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미래 직업, 삶이 맘에 안 들면 농부가 돼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농부는 시골에 사는 마음씨 좋은 할머니와 할아버지들이나 하는 일이 아니냐고? 에이, 그런 편견이 얼마나 낡은 생각인지 알려줄게! 지구가 따뜻해질수록 농업이 중요해 세계적인 투자자이자 미국 사업가인 짐 로저스는 2017 년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좋은 직업이 뭐냐 ... ...
- Part 5. 농부야, 개발자야? 로봇도 자급자족, 청년 농부 하병욱 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딸기 농사를 짓는 부모님과 함께 경상남도 진주에서 나고 자란 하병욱 씨는 올해 28세인 농부예요. 4년 전 딸기 농사를 시작했다가 올해 3월부터 강원도 정선에서 곤드레를 키우고 있지요. 낮에는 농사 짓고 밤에는 로봇을 만드는 청년 농부의 도전기를 들어 보세요! Q 어떤 로봇을 만드시는 건 ... ...
- Part 4. 극한 농업, 사막에서 성공하면 기후변화도 거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나노 진흙을 쓴 농장은 물을 50% 이상 절약했답니다. ● 인터뷰 : 임정한 연구원(극지연구소 극지생명과학연구부) “남극의 그 채소밭, 제가 만들었습니다!” 2010년 남극의 세종과학기지에 식물공장을 처음으로 만든 임정한 연구원을 만나 보세요! Q 남극에 농장을 왜 만드셨나요?수송기가 ... ...
- Part 2. 스마트팜, 미래엔 농사도 두뇌 노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이제 나 돼농이가 왜 농부가 되기로 했는지 알겠지? 하지만 무거운 몸으로 밭을 갈고 귤을 따면 너무 힘들지 않겠냐고? 모르시는 말씀. 앞으로는 몸보다 머리를 쓰는 게 농부의 일이 될 거라고! 스마트폰과 빅데이터, 인공지능이 농장에 지난 2월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2세대 스마트 ... ...
- Part 3. 정밀농업, 과학자, 식물과 통(通)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도시농업연구소는 낭비하는 양이 거의 없답니다. ● 인터뷰 : 조일환 소장(도시농업연구소) “ 사막 농사 다음엔 우주 농사예요!” Q 소장님의 텃밭을 소개해주세요!비닐하우스 한 동에 토마토 밭을 두 줄 만들어 키우고 있어요. 하나는 MEMS를 이용해 필요한 양만큼 비료와 물을 주는 밭이고, 다른 ... ...
- 노벨물리학상, 빛으로 도구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물리학상은 ‘레이저’와 관련된 기술을 개발한 과학자 세 명에게 돌아갔어요. 미국 벨 연구소 아서 애쉬킨 박사, 프랑스 에콜 드 폴리테크니크 제라르 무루 교수, 캐나다 워털루대학교 도나 스트릭랜드 교수가 공동으로 상을 받았지요. 노벨 물리학상 선정위원회 올가 보트너 위원장은 “지난 60년 ... ...
- 여성 과학자가 못 갈 곳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주인은 나잖아요! ●“미세조류의 아름다움에 반해 극지로 떠났어요!”_전미사(극지연구소 극지해양과학연구부 연구원, 남극 세종과학기지 제23차 월동연구대 대원)Q남극의 미세조류를 연구하신다고 들었어요. 미세조류가 무엇인가요?미세조류는 광합성을 하는 단세포 생물이에요. 식물 ... ...
- 남극부터 우주까지, 여성 과학자가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안녕, 나는 어과동 열혈독자 서연이야! 과학자가 되고 싶어서 공부도 열심히 하고, 어과동도 열심히 읽고 있지. 그런데 얼마 전에 ‘여자는 과학자가 어울리지 않아!’라는 이야기를 들었어. 속상해서 위인전을 찾아봤더니 정말 여성 과학자는 별로 없더라고. 왜 그런 걸까? 혹시 어과동 친구들은 여 ... ...
- 특명! 태풍을 읽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마셜 우주비행센터는 태풍의 경로를 예측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하기도 했어요. 미국해군연구소와 국립해양대기청에서 태풍의 각종 정보들을 수집한 뒤, 기계학습을 통해 인공지능을 만든 거죠.이 인공지능은 GOES-16 기상위성이 관측한 정보를 분석해 태풍의 강도와 풍속을 계산하고, 매시간 태풍의 ...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따라할까, 사람이 침팬지를 따라할까? - 가브리엘라 알리나(스웨덴 룬드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 침팬지가 사람을 따라하며 노는 모습을 우연히 관찰한 것이 계기가 되어 이 연구를 하게 됐어요. 총 21일, 52시간 동안 스웨덴 푸르비크 동물원에 침팬지를 보러 온 만 여명의 관광객과 5마리의 침팬지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