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청국장에서 ‘스타 균주’를 찾아라
2016.02.26
유산균, 비피더스균. 체내에 들어가 면역 강화, 장 질환 억제 등 건강에 도움을 주는
미생물
이다. 이런 균을 통틀어 프로바이오틱스라고 부른다. 세계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2 ... 확인하고 있다(왼쪽). 우리나라 토착 유산균(오른쪽 위)과 토착 효모(오른쪽 아래). - 발효
미생물
산업진흥원 ... ...
모기에 대해 궁금한 것 6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02.22
있는 모기만 집중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불임 수컷을 이용하거나, 모기 공생
미생물
인 볼바키아(Wolbachia)를 이용해 모기를 방제하는 연구 등이 진행 중입니다. Q5. 일반 사람들이 할 수 있는 일은 없을까요? A. 올해는 지카 바이러스의 위협 때문에 일찍부터 모기 방제가 시작됐습니다. ... ...
항생제 남용, 인체의 바이러스 방어력 떨어뜨려
2016.02.18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준다고 막연히 알려졌지만 이번 연구로 항생제 남용이 체내 공생
미생물
의 불균형을 일으켜 바이러스 감염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이번 연구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빛도 산소도 필요 없다, 지하 세계 지배하는
미생물
발견
2016.02.16
그리스 신화에서 지하 세계를 관장하는 신인 ‘하데스’의 이름을 딴 ‘하데스아키아’가 발견된 미국 옐로스톤국립공원. - 미국 몬태나대 제공 수 ㎞ 지하, 빛이 들지 않는 깜깜한 곳에서 살아가는 새로운 고세균 군집이 발견됐다. 고세균은 세균처럼 세포 하나로 이뤄진 작은 생물이다. 미 ... ...
[과학으로 지키는 발렌타인데이 ②] 완벽한 초콜릿을 만드는 방법
2016.02.11
새로운 효모도 직접 만들었다. 이 연구성과는 미국
미생물
학회 학술지인 ‘응용환경
미생물
학(AEM)’ 지난해 11월 20일 자에 게재됐다. 얀 스틴셀스 연구원은 “이 방법은 맥주나 와인을 만드는 것과 비슷하다”며 “커피 향이 나는 초콜릿 등 풍미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사람의 취향을 ... ...
적조 원인 생명체 유전자 정보 모은 ‘온라인 백과사전’ 오픈
2016.02.11
전 세계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중 어떤 곳에도 등록돼 있지 않다. 적조는 플랑크톤 등
미생물
의 대량 증식으로 발생하며, 최근 기후변화와 함께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적조 등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바이오매스 연구도 진행 중이지만 유전 정보가 부족해 관련 연구에 어려움을 ... ...
적조 만드는 미세조류로 경유 생산한다
2016.02.03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 위키미디어 제공 국내 연구진이 바다 속 유해
미생물
을 활용해 바이오연료 생산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1저자인 조기철 연구원.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제공 김대경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청정화학및생물학과 ... ...
[반려동물 1000만 시대, 개와 고양이의 과학 ②] 먹이에 대한 본능은 정반대
2016.02.03
다른 영양소도 함께 제공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단백질이 많은 고기를 주면 장내
미생물
에 변화가 일어날 수 있고 이로 인해 배설물 냄새가 고약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pixabay 제공 한편 고양이는 식사량을 알아서 조절한다는 이유로 주기적으로 사료를 주기보다는 늘 먹이 그릇을 채워놓는 ... ...
물에 씻겨진 칼에서도 DNA가 검출된다
과학동아
l
2016.02.03
사실을 최근 확인했다. 저수지 수심 3m 지점에 담가놓은 칼에서는 7일 이후부터
미생물
오염으로 지문이 선명하게 검출되지 않은 반면 증류수는 14일까지 문제없이 잘 보였다.(끝 ... ...
지난 한 해 출연연 성과 살펴보니…미래형 선도기술 한가득
2016.01.29
개발한 노로바이러스 검출 키트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고감도
미생물
질량분석장치도 주목받았다. 또 실명을 유발하는 3대 질환 중 하나인 황반변성을 혈액 검사로 간단히 확인하는 KIST의 진단 키트도 공개됐다. 이상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은 “출연연의 연구 성과는 국민의 삶과 국가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