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과학으로 빛 공해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프랑스의 ‘글로위’라는 회사도 2016년부터 오징어에서 발견되는 세균을 이용해 도시 전체를 밝히는 조명을 개발하고 있지요. 발광 생물을 이용한 조명은 아주 단순해요. 빛을 내는 생물과 생물의 먹이, 생물이 호흡할 수 있는 산소만 있으면 되거든요. 글로위의 산드라 레이 대표는 “미생물을 ... ...
- Part 1. 기후변화를 막아라, 전세계의 약속!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분석 결과가 실렸지요. 먼저, 1986~2008년 사이의 지구 전체 평균 기온과 2016년의 지구 전체 평균 기온을 비교해 봤어요. 실제로는 0.4℃ 상승했지만, 사람들이 경험한 기온은 0.9℃ 상승했지요. 이건 사람들이 살고 있는 지역의 기온이 더 많이 올랐다는 걸 뜻해요. 폭염에 시달리는 노약자의 수도 눈에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래의 드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직접 갈 수 없는 곳을 조사하거나 물품을 공급하는 데 쓰여요. 이때 한 대가 넓은 지역 전체를 다니려면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여러 대의 드론을 사용하지요. 그런데 보통 한 컨트롤러는 한 대의 드론만 조종할 수 있어요. 즉, 현재는 수십 대의 드론을 조종하려면 그 수만큼 드론을 조종하는 ... ...
- Part 2. [활약1] 뭉치면 강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한 큐브샛이 지구를 관측하고 우주 실험실도 될 수 있다니! 정말 대단해. 하지만 지구 전체를 관측하기엔 너무 작은 것 같아. 우리나라에서도 크고 좋은 다목적 위성을 운영하고 있는데, 굳이 작은 큐브샛을 쓰는 이유는 뭘까? 50대가 넓은 지역을 동시에!일반적으로 다목적 위성은 지구를 한 번 ... ...
- [가상인터뷰] 겨울에 작아졌다가 봄에 다시 자라는 동물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대부분 쥐보다 작은 크기로, 몸길이는 5~7cm정도예요. 몸무게도 10g으로 매우 가벼워요. 몸 전체는 짙은 색깔의 털로 덮여 있답니다. 우리는 주로 벌레들을 잡아먹는데, 매우 활발히 움직이기 때문에 에너지를 보충하기 위해 쉴 새 없이 먹이를 찾아요. 두세 시간만 먹이를 먹지 못해도 굶어 죽을 ... ...
- Part 1. 모래, 세계 곳곳에서 사라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약 400억 톤의 모래를 사용한다고 해요. 이는 20년 전보다 3배 이상 증가한 양으로, 중국이 전체의 3분의 1이상을 차지하고 있지요. 그런데 중국은 2030년까지 도로를 짓는 데만 8억 톤의 모래를 추가로 사용할 예정이에요. 또 선진국인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물론, 인도와 베트남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도 ... ...
- Part 3. 모래, 사라지면 모두 위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생물들이 살지 못한답니다. 실제로 2006년 일본 미카와만에서는 산소가 부족해진 구역이 전체 면적의 절반이 넘었어요. 이 지역은 30년 동안 매년 5억 6000만 톤의 모래가 채취된 곳이지요. 이후 일본 정부는 모래 채취로 만들어진 대형 웅덩이를 메우기로 결정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3. 똥냄새 줄일 수 없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플라타너스’로 불리는 버즘나무가 가로수로 인기를 끌었어요. 당시 서울시의 경우 전체 가로수 가운데 46%를 차지할 정도였지요. 병충해에 강하고 성장속도가 빨라서 묘목으로 심어도 금방 자라 자연재해에 잘 버틴다는 장점 덕분이었지요. 하지만 너무 잘 자라는 탓에 고층 건물의 창이나 간판, ... ...
- [공룡은 왜?] 날카로운 발톱과 긴 주둥이로 휙휙! 바리오닉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바리오닉스가 물가에서 생활하는 데에 도움이 됐을 거예요. # 바리오닉스는 몸 전체 골격이 완벽하게 발견된 적이 없어요. 그래서 생김새와 생활사에 대한 과학자들의 추측도 매우 다양하지요. 앞으로 바리오닉스의 뼈화석이 많이 발굴되어 바리오닉스의 비밀이 더 정확하게 밝혀지길 기대해 ... ...
- [과학뉴스] 수심 8178m에 사는 물고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촬영할 수 있었지요. 이 심해어는 ‘심해꼼치’로 불리는 물고기예요. 몸길이 20cm 정도에 전체적으로 희고 반투명한 색깔, 그리고 가늘고 긴 꼬리지느러미가 특징이랍니다. 사실 바다 속 깊은 곳으로 갈수록 생물이 살기가 어려워요. 빛도 없고, 산소도 매우 희박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심해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