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따라할까, 사람이 침팬지를 따라할까? - 가브리엘라 알리나(스웨덴 룬드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 침팬지가 사람을 따라하며 노는 모습을 우연히 관찰한 것이 계기가 되어 이 연구를 하게 됐어요. 총 21일, 52시간 동안 스웨덴 푸르비크 동물원에 침팬지를 보러 온 만 여명의 관광객과 5마리의 침팬지 ... ...
- [쇼킹 사이언스] 바닷속 고드름이 살아있다?! 브리니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바닷속 세상에 커다란 얼음기둥이 나타났어요! 수면에서 시작된 얼음기둥이 바닥에 붙어사는 불가사리 떼를 뒤덮었네요. 회오리 구름을 닮은 얼음기둥의 정체는 바로 ‘브리니클’ 이랍니다. 브리니클은 소금물을 뜻하는 ‘브라인(brine)’과고드름의 영단어(icicle)가 합쳐진 단어로, ‘바다 고드 ... ...
- 초롱아귀의 고향, 트와일라잇 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이처럼 트와일라잇 존에 관심을 갖는 건 국제 어업계의 움직임 때문이에요. 우즈홀해양연구소의 하이디 소식 박사는 “최근 어업계가 트와일라잇 존에 손을 뻗으려 한다”며, “생태계는 한번 파괴되면 되돌리기 어렵다”고 강조했어요. 실제로 2016년 노르웨이가 트와일라잇 존에서 어업 활동을 ... ...
- 탐사 로봇, 트와일라잇 존을 부탁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존의 생물이 어디에 똥을 싸는지 알아볼 거예요!” - 하이디 소식(미국 우즈홀해양연구소 탐사프로젝트 ‘더오션트와일라잇존’ 총책임자) Q 국제 어업계가 트와일라잇 존으로 달려들면 어떤 일이 일어나나요?어류가 사라지지 않을 거라 생각했던 기대와 달리, 인류의 지나친 어업 활동으로 ... ...
- 트와일라잇 존, 바다눈이 지구온난화 막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주야수직이동을 하는 동물플랑크톤이 있어요! - 강정훈(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책임연구원) 저는 동물플랑크톤 중 하나인 ‘칼라누스 시니쿠스’라는 요각류가 황해에서 먹이를 먹기 위해 주야수직이동을 한다는 사실을 2013년에 밝혔어요. 봄과 여름에 하루씩 황해에서 3시간 마다 ... ...
- [과학뉴스] 엄마는 네안데르탈인, 아빠는 데니소바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혼혈 데니소바인으로 나타났지요. 연구를 이끈 스반테 페보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장은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이 만날 기회가 많지는 않았겠지만, 일단 만났을 경우 우리 생각보다 더 자주 짝을 이뤘던 것으로 보인다”며, “고대 인류 사이의 교류가 훨씬 보편적이었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두 번째 아이템의 행방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멸종한 원인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답니다. 그런데 올해 5월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스반테 페보 연구팀이 미니 뇌를 만들어 네안데르탈인의 멸종 원인을 밝혀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어요. 미니 뇌의 기본 재료는 줄기세포예요. 줄기세포는 여러 종류의 신체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 ...
- [과학뉴스] 얼린 파리 알을 팝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파리 알을 팝니다?! 최근 이스라엘 와이즈만 과학연구소의 과학자들은 미래 식량으로 떠오른 곤충 단백질을 대량생산하기 위해 ‘동애등에’라는 파리목 곤충의 알을 냉동시키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어요. 동애등에의 몸은 단백질과 영양이 풍부한 지방으로 가득 차 있어 유망한 단백질 식품으로 ... ...
- [가상인터뷰] 도시 소음 때문에 새가 빨리 늙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새끼를 보호해서 영향이 적을 것으로 추정했지. 연구를 이끈 독일 막스플랑크 조류학연구소의 아드리아나 도라도-코리아 연구원은 “도시 소음만으로도 새의 텔로미어가 짧아지고 노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고 말했단다 ... ...
- 먹고 사는 일도 과학이 돕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제주도에서만 일자리를 구하도록 하고 있어요.스위스 취리히공과대학교 이민정책연구소 연구팀은 올해 초 난민의 취업률을 높이는 인공지능을 개발했어요. 난민의 특성에 따라 일자리를 구하기 쉬운 지역을 찾는 거지요. 연구팀은 1999~2013년 스위스에 온 난민의 특징과 머문 지역, 취업 성공 여부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