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100년 전 수첩에서 유령입자까지 남극 미스터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3호
정보를 해독할 계획이에요. 또한 영하 8℃의 바닷물에서도 얼지 않고 잘 사는 남극대구의
유전
자 정보를 이용해 동상이나 고지혈증과 같은 질병 치료 방법을 찾고자 연구하고 있답니다.미스터리 5 남극 밤하늘에 뜬 야광구름의 정체는?어? 저게 뭐지? 지금 저녁인데 하늘 위에 있는 구름이 환하게 ... ...
스테고사우루스는 무서운 파이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거야. 들리는 소문에 따르면 스테고사우루스의
유전
자도 발견했대~, 킬킬킬! 그
유전
자만 손에 넣으면 이제 지구 정복도 문제 없겠지? 뭐라고? 지구 방위대에서 먼저 스테고사우루스를 복원했으면 어쩔 거냐고? 흠. 그건 좀 무섭긴 하다. 그 뾰족한 꼬리 가시에 찔리는 건 생각만 해도 너무 아파~! ... ...
쌍잠자리는 왜 같이 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한시적으로 또는 영원히 잃게 되지요. 뿐만 아니라 짝짓기 후 확실히 수정시키지 못하면
유전
적으로 남의 자손을 돌보게 될 수도 있어요. 그래서 짝 지키기는 많은 동물에게 잘 발달되어 있답니다. 금슬 좋은 부부를 상징하는 원앙은 번식기 때 꼭 붙어다닌다. 이는 암컷이 다른 수컷을 만나지 ... ...
항생제 이겨내는 세균 이기는 항생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돌연변이 등으로 바뀌면서 새로운 항생제를 만나도 파괴 할 수 있지요. 연구팀은
유전
자의 이런 성질을 이용하면 신종 항생제를 개발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했어요.나보다 먼저 지구정복하는 걸 막으려면 세균을 모조리 없애야겠구나!그건 불가능해요, 닥터 그랜마. 세상에 세균이 얼마나 많다고요. ...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어. 2007년 미국 의 리처드 랜코 연구팀이 한 식물의
유전
자가 달라지자 주변의 다른 식물 종도 달라지는 걸 확인했거든.이제 생물이 왜 다양해야 하는지 잘 알겠지! 그런데 생물다양성은 아는 것보다 실천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니? 어떻게 하면 되냐고 ... ...
같은 듯 다른 존재? 쌍둥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변화가 생기는 지 확인할 계획이지.특히 엄마와 할머니가 가장 관심 있어 하실 노화를
유전
적으로 확인할 건가 봐. 만약 이 실험을 통해 우주에서의 노화가 더 느리게 진행된다는 사실이 밝혀진다면 열심히 돈을 모아서 엄마와 할머니를 우주여행 시켜드려야 할지도 모르겠어, 하하하!지금까지 ... ...
[교과연계수업] 같은 듯 다른 우리는 쌍둥이!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이 난자들이 둘 다 정자와 만나 수정해서 자라면 이란성 쌍둥이가 된단다. 그런데 이
유전
자를 갖고 있다고 해서 모두 이란성 쌍둥이를 낳는 건 아니야. 단, 엄마의 키가 클수록 확률이 높대. 미국의 과학자의 조사에 따르면 이란성 쌍둥이를 출산한 여성의 평균키가 일반 여성보다 3㎝나 더 크다는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사람 세포에 들러붙을 때 사용하는 당단백질을 만든다. 그래서 이론상 백신을 맞으면 이
유전
자에 대한 면역이 생긴다. 실제로 나중에 에볼라바이러스가 몸속에 들어와도 세포에 들러붙지 못해 감염시킬 수 없게 만들려는 셈이다. 이 백신은 침팬지와 고릴라에게는 예방 확률이 100%에 가깝다.영국 ... ...
[가상인터뷰] 판다가 대나무만 먹고 살 수 있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닥터 그랜마. 우리는 대나무처럼 섬유질이 가득한 식물도 소화할 수 있도록 특별한
유전
자를 가지고 있거든요. 만약 닥터 그랜마가 대나무만 먹는다면 잔뜩 체하거나 설사병에 걸릴지도 몰라요. 차라리 고기와 채소, 밥을 골고루 먹는 것이 건강에 훨씬 좋을 거예요 ... ...
드라큘라 백작이 알려 주는 피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로 구분할 수 있어. Rh 항원을 가지고 있으면 Rh양성(Rh+), 없으면 Rh음성(Rh-)이라고 해.
유전
적으로 Rh양성이 우성이기 때문에 Rh음성인 피를 가진 사람이 전 세계에 10% 정도밖에 안 되지. ABO식 혈액형은 오스트리아의 생물학자인 란트슈타이너 박사가 1901년에 발견했어. 물론 1800년대에도 피를 많이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