은 유기물이 세레스 내부에서 형성됐거나, 또는 유기체가 풍부한 혜성이나 소행성에서 ... ...
- [과학뉴스] 하마 똥이 아프리카 하천 위협?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위협하는 상황에 이른 셈이다. 연구팀은 효율적인 물 관리 정책을 조속히 도입하고 토양을 관리하는 노력이 아프리카의 수자원 유지와 하마 보호에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doi:10.1073/pnas.180040711 ... ...
- [Issue]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체온이 오래 유지된 것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배수로의 콘크리트가 있다. 콘크리트는 태양광을 흡수해 복사열을 일정 시간 방출한다. 이때는 배수로 온도가 대기보다 더 높아서 직장 온도의 하강도 상대적으로 느려진 것이다. 배수로 내부 온도가 높아질 때, 무스탕 안피부 온도는 1~3시간, 직장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km의 ‘국제선형가속기(ILC)’나 중국과학원이 추진 중인 둘레가 100km에 이르는 ‘원형전자양전자가속기(CEPC)’라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에서 유럽으로 넘어간 차세대 가속기 연구의 주도권이 이제는 아시아로 이동하는 추세”라며 “한국에도 새로운 기회가 찾아올 가능성이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