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이야기지. 앞에서 한
유전
자 이야기를 떠올려 보렴. 사람이 오래 살면 살수록 오래 사는
유전
자가 ‘자연선택’될 가능성이 높지 않겠니?구석기 시대 사람들을 생각해 보렴. 그 때는 수명도 짧고 자연의 위험을 그대로 받아 안던 시기라 빨리 아이를 낳았어야 했지. 지금 네 엄마 나이의 사람들에게 ... ...
수학
유전
자를 찾아라! 아인슈타인 프로젝트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또한 수학
유전
자가 있다면 물리 천재
유전
자, 천재 신문 기자
유전
자, 대통령
유전
자도 있어야 합니다. 결국 이 프로젝트는 과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답니다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찰스 다윈에게 전해졌다.다윈은 라트레유의 놀라운 발견에 서 '본능이 자연선택을 통해
유전
된다'는 결론을 내린다. 노예 개미의 사례는 진화의 원리를 담은 명저 '종의 기원'에 당당히 실려 있다. 수많은 벌이 본능적으로 정교한 벌집을 만들고, 남 의 둥지에서 태어난 뻐꾸기 새끼가 다른 알을 둥지 ... ...
[과학뉴스] 오후 잠 쫓는 ‘카페인’ 비밀 풀리나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카페인
유전
자는 초콜릿이나 홍차의 카페인
유전
자와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이
유전
자가 진화 과정에서 최소 두 번 각기 따로 나타났다는 뜻이다.커피는 1만1000종에 달하는 종이 포함된 ‘꼭두서니과’ 식물 중 하나다. 이 과에는 말라리아 약인 ‘키니네’를 생산하는 식물 등 유용한 종이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하지만 뇌는 워낙 구조가 복잡하다 보니 정확하게 자극을 주는 것 자체가 힘들다. 그래서
유전
공학 기술을 도입해 내가 원하는 세포만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하려 하고 있다.연구를 진행하면서 난관도 많았을 텐데가장 큰 문제는 새로운 시도에 대한 주변의 저항이다. 모두들 융합만이 살 길인 것처럼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예기치 않은 결과를 가져왔는데, 바로 그 턱뼈를 비집고 나오는 치아다. 치아의 크기는
유전
적으로 결정된다. 그런데 그 치아를 지탱하는 턱뼈의 생김새는 후천적으로 결정된다. 작고 가냘픈 턱뼈와 상관없이 나오는 치아는 콩나물 시루처럼 빼곡하게 들어서게 된다. 결국 삐뚤빼뚤하게 나올 수 밖에 ... ...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보이죠? 일란성 쌍둥이는
유전
자가 똑같아 서로 똑같이 생겼어요. 서로 닮은 사람들은
유전
자도 닮았을까요? 궁금해지네요.나를 닮은 사람도 있을까?여기서 궁금해지는 것이 있군요. 나와 똑같이 닮은 사람도 있을까? 브뤼넬의 사진을 보면 “그렇다”고 대답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혹시 친구들도 ... ...
[가상인터뷰] 손가락 형성의 비밀, 수학으로 풀다!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다른 단백질들의 신호 전달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죠. 여기서는 손가락 형성과 관련된
유전
자들을 활성화하겠죠?샤프 교수님, 그럼 교수님이 만든 수학 모델이 실험적으로도 입증이 된 건가요?제임스 샤프 교수 : 우리 연구팀은 손끝 조직을 배양시켜, 실제로 만들어지는 패턴과 연구팀의 모델로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아직 일러플라스미드 백신의 원리플라스미드 백신의 원리 플라스미드에 에볼라
유전
자를 넣어 에볼라 항체 생산을 유도한다. 에볼라의 RNA를 추출한다. 에볼라 RNA로 이중가닥 DNA를 만든다. 에볼라 DNA를 가진 재조합 플라스미드. 플라스미드를 박테리아에 넣어 대량생산한다. B세포 중 일부는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뒤섞기도 하고, 변이도 그만큼 쉽게 일어난다. 반면 에볼라는 복제 과정에서 8개
유전
자가 함께 움직인다. 에볼라에서 ‘대변이’가 드문 이유다.김 단장은 “치료제와 백신을 개발하게 되면 상당 기간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면서도 “에볼라를 박멸하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인류 역사상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