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유전자를 찾아라! 아인슈타인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또한 수학 유전자가 있다면 물리 천재 유전자, 천재 신문 기자 유전자, 대통령 유전자도 있어야 합니다. 결국 이 프로젝트는 과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답니다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이야기지. 앞에서 한 유전자 이야기를 떠올려 보렴. 사람이 오래 살면 살수록 오래 사는 유전자가 ‘자연선택’될 가능성이 높지 않겠니?구석기 시대 사람들을 생각해 보렴. 그 때는 수명도 짧고 자연의 위험을 그대로 받아 안던 시기라 빨리 아이를 낳았어야 했지. 지금 네 엄마 나이의 사람들에게 ... ...
- [과학뉴스] 오후 잠 쫓는 ‘카페인’ 비밀 풀리나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카페인 유전자는 초콜릿이나 홍차의 카페인 유전자와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이 유전자가 진화 과정에서 최소 두 번 각기 따로 나타났다는 뜻이다.커피는 1만1000종에 달하는 종이 포함된 ‘꼭두서니과’ 식물 중 하나다. 이 과에는 말라리아 약인 ‘키니네’를 생산하는 식물 등 유용한 종이 ...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시대가 열린 것이다. 덩달아 신종헌터의 발걸음도 분주해졌다. "우리나라는 생물·유전자원의 70%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되면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등 바이오산업 전 분야에 걸쳐 피해가 예상됩니다." 9월 15일 경기과학기술진흥원에서 열린 '나고야 의정서 대응을 위한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하지만 뇌는 워낙 구조가 복잡하다 보니 정확하게 자극을 주는 것 자체가 힘들다. 그래서 유전공학 기술을 도입해 내가 원하는 세포만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하려 하고 있다.연구를 진행하면서 난관도 많았을 텐데가장 큰 문제는 새로운 시도에 대한 주변의 저항이다. 모두들 융합만이 살 길인 것처럼 ...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찰스 다윈에게 전해졌다.다윈은 라트레유의 놀라운 발견에 서 '본능이 자연선택을 통해 유전된다'는 결론을 내린다. 노예 개미의 사례는 진화의 원리를 담은 명저 '종의 기원'에 당당히 실려 있다. 수많은 벌이 본능적으로 정교한 벌집을 만들고, 남 의 둥지에서 태어난 뻐꾸기 새끼가 다른 알을 둥지 ...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젊은 여성일수록 머리카락이 더 길고 질도 좋다. 따라서 이런 여성을 선택하면 자신의 유전자를 후세에 전달하기 유리해진다.버스 교수는 얼굴의 전반적인 비율이 보여주는 ‘여성적인 매력’도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두툼한 입술, 큰 눈, 얇은 턱, 높은 광대뼈, 입과 턱 사이의 짧은 거리, 얼굴의 ... ...
- PART1.전염의 시작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영원히 죽이지 않고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제서야 에볼라 바이러스가 자신의 유전자를 더 많이 퍼뜨릴 수 있게 진화한 셈이다.에볼라는 어떻게 지금처럼 진화한 걸까. 돌연변이를 일으켰을 가능성이 높다. 독일 베른하르트 노치 병원의 스테판 군터 박사팀은 서아프리카 에볼라 바이러스의 DNA ... ...
- [가상인터뷰] 손가락 형성의 비밀, 수학으로 풀다!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다른 단백질들의 신호 전달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죠. 여기서는 손가락 형성과 관련된 유전자들을 활성화하겠죠?샤프 교수님, 그럼 교수님이 만든 수학 모델이 실험적으로도 입증이 된 건가요?제임스 샤프 교수 : 우리 연구팀은 손끝 조직을 배양시켜, 실제로 만들어지는 패턴과 연구팀의 모델로 ...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그런데 이 장치의 신뢰도는 95% 이상이다. 바꿔 말하면 5% 이하로 오진 확률이 있다. 유전자 전체를 검사하는 게 아니라 특정 부위만 검색하기 때문이다. 김상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러스감염대응연구단장은 “시료가 훼손됐을 때나 초기감염처럼 바이러스 양이 적을 때는 정확하지 않을 수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